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지성개선론>을 막 읽고나서, 이 책이 한국어로 번역되어 있는지 궁금해졌다. 찾아보니 2020년에 스피노자 전문 연구자의 손으로 번역 출간된 것이 있었다. <지성교정론>이라는 제목이고 라틴어 대역본이고 기다란 해제를 달고 있다는 것이었다. 나는 이 판본을 구하고 싶어졌다. 한국 스피노자 연구의 현황, 수준(?), 그리고 나 자신의 이해를 확인해보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책값보다 비싼 배송료에 주저주저하면서도 책을 주문했다.
나는 책이 오기 전에 내 나름의 <지성개선론 해제>를 써서 책의 해제와 비교할 생각이었다. 그러나 책은 일주일도 안되어 도착했고, 내 버전의 <해제>는 겨우 8 페이지 밖에 쓰지 못한 상태였다. (지금도 계속 쓰고는 있다. 지금은 19 페이지 정도를 썼다.)
나는 한국어판 <지성개선론>에 만족했는가? 100% 만족했더라면 '페이퍼' 카테고리가 아니라 '리뷰' 카테고리에 이 책에 대한 감상을 썼을 것이다. 나는 내 나름의 좋은 번역과 좋은 해제에 대한 기준을 갖고 있다. 해제나 주석, 그리고 본문 번역이 그 책을 읽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가? 그렇다면 좋은 번역이고 좋은 해제이다. 그렇지 않다면, 번역의 노고를 치하하고 해당 책이 번역되었다는 사실에만 의의를 둘 뿐이다.
독자가 저작을 읽는 데 도움이 되는 번역, 주석, 해제란 어떤 것인가? 한 마디로 말할 수 있다. 책의 가장 난해한 부분에 주의를 집중하여 그 부분을 쉽게 풀어주는 번역, 주석, 해제 등등이, 특히 철학서에 있어서는 좋은 번역, 주석, 해제이다. 아무런 강세없이, 혹은 질서 없이 온갖 정보를 풀어놓는 것은, 내 관점에서는 해제도 아니다. 단지 연구자의 연구 노트일 뿐이다. <지성개선론>의 경우 이 저작에 대한 이해에 핵심적인 것은 형상적 본질/객관적 본질이라는 개념쌍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고 본다. 나로서는 이 개념쌍 등에 대한 역자의 접근 방법에 도저히 만족할 수 없었다. (이렇게 강하게 말하는 이유는 역자가 번역어로 선택한 '표상적 본질'이라는 단어는, 내가 보기에는 이 판본을 <지성개선론>의 한국어판 표준 번역으로 내세울 수 없게 할 정도로 치명적인 오류라고 보기 때문이다.)
(서명의 '개선론'이냐 '교정론'이냐는 내 관점에서는 별로 중요한 논제가 아닌 것 같다. 급한 것도 아니고. 그래서 기존에 불리던 방식대로 그냥 쓰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