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소설 : 김이설, 우리의 정류장과 필사의 밤
책에 대한 내 취향과 별개로 이 책에는 잊을 수 없는 기억이 남았다.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이었다. 오랜 친구들과 오랜만에 만나는 날이었고, 나는 약속 시간보다 일찍 나서서 용산구의 어느 카페에 앉아 이 책을 읽고 있었다.
챙겨나간 책은 김이설 작가님의 장편소설 『우리의 정류장과 필사의 밤』. 대학생 때 『나쁜 피』를 시작으로 김이설 작가님의 책을 두 권 더 찾아 읽었는데, 두 권 모두 정신적으로 쉽지 않은 책이었다. 지독해서 읽기 어려운데 그 지독한 면으로 말미암아 여운이 엄청난 책. 그래서 이번에도 읽어보기로 했고, 소재가 소재인지라 궁금하기도 했다.
시를 쓰고 싶었다. 오늘은 쓸 수 있을까. 생각하는 주인공의 이야기가.
어느 순간, 어쩐지 나는 보통의 삶을 살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보통의 사람들이 보통의 삶이라고 규정지은 것들, 학교와 직장과 적당한 수입, 가족을 일궈 안정적인 일상을 꾸리고, 노후를 준비하며 일생을 보내는 일련의 과정들. 그 과정을 영위하기 위한 현실적인 실천 의지 같은 것들. 그런 것에 흥미가 없었으므로 가지고 싶은 열망도 없었다. 일반적인 삶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자, 그제야 가슴속에서 꿈틀거리는 것이 보였다.
(p.61-62)
뭐지, 이거. 주인공 '나'가 하는 많은 이야기가 내 이야기 같았다. 그저 가만히 있는 걸 좋아하고, 변화나 시끄러운 걸 좋아하지도 않았으며 몸을 움직이는 놀이 역시 즐겨하지 않았다.(p.57-59)
나는 주인공만큼 글쓰기가 간절한 사람은 못 되었지만 여러모로 닮은 면이 많았고, 그래서 내 모습을 투영해 읽었다.
그런 주인공을 유일하게 알아봐준 사람은 아버지였는데, 아버지가 주인공에게 해준 이야기가 나오는 대목에선 독서하는 공간이 카페란 걸 잊고 눈물을 쏟을 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