序詩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1941. 11. 20 



별이 된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1955년 10주기 기념 증보판.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르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일본 유학 중 독립운동 및 한글창작 혐의로 체포,

조사 과정에서 이를 부인하지 않고 옥중에서 요절한 민족시인 청년 윤동주.

직접 지은 시처럼 짧지만 한 점 부끄럼 없는 삶을 살다 그는 끝내 별이 되었다.

일제의 탄압이 극에 달하고 한국어 사용과 창작이 금지되었던 1941년,

우리말 시집 출간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고

일생의 문우 강처중과 정병욱에게 남긴 육필 원고가 기적적으로 보존,

그의 사후인 1948년에 친지들의 도움으로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은 마침내 출간되었다.

해방을 불과 반 년 앞둔 1945년 늦겨울, 차디찬 형무소 바닥에 누워

외마디 고함을 끝으로 숨을 거둔 지 꼭 3년 만의 일이다.

<서시> <별 헤는 밤> <십자가> 등 주옥같은 시 31편이 수록된 초판본에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던 원고를 더해 서거 10주기를 기념하여 1955년 발행된

이 증보판에는 몰락한 조국을 마음으로 지켜낸 한 청년,

아아... 그리운 동주! 그의 뜨거운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


책 소개를 읽다가 울컥했다. 2월에 영화를 어찌 보려고 벌써 이러나.

이번 증보판의 완성도가 아쉽지 않다고 하면 거짓말이지만, 난 이 책을 소장할 수 있어서 그저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