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가 되는 데 실패하고 음악원 피아노 선생으로 남게 된 에리카는 삼십대 중반의 나이에도 어머니에게 ‘내 귀여운 회오리바람’이라고 불린다. 어머니에게 있어 딸은 남편(남근)의 부재를 채워주고 자신의 나르시시즘을 충족시켜줄 유일한 존재이다. 어머니는 에리카의 생활 전체를 통제하고, 딸에게 ‘유일하고 단 하나뿐인 존재’가 될 것을 역설하면서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차단한다. 자신과 딸 사이에는 그 누구도 끼어들 수 없다. 에리카가 옷, 구두, 장신구 따위를 사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 것도 딸이 예쁘게 꾸미고 다녀 남자들의 시선을 끄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딸이 오로지 ‘자신만의 에리카’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어머니의 통제는 어려서부터 에리카에게 남들이 가진 물건을 부러워하는 마음을 갖게 했고, 그것은 곧 자신이 갖지 못한 물건들을 파괴하고 그 소유자들을 학대하려는 사디즘 성향으로 이어진다.
어머니의 지나친 간섭과 지배로 인해 에리카는 사디즘뿐 아니라 자신을 학대하는 마조히즘 성향도 갖게 된다. 자기 방에 혼자 있을 때면 아버지가 쓰던 면도칼로 자기 몸을 베는 것이다. 이런 행위를 통해 그녀는 자해를 하는 권력자와 그 고통을 감수하는 순종적인 피지배자라는 두 가지 자아를 연출하며 사도마조히즘 성향을 드러낸다. 이런 에리카에게, 어느 날 제자인 대학생 클레머가 남성으로서 접근해오기 시작하는데……

 

 


 

이 책을 읽고 싶다고 생각한 건, '정한아(소설가)가 읽은 <피아노 치는 여자>라는 글 때문이었다.

 

 

*

 

20대의 어느 날, 이 책을 읽고 나는 집으로 돌아오는 길을 잃었다.

온몸에 힘이 다 빠지고, 입속에는 침묵이 가득찼다.

누구에게도 보여준 적 없고, 나 자신조차 무서워 들여다본 적 없는 스스로의 심연을 보아보린 느낌이었다.

 

어떤 작품은 그 자체로 하나의 시험이 된다.

감당할 힘 없이 진실을 마주했다가, 우리는 자멸해버릴 수도 있다.

나는 그런 식으로 미쳐버린 사람들도 알고 있다.

경고하건대 이 소설은 함부로 첫 장을 넘길 책이 아니다.

 

*

 

온몸에 힘이 다 빠지고, 입속으로 침묵이 가득차게 만들었던 책을 경험해본 나로서는

그 느낌이 어떤 건지 알아서 선뜻 도전하기 어렵지만

그런데 또, 그 느낌이 어떤 건지 알기에 궁금하다.

 

과연 나는 함부로 첫 장을 넘길 책이 아니라는, 경고를 뒤로하고 시험에 빠져들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