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자에게>를 포함해서,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현실적이면서도 뻔한 관행에 수긍하지 않는 인물들이 많아요.

-저는 개인이 힘을 가지고 있는 순간들을 그리길 좋아하는데요. 그러자면 그 개인이 자기만의 윤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즉, 가치관 같은 거죠. 그래야 복잡한 세상 속에서 자기 힘으로 서 있을 수 있거든요. 휩쓸리지 않고.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그러한 면을 소설적으로 그리는 걸 좋아했어요. 이런 성향 때문에 몇몇 작품들에 그런 인간상들이 나타나는 것 같아요. 말씀하신 <복자에게>도 그렇고, 첫 장편이었던 <경애의 마음>에서도 그랬고.

(p.64 소설가 김금희)



“어떻게 성장했는지”가요?

-공연은 살아 있는 생물이에요. 아기 때와 끝날 때, 그러니까 성인이 되었을 때 즈음의 공연은 또 다른 작품이 되어 있을 수 있다는 뜻이에요. 제가 아무리 계획적인 성격이라 똑같이 하려고 해도, 관객들도 처음과 마지막 공연에 느끼는 바가 다르고, 배우들도 연기할 때 농도 자체가 달라져요. 호흡을 맞추면서 은연중에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부분들의 대사,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게 되기도 하죠. 그런 게 공연의 묘미고.


(p.83 배우 고상호)



지금 생각하면 이상할 정도란 말이죠. 이런 재능과 열정을 가지신 분이 왜 여섯 번이나 시험을 봐야 했을까.

-제가 못했던 시절이 있었던 거고, 교수님들 마음이기도 하고. (웃음) 그런데 저는 당락은 정말 신경이 안 쓰여요. 이거는 인생에서 제가 가장 크게 마음속에 새기고 사는 거기도 한데, 당락은 내가 정하는 게 아니라는 거. 그러니까 의미가 없는 거예요. 저, 학교는 여섯 번밖에 안 떨어졌어요. 오디션도 떨어진 다음 날 항상 연습만 했어요. 떨어진 다음에 내가 뭘 하는지가 중요한 거죠. 떨어진 거는요, 그냥 그날 하루 있었던 일에 불과해요. 그 하루 동안 누군가의 걱정과 위로를 받는 입장이 되는 것뿐이고요. 빨리 붙으면 좋죠. 하지만 제가 여섯 번째에 붙었다고 해서 다섯 번이 의미가 없는 시간이 되나요? 아니거든요.

(p.94 배우 박영수)



예술도 그 고민 안에서 탄생하는 거라고 봐요.

-거창하게 생각해본 적은 없는데, 맞는 것 같아요. 제가 이 일을 하는 것의 의미가 뭔지 찾아가는 과정, 인생 전체를 고민하는 과정이 모두 예술인 것 같죠. 하지만 단 하나의 단어로 예술을 얘기하라고 하면 저는 망설임 없이 ‘희망’이라고 할 거예요. 비극적인 작품에서도 우리는 희망을 찾을 수 있거든요. 그리고 희망을 찾는 과정에서 사람들은 제각기 자기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또 계속 질문을 던지겠죠. 그 질문의 끝에서 정말로 희망을 발견하길 원해요. 연기하고 있는 저 자신을 포함해서요.

(p.254 배우 이예은)



그렇게 말씀하시니까 이해가 돼요. 왜 의외의 역할에 도전하기를 택하셨는지.

-평범한 사람의 삶이니까요. 아내가 저를 사랑하지 않더라도, 자신은 끝까지 행복한 미래를 그리는 평범한 사람의 삶에 관한 얘기. 그래서 저는 그 작품에서 악마의 존재를 먼저 떠올리기보다 사랑이라는 이야기를 먼저 떠올렸어요. 작품 선택이나 인물 선택에 있어서 사랑이 없으면 그 드라마가 와닿지 않거든요. 정말 사랑이라는 감정이 하나도 없을 것 같은 이야기를 하게 되더라도, 저는 그 안에서 어떻게 해서든 찾아내요. 실오라기 같은 감정이라도.

(p.281 배우 정동화)



자람 씨는 예술이 뭐라고 생각하세요?

-음, 예술은 순간적인 창조. 크리에이트되는 순간에 모든 건 예술이에요. 예를 들면 엄마가 부엌에서 요리를 하는데, 평소와 다른 소스를 한번 시도해봤을 때 저는 그것도 작은 의미의 예술 같아요. 또 어떤 아이가 처음으로 그림을 그렸는데 자기가 마음으로 보고 있는 것을 그렸다? 저는 그게 예술이라고 보고요. 여기서 이제 팔리는 예술이냐 안 팔리는 예술이냐로 갈리면서 예술의 정의가 달라지기는 하지만. 즉, 돈을 매기느냐 마느냐가 타인이 이걸 예술이라고 하느냐 마느냐로 갈리는 것 같죠.

(p.289-290 음악가 겸 배우 이자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