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척 아이가 입대를 하여 군에 가 있다. 제대하기 전에 뭔가 소포로 보내주고 싶어 생각하다 최병현 교수의 <징비록> 영역본이 떠올랐다. 지난 번 한국에 갔을 때 이 친구가 <사기 열전>을 읽고 있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다. 독학으로 피아노와 기타를 익힌 친구이기도 해서, 지금 전공은 전혀 다른 것을 하고 있지만, 국학에 딱 맞는 재질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 풍진 세상에 태어나서 세속에 휩쓸리지 않고 살 수 있는 훌륭한 방도 중의 하나가 고전 학자가 되는 것이라고 나는 늘 생각해왔다. 더구나, 유럽의 도시 곳곳에 한국 가게들이 우후죽순격으로 생기는 이 한류의 시대에, 한국학이란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 아닌가? 물론 이 의도를 그 친구에게는 꼭꼭 가리고 있어야만 할 것이다. 


<징비록> 영역본이 어제 도착해서 오늘 아침에 이리 저리 둘러 보았다. 그러다 한국학 주제로 영어로 출간된 책들이 꽤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쪽 영역이 아직 미개발지라고 생각하여 징징대곤 했었는데 순간 창피해졌다. 그렇게 알게 된 저자 중 미국에서 주로 활동하는 한국미술사학자 김성림 교수의 책 하나를 주문했다. 조선 후기 미술을 주제로 하고 있다. 다음 주 중에 올 것 같다. 개요를 잠깐 읽었는데 흥미로왔다. 조선 후기는 흥미로운 시대다. 적당한 단어가 없으므로 그 시대를 세속화의 시대라고 칭하도록 하자. 초기 자본주의적 경향이 나타난 시기라고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시대에는 상승하는, 도드라지는 사람들의 무리, 즉 계급이 나타나야 하는데, 조선에서는 중인이 그 역할을 맡았다. 중인은 스스로를 표현한다. 혹은 이렇게 저렇게 표현된 것들을 총칭하여 중인이라 한다. 그 표현된 영역 중 하나가 예술이다. 내가 이해하기로 김성림 교수는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 후기의 미술, 그 미술의 대상들을 다루고 있는 것 같다. 이런 이야기를 듣자 마자 네덜란드 황금 시대의 네덜란드 미술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김성림 교수가 그 시기 네덜란드 미술에 대해서도 언급할지 어떨지 나는 모른다. 그러나 한국을 모르는 제삼자에 있어 저 책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이러한 것이다. 즉, 조선 후기 미술이 전체사라 불릴 수 있는 공간의 일정한 곳에 좌표지어져서 다른 문화권의 미술과 비교될 수 있고, 그 일반성과 독특성이 아울러 평가될 수 있다는 바로 그 가능성 말이다. 우리의 관심을 끄는 그 전체사라는 공간은, 근대화, 세속화, 자본주의화 등등으로 특징지워질 수 있을 것이지만, 본질은 그 안에 일정한 단절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일 것이다. 여튼 나는 시원한 한줄기 바람을 맛본 것 같아서 기분이 좋았다. 우리 것은 좋은 것이여 라는 갑갑하고 상투적이고 게으른 말에 만족해서는 절대 안될 것이다.  


아래는 유튭에서 찾은 김성림 교수의 인터뷰다. 같은 인터뷰를 하나는 1분 짜리로 짧게, 다른 하나는 십 여분 이상으로 길게 편집해 놓았다. (김성림 교수의 책에 대해서는 알라딘에 검색하니, 아마 책거리 전시 도록만을 판매하고 있는 것 같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