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샤샤 세이건의 에세이 우리, 이토록 작은 존재들을 위하여를 읽었다.

 

이 책의 저자 샤샤 세이건은 창백한 푸른 점코스모스를 쓴 천문학자이자 교육자인 칼 세이건과 작가이자 영화 제작자인 앤 드루얀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두 사람의 슬하에서 샤샤는 방대한 우주와 자연현상에는 심오한 아름다움이 숨어있으며, 현상을 비판적으로 보되 삶을 냉소적으로 바라보지 말라고 배웠다. 부모의 삶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인간 존재를 다층적으로 탐색하는 글쓰기를 해왔다는 그녀의 우주를 이 한 권으로 엿 본 느낌이었다.

 

2. 16장의 챕터로 구성된 이 책은 태어남과 성장(성년), 명절(독립기념일)과 결혼을 거쳐 가을과 겨울을 지나 죽음에 이른다.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른 샤샤 본인의 실화를 소개하며, 그 안에서 펼쳐지는 희로애락을 인문학적 통찰로 담아낸 에세이다.

 

나는 이 책의 시작인 들어가는 말부터 공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신앙이 없다고 해서 이 지구상의 삶의 리듬을 따라 살고 싶은 욕망도 없는 것은 아니(p.16)라는 구절 때문이었다. 신앙이 없는 사람의 입장에서 쓴 글이지만, 신앙이 있는 사람이 읽기에도 전혀 무리가 없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신앙이 있고 없고의 문제는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니까. 이 부분에 있어 저자의 단호함을 느낄 수 있는 구절이 있어 소개해본다.

 

아이가 웃음을 터뜨리고 경이감을 느끼고 지구에서의 삶이 신비롭고도 의미로 가득차 있다는 걸 느끼게 해주고 싶다. 그렇지만 믿지도 않으면서 시늉만 하고 싶지는 않다. 내가 사실이라고 믿지 않는 것을 아이에게 말해줄 수는 없다.

그래서 나는 아이 양쪽 부모 조상들의 관습과 신념 일부를 따르면서도 거기에 구애받지 않고 한 해의 삶을 그려 아이에게 보여주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느낀다. 아이가 사람들을 갈라놓는 교리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이 지구의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게 만들고 싶다. (p.28)

 

저자는 종교가 가지는 힘과 자신이 부모님께 배운 과학을 결합하여 자신의 딸과 가족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 이 우주에서 살아가면서 마주하는 신비한 아름다움과 공포를 함께 헤쳐 나가고 기릴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무언가 새로운 것을 만들고 싶다고 썼는데, 책을 읽는 내내 그 의지가 느껴져서 즐거웠다. 이와 같은 주제로 대화를 하면 이런 느낌일까? 좋은 책을 읽는 것은 좋은 대화를 하는 것임을 다시금 깨달았다.

 

3. 내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은 4매일의 의식에 나온다.

 

결국은 우리의 취약함이 우리가 무언가 더 깊은 것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 사랑도 그렇고. 오류를 기꺼이 인정한다면, 예측이나 선입견을 과감히 놓아버릴 수 있다면, 상상했던 것보다 더 많은 것에 다가갈 수 있다.

(p109-110)

 

요즘 내가 생각하는 삶의 태도와 맞닿아있어 눈에 들었다. 결국은 우리의 취약함이 우리가 무언가 더 깊은 것에 다가갈 수 있게 해준다는 전자도 좋지만 내 마음에 든 건 후자 쪽이었다. 오류를 기꺼이 인정하는 자세, 예측이나 선입견을 과감히 놓아버릴 수 있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라면 더 많은 것에 다가갈 수 있다는 이야기에 귀가 솔깃했다.

 

나이를 먹을수록 오류를 인정하고 선입견을 내려놓는 일이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2015년에 개봉한 모 영화의 제목을 비틀어 이야기 하자면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고 이야기 하는 건 정말 어렵다. 그땐 그게 맞다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틀리다는 걸 알아차리는 것조차 쉽지 않을 때도 있다. 가깝게는 책부터 멀게는 사람까지 나날이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취하고 싶은 것만 취하고 싶어지는데, 이 태도를 경계하게끔 만들어주었다.

 

4. 나라마다 탄생을 기념하는 방법도 다르고 본인의 죄를 고백하고 속죄하는 방법도 다르지만 별자리를 믿는다는 점이 재밌었다. 이 점에 대해서 저자의 어머니가 한 말이 인상 깊었다.

 

편견으로 예단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지. 어떤 사람에 대해 무엇 한 가지를 안다고 해서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안다고 생각하는 거잖아.” 엄마가 말했다. 엄마 말대로 이것도 일종의 고정관념이다.

별자리 때문에 피부색, 젠더, 인종, 성정체성, 종교 등에 따라 차별받듯 차별을 받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유사한 면이 있다. “나는 당신에 대해 한 가지를 알므로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안다고 말하는 것에서 여러 차별주의에 내재한 게으르고 섣부른 가정을 볼 수 있다.

(p.195)

 

나도 만화 잡지를 달마다 사서 챙겨보던 시절에 비닐 포장을 벗기면 매번 별자리 운세부터 챙겨 읽었고, 혈액형으로 사람을 판단하던 때도 있었다. 요새는 그 자리를 MBTI가 차지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역시도 관심이 있었으나 흥미를 잃었다. 왜냐하면 내가 MBTI를 처음 접했을 때와 시간이 흘러 다시 검사를 해봤을 때 결과가 달랐기 때문이다. 몇 년 전의 나와 지금의 나도 이렇게 다른데 이걸로 사람을 어떻게 판단하지? 싶었다. 물론 기본적인 성향 같은 건 무시할 수 없어서 그런 공통점을 재밌어하는 것이지만 말이다. MBTI를 비롯하여 어떤 사람에 대해 무엇 한 가지를 안다고 해서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안다고 생각하는 일 역시 앞으로도 경계해야겠다.

 

5. 이 책을 읽으면서 칼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을 읽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친절하게도 저자 본인이 그간 읽고 좋아했거나 깨달음을 얻었거나 이 책의 주제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논픽션들을 소개한 장이 있다. 저자에게 한없는 영감의 원천인 아버지 칼 세이건의 책 4권을 포함해 스무 권이 넘는데, 나는 그 중 5권을 장바구니에 담았다.

 

-타네하시 코츠 세상과 나 사이, 오숙은 옮김, 열린책들, 2016

-카렌 암스트롱 축의 시대, 정영목 옮김, 교양인, 2010

-데이비드 우튼 과학이라는 발명, 정태훈 옮김, 김영사, 2020

-그레그 제너 소소한 일상의 대단한 역사, 서정아 옮김, 와이즈베리, 2017

-알랭 드 보통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 박중서 옮김, 청미래, 2011

 

6. 내가 이 책을 읽고 이야기 한 것은 아주 일부에 불과하다. 종교와 각종 의식 등 전반적인 사례가 외국의 이야기들이긴 하지만 외국은 이렇구나, 외국이라고 다를 것 없구나 하며 읽었고 내가 경험하지 못해서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들은 작품에서 보았던 장면들을 오버랩하여 읽었다. 이를테면 이 구절이다.

 

나는 아버지 묘지 앞 잔디에 앉아서 울었다. 그리고 아버지에게 말을 걸었다. 아버지 묘지에 가면 늘 그렇게 한다. 아버지나 근처에 묻힌 조부모님이 내 말을 들을 수 있을 거라 생각해서 그런 것은 아니었다. 그런 생각은 하지 않는다. 그분들 들으라고 한 말이 아니라 나를 위해 한 말이었다. 그분들은 이제 이곳에 없지만 한때는 있었고, 내가 그분들을 아직 사랑한다는 것을 되새기기 위해서였다.

(p.219-220)

 

드라마 하백의 신부 2017’에서 주인공 윤소아가 엄마의 묘지 앞에 앉아서 엄마에게 말을 거는 장면을 생각하며 읽는 것이다. 좋아하는 드라마를 떠올리며 읽으니 책이 더욱 친근해졌다. 앞서 소개했던 4장의 구절 중 사랑도 그렇고.’라는 문장 역시 이 드라마의 내레이션을 생각나게 했다. 이 책의 제목과 드라마 속 내레이션을 조합하여 이 글을 마무리한다.

 

크나큰 우주 앞에서 우리는 이토록 작은 존재들이지만, 사람들은 어떤 힘으로든 살아요.

그게 사람이면, 사랑이면 더 좋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