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현 번역의 칸트 저작 하나(프롤레고메나)를 읽다가 번역이 참 잘 되었다는 생각이 들었고, 백종현이 칸트의 저작들을 왕성하게 번역하고 있다는 점으로 미루어 한국의 칸트 학계는 든든한 기반을 갖춰가고 있는 셈이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래서 알라딘을 검색해 보았는데 엉뚱하게도 한국어판 칸트 전집 간행을 두고 백종현과 한국 칸트 협회 사이에 논쟁이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현재 진행형인지는 더 알아보지 않았다.)


일단 논쟁점은 두 가지로 보인다. 첫째, 가독성의 문제. 둘째, 칸트의 일부 전문 용어를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하는 문제. 솔직히 별로 의미있어 보이는 논쟁점은 아닌 것 같다.


첫째, 가독성의 문제. 우선 확인할 것은 칸트 저작의 가독성 문제는 역자들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예컨대, 칸트의 저술에 익숙했던 칸트의 친구 철학자도 <순수이성비판>의 원고를 읽다가 더 읽다가는 미칠 것 같아(칸트의 저작을 읽어 본 사람이면 누구나 했을 바로 그 경험!) 읽기를 포기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가독성의 문제를 직역이냐 의역이냐의 문제로 구체화한다면 여기에 확실한 답이 없다는 점은 너무도 분명하다. 나 자신은 의역을 선호하지만, 읽기의 깊이가 더해갈수록 도움이 되어주는 것은 직역이라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둘째, 용어 번역 문제. 문제가 되는 것은 아 프리오리, 트렌센던트, 트렌센덴탈, 이렇게 셋이다. 그러나 누구나 알고 있겠지만 그것은 시장에 달린 문제이다. 칸트 철학 연구자나 칸트 저작의 독자들 뿐 아니라 칸트 이후 철학자들(예컨대 헤겔, 후설 등등)에 대한 연구자, 독자들의 선택에 따라 결정될 문제라는 것이다. 예컨대, 트렌센던트같은 경우는, 어떤 것을 넘어서는 행위, 넘어서 있는 상태 등에 대한 광범위한 맥락에서 이미 '초월'이라는 용어로 안착되어 있다. 신은 세계를 넘어서 있다는 의미에서 초월적이며, 이 책상은 나의 정신을 넘어서 있다는 의미에서 초월적이며, 인간 실재는 항상 주어진 것을 넘어 가치나 의미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초월적이며... 등등. 칸트 철학 연구자들이 아무리 트렌센던트를 '초월' 이외의 다른 말로 번역하려 해도 이미 끝난 게임이다. 아 프리오리는 번역을 하지 않고 아 프리오리로 그대로 사용하든지, 선험적이라는 말을 쓰든지 내 생각에는 별 문제가 없을 것 같다. 또, 칸트 이전의 철학사에서는 트렌센던트와 트렌센덴탈을 모두 '초월'로 옮겨도 아무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칸트 고유의 용어로서의 트렌센덴탈은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주체, 혹은 의식의 구조에 대한 탐구라는 본연의 의미를 옮길 적당한 용어를 찾기가 힘들어 보인다. 내 생각엔 경험 이전만을 의미하는 '선험'보다는 경험을 넘어서 있으면서 경험을 정초하는 것에 대한 탐구라는 의미에서, 그러므로 경험론적으로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특유의 방법론을 팔요로 한다는 의미에서, 그러나 너무 낯선 신조어를 도입하지는 않기로 한다면, '초월론적'이라는 용어가 더 낫다고 본다. (혹자는 이 용어가 일본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반대한다고 한다. 그런 점에서라면 현대 한국어의 개념어 중 몇 개나 살아남을 수 있을런지 모르겠다.)   


내 생각에 저 논쟁의 핵심은 가독성 문제나 용어 번역의 문제가 아닌 것 같다. 가독성의 문제는 상대적이라는 것, 용어 선택의 문제는 시장에 달린 것이라는 것을 저 논쟁의 참여자들이 모를 리가 없다. 아마 작은 시장에서 어쩌다 보니 어마어마한 규모의 두 프로젝트가 경쟁하게 되었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였을 것 같다. 예컨대, 백종현이 잘 하고 있는데 칸트 협회본 전집이 또 필요한가? 라는 질문이 나올 수 밖에 없었을 것이고 그에 대한 응답이 필요했을 것이다. 논쟁이 좀 모양 없게 진행되고 있는 점은 아쉽지만 워낙 큰 프로젝트이고 걸린 것이 많으니 이해가 아니 가지는 않는다. 그리고 제삼자적 입장에서는, 그러한 경쟁이 더 나은 번역본을 생산하고 칸트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을 환기할 수 있다면 사소한 잡음 따위는 충분히 미분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24-11-15 17: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독성 문제니, 용어 개념 문제니...이런 걸 떠나서...철학 번역서의 가장 큰 문제는 번역하는 사람이 한국어 문장을 제대로 구사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국어문법 공부를 한 번도 해 본 적이 없는 사람들이 번역을 해서 철학 원전 번역본은 읽을 수가 없습니다. 적어도 한국어 문장 구조는 공부를 해야 하는데, 이런 기초적인 공부는 하찮은가 봅니다. 한길사본 그레이트북스 보면 한숨만 나옵니다. 기본적인 주어 목적어 술어의 기본 구조도 지키지 않는 번역이 부지기수...번역이 창작이 아니라고 하는 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보그병신체의 극치가 철학원전 번역서 입니다. 헤겔학회장이었던 임석진의 정신현상학 번역본을 열어보면 제대로된 문장이 거의 없습니다. 강영계 역 에티카, 이종훈 역 현상학의 이념 등등 죄다 읽기 곤혼스럽습니다. 근데 번역하는 전공자들은 이런 문제의식이 전혀 없더군요! 데보라 쓰미쓰가 한강 작품 번역을 위해 한 노력을 우리 철학전공 번역자들은 거의 모를 듯합니다..^^;;

weekly 2024-11-16 04:25   좋아요 0 | URL
저는 가능한 번역은 문제삼지 않는다는 주의입니다. 저한테 대표적으로 번역이 엉망인 작품을 들어보라 한다면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 영역판을 들 것이고,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에 동의할 것입니다. 그러나 없는 것보다는 낫다 라는 생각인 거죠.:) 어쨌든 읽히고, 이해되고, 어떤 단계에서는, 이거 전혀 반대 뜻으로 번역했네... 하게 되는 거죠.:)
제 부족한 생각으로는 한국 독서계가 번역 문제에 너무 민감한 것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특히, 한강의 경우가 그랬다고 봅니다. 역자는 그늘 뒤에 숨어 있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지요.

yamoo 2024-11-18 19:38   좋아요 0 | URL
전공자는 번역이 시원찮아도 읽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인들은 전혀 그렇지가 않아요. 읽어도 무슨 말인지 알 수 없는 문장이 넘쳐요. 저도 <존재와 무>의 그 엉망인 번역에 동의합니다!

weekly 2024-11-21 03:03   좋아요 0 | URL
강영계는 논외로 하고 임석진, 이종훈 두 분은 아마 헤겔, 훗설 번역에 인생을 거신 분들일 것입니다. 저로서는 그 결과물의 질에 대해 함부러 평가를 할 수가 없을 것 같습니다. 몇 년 전 사르트르의 대표작 ˝변증법적 이성 비판˝을 한국의 사르트르 전문가들이 힘을 합쳐 번역하였고 저도 그걸 사서 봤습니다. 솔직히 만족스럽지 않은 부분이 없지 않았지만 한국 사르트르 협회 회원분들이 최선을 다해 내놓은 것이 그것이었고, 그것이 한계라면 그 한계를 인정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실력이라는 것이 하루 아침에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니까요. 최소 한 세대 두 세대의 축적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잘 아실 겁니다. 임석진, 이종훈, 한국 사르트르 연구자들 등의 노고로 그러한 축적이 이뤄지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이종훈의 초인적인 노력이 없었다면 한국에서 훗설 번역은 ˝이념들 1권˝ 정도만 존재했을 것입니다. 기껏해야 ˝위기˝ 등 한 두 권이 더 추가될 수 있었겠죠. 한국어판 ˝논리 연구˝가 나와 있을 것이라고는 저는 꿈도 꾸지 못했습니다. (제가 느끼기로 훗설의 번역은 하이데거보다도 더 어렵습니다. 후자는 대부분 강연투의 평이한 문체이지만 훗설은 문장을 두 어 번 꼬지 않고는 마치는 법이 없지요.)

한길사의 그레이트북스는 주로 동서양 고전들의 번역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시겠지만 이 고전이라는 작품들은 일반적으로 장황한 문체 때문에 읽기가 정말 고약합니다. 게다가 많은 경우 초역이겠죠? 죄다 벽돌책인 것은 덤일 테구요. 번역료를 많이 받지도 못할 것이고, 시간은 억수로 깨지고, 덩달아 머리도 깨지겠죠. 출판사로서도 돈이 되는 기획일 수가 없지 않을까요? 다른 상업 책들 팔아서 번 돈을 이쪽으로 돌리는 것이겠죠. 그러니 질이 형편없더라도 입 다물고 그냥 보라는 말이 아니라, 비판을 할 때 하더라도 저 분들의 노고를 폄하하는 방식으로 해서는 안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한강의 역자가 자꾸 언급되는데 저는 그 이유를 도무지 알 수 없습니다. 박경리의 토지 전작을 독일어로 번역하신 분이라면 얘기가 또 다를 것입니다. 제가 읽기로 박경리의 토지는 번역 불가의 작품이었습니다. 한강의 경우는, 몇 번 이야기한 것 같은데, 저는 한강을, 버지니아 울프나 톨스토이를 이상적인 소설가상으로 정립하는 관점에서 본다면, 결코 대단한 소설가로 생각지 않습니다. 한강의 작품에서 인물이나 공간이 추상화되는 경향에 대해 저는 그것을 한강의 스타일로 보지 않고 한강의 작가적 기술의 서투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봅니다. 다행히(?) 현대 예술에서 작가의 기술은 그다지 중요한 요소가 아니게 되었지요. 여튼 한강 작품의 이러한 관념성은 그의 작품의 번역을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해준다고 봅니다. 한강의 역자의 노고를 임석진, 이종훈 등과 비교하는 것은 너무나 무리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절대적인 양과 질에 있어 그렇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