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인문학 - 흔들리는 영혼을 위한
안상헌 지음 / 북포스 / 2014년 1월
품절


니체는 인간을 '건너가는 존재'라고 말합니다. 과거의 자신에서 미래의 자신으로 건너갑니다. 동물적인 상태에서 더 나은 존재가 되기 위해 건너갑니다. 부족한 능력을 훈련하고 새로운 자신을 만들기 위해 건너갑니다. 인간이 아름다운 것은 건너가는 존재이기 때문이죠.-79쪽

우리가 고전이라고 부르는 작품들의 특성이 여기에 있습니다. 고전들은 해석의 여지가 다분합니다. 읽는 사람마다 다른 경험을 하고 다른 느낌을 받습니다. 여러 사람이 같이 《논어》의 한 구절을 읽었는데도 다른 이야기를 합니다. 그것이 고전의 가치입니다. 같은 이야기를 한다면 그 작품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아마 조금만 시대가 지나도 쉽게 잊힐 겁니다. 읽는 사람마다, 시대마다 다른 메시지로 읽혀야 고전이 될 수 있습니다. 고전은 인간의 보편성 혹은 특수성을 잘 담고 있기 때문에 시대마다 다르게 읽히고 사람에 따라 다른 내용을 발견하게 해줍니다. 그래야 시대를 관통하는 책이 될 수 있죠. 이것이 짧은 시간 유행에 그치는 베스트셀러와 고전의 차이입니다.-92쪽

사랑한다는 건 와신상담을 하는 것이고, 조나단이 하늘을 나는 것이고, 이솝이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입니다. 그게 좋은 삶이죠. 그리고 인문학 공부를 하는 것도 사랑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요. 좋아하는 책을 읽으며 세상에 눈뜨게 해주는 글에 손뼉을 치고 감동하면서 자신을 돌아보게 되죠. 그러면서 점점 공부를 좋아하게 됩니다. 독서광들은 이렇게 만들어져요. 세상의 독서광들은 책과 사랑하는 관계, 길든 관계예요. 책을 읽느라 시간을 사용하면서도 전혀 시간이 아깝지 않죠. 오히려 부족한 시간을 쪼개서 책을 봐요.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하고 싶은 마음과 똑같죠. 그래서 공부와 사랑은 다른 게 아닌 것 같아요.-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