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혜영 옮김 / 북폴리오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고백>, <속죄>, <N을 위해서>, <야행관람차> 등의 작품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있는 불편한 진실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작가, 미나토 가나에. 이번엔 ‘엄마와 딸’이다. 작가는 과연, 엄마와 딸에 대해 어떻게 썼기에 “이 작품 이후 작가를 그만 두어도 좋다고 생각하고 쓴 소설이다”라고 말한 걸까 궁금해 하며 이 작품을 읽었다. 읽고 나서는, 읽는 것도 불편했던 이 소설을 작가는 어떻게 썼을지 궁금해졌다.

 

한 여고생이 다세대 주택 정원에 쓰려져 있는 것을 어머니가 발견해서 경찰에 신고했고, 경찰은 사고와 자살 가능성을 모두 열어두고 조사에 착수했다는 신문 기사로 소설은 시작된다. 신문 기사의 마지막 문장은 ‘어머니는 “금지옥엽으로 소중하게 기른 딸이 이렇게 되다니 믿을 수 없다”는 말을 끝으로 입을 닫았다.’는 문장인데, 이어지는 ‘엄마의 고백’에서 엄마가 앞서 기사의 마지막 문장을 되풀이한다. ‘저는 딸아이를 금지옥엽으로 소중하게 키웠습니다.’라고. 흔히들 강한 부정의 표현을 강한 긍정의 표현이라며 받아들이곤 하는데, 강한 부정의 표현이 강한 긍정의 표현이 된다는 사실은 반대로 강한 긍정 또한 강한 부정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아닐까. 그런 뜻에서 신문 기사 속 엄마의 말과 ‘엄마의 고백’ 속 엄마의 말은 내게 강한 부정으로 들렸다. 그렇게 ‘강한 부정’이라 생각하며 ‘엄마의 고백’을 읽어나가는데, 이어서 ‘딸의 회상’이 이어진다. 엄마는 ‘고백’을 하고, 딸은 ‘회상’을 하는 두 사람의 시점이 교차되며 전개되는 것이 흥미로웠다. 엄마가 생각하는 자신의 모성과 자신의 어머니가 자신에게 보여주었던 모성, 그리고 딸이 생각하는 모성이 전부 그려진 덕분에 모성에 관해 넓게 생각할 수 있었다.

읽는 내내 엄마의 고백에 드러난 모성이 불편했지만, 엄마가 된 딸이 ‘나와 이 아이가 같은 입장이 되지 않으리란 법이 있을까…….’하고 생각하는 문장에서, 나 역시 내가 가진 모성이 무조건적인 모성일 것이라 확신할 수 없었다.

 

“그렇게 거창한 얘기는 못하고요. 그저 여자에게는 두 종류가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어요.”

“오호라, 두 종류라니, 천사와 악마?”“그런 눈에 보이지 않는 건 믿지 않는다고요. 더 간단한 존재, 엄마와 딸이에요.”“누구나 아는 사실이잖아.”아니다. 누구나 알고 있다고 착각한다. (p.228-229)

 

맞다. 우리는 ‘모성’에 관해서 누구나 아는 사실이라고 생각하지만, 아니다. 누구나 알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을 뿐. 나 역시 이 책을 읽으면서 모성에 관해 착각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뉴스에서 접하는 부도덕한 모성에 관한 사건을 접하면서, 모성이 다 같은 모성이 아님을 알고 있었지만 말이다. 내가 소설 속 엄마였다면, 나는 소설 속 엄마와는 다른 엄마였을까. 나의 엄마와 나의 딸 중 한 명을 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닥치면, 나는 주저 않고 딸을 구할까. 이 소설이 불편했던 이유는 바로 이거다. 모성에 대한 엄마의 고백과 딸의 회상 속에서 작가가 던지는 질문을 계속해서 곱씹게 된다는 것.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모성에 대해 이렇게 생각해 볼 기회가 있었을까.

 

“아이를 낳은 여자가 전부 어머니가 되는 건 아니에요. 모성이란 게, 여자라면 누구나 갖고 태어나는 성질도 아니고, 모성이 없어도 아이는 낳을 수 있으니까요. 아이가 태어나고 시간이 조금 흐른 후에 모성애가 싹트는 사람도 있을 게 분명하고요. 거꾸로 모성이 있으면서도 누군가의 딸이고 싶고, 보호를 받는 입장이고 싶은 마음이 강하면 무의식중에 자기 안의 모성을 배제하는 여성도 있어요.”“아하, 네가 말하는 엄마와 딸이란, 모성을 지닌 여자와 그렇지 않은 여자란 말이네. 그래서 미묘한 코멘트를 남긴 어머니 밑에서 자살을 시도한 딸에게 <만에 하나 운 나쁘게 모성이 없는 여자의 딸로 태어났어도 비관하지 말고 힘내라>, 뭐 그런 말이라도 해주려는 거야?”

“……그렇게 간단한 해답이 있었네요.” (p.229)

 

시간은 흐른다. 흐르기 때문에 엄마를 향한 마음도 변한다. 그럼에도 사랑을 애타게 원하는 존재가 딸이고, 자기가 애타게 원하던 사랑을 자기 자식에게 주려는 마음이 모성이란 것 아닐까. (p.282)

 

이렇게 모성에 대한 작가만의 정의를 내릴 수 있었던 것은, 모성에 관한 치열한 생각과 고민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거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녀의 모성이 고마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