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nki in New York : 김환기의 뉴욕일기 - 김환기 뉴욕일기를 통해 본 삶과 예술
김환기 지음 / (재)환기재단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의 마지막 10년 여를 뉴욕에서 화가로서 고투하다 타계한 김환기의 일기. 생각보다 일기가 두툼하지는 않다. 생전에 그가 세계 미술 시장에서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했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에, 그의 일기는 안스러움, 혹은 안타까움 속에서 읽힌다. 화가는 무엇보다도 육체 노동자라는 말도 실감하게 된다. 미국에 건너간 시점에서 이미 그는 자신만의 확고한 스타일을 갖고 있는 베테랑 화가였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미국의 시장이나 평단을 뚫어내기에 역부족이었던 것 같다. 어떤 것이 더 필요한가? 이런 모색과 고민, 고투가 일기 전체의 기조를 구성한다. 그리고 김환기가 내린 결론은 당대성에 더 적극적으로 자신을 합류시키자는 것이었던 것 같다. 내 생각에 이는 올바른 결정이었다. 여기서 이 당대성이라는 말은 참 애매하다. 당대성을 (미국이나 서구의) 시대가 포착하고자 하는 어떤 사상을 둘러싼 지성적 논쟁점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그 대척점에는, 김환기 자신의 지역성(로컬리티, 즉 한국적인 것)이 있게 된다. 즉, 당대성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지역성은 최소한으로, 배경으로만 머물러야 한다는 것이다. 작품이 그 당대의 주류의 언어와 사고, 논리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혹은 그런 언어, 사고, 논리를 창안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은 틀린 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이 말을 철저하게 반박하고 싶다. 세계적 고민 속에서 운동하는 것만이 세계적이다. 만일 한국적인 어떤 것이 그러한 고민을 형상화하고, 거기에 일정한 빛을 던져주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그런 한에서만 그 한국적인 것은 세계적인 것에 속하게 될 것이다. 내 생각에 김환기는 이러한 점을 천천히 깨달아갔던 것 같다. 그리고 그 근방 어느 시점에서 그의 육체는 그의 고투를 더 이상 버텨내지 못하게 된 것 같다. 예술이든 삶이든 무엇이든 무엇을 완결짓는다는 것에는 형식적인 의미 밖에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갑작스러운 그의 죽음이 그의 예술적 고투의 최종적 형상화를 방해했다는, 그런 아쉬움을 들게 하지는 않는다. 그보다 그는, 오전에 일하고 오후에 죽는 것과 같은 이상적 죽음을 취한 또 한 명의 예술가로, 즉 진정한 예술가로 내게 기억될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amoo 2023-10-04 0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환기가 내린 결론은 당대성에 더 적극적으로 자신을 합류시키자는 것이었던 것 같다. 내 생각에 이는 올바른 결정이었다. 여기서 이 당대성이라는 말은 참 애매하다. 당대성을 (미국이나 서구의) 시대가 포착하고자 하는 어떤 사상을 둘러싼 지성적 논쟁점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그 대척점에는, 김환기 자신의 지역성(로컬리티, 즉 한국적인 것)이 있게 된다. 즉, 당대성에 합류하기 위해서는 지역성은 최소한으로, 배경으로만 머물러야 한다는 것이다. 작품이 그 당대의 주류의 언어와 사고, 논리로 표현될 수 있어야 한다. 혹은 그런 언어, 사고, 논리를 창안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말은 틀린 말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이 말을 철저하게 반박하고 싶다. 세계적 고민 속에서 운동하는 것만이 세계적이다. 만일 한국적인 어떤 것이 그러한 고민을 형상화하고, 거기에 일정한 빛을 던져주는 데 기여할 수 있다면, 그런 한에서만 그 한국적인 것은 세계적인 것에 속하게 될 것이다.

이 부분이 매우 인상깊습니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이다..는 말이 요즘 회자되고 이는 한국 드라마와 BTS때문인듯하지만...저두 위클리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그림을 그리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저도 시대성이라는 화두 같아요. 이걸 어떻게 그림으로 형상화시키느냐가 그 작가의 퀄러티를 결정짓는 척도 같다고 요즘 느낍니다. 그럴려면 미학 이전에 현대철학의 논쟁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되는 게 아니냐는 결론에 이르게 됩니다. 특히 추상은 그렇다고 봐요. 당대가 포착하고자 하는 어떤 사상을 둘러싼 지성적 논쟁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할 듯해요. 이 당대성을 자신의 언어로 간파할 줄 알아야 하는데 무척 힘든 지점이긴 합니다.

근데 이건 예술계에서 전혀 관심이 없는 분야이죠. 요즘 미술작가 중에 책 안 읽는 작가가 의외로 많다는 사실에 놀라곤합니다. 우리나라 미술계에서 당대성을 논하기에는 너무 먼 나라 얘기 같아요. 당대성을 담아보기 위해 노력해도우리나라 미술계에선 현재까지 형상을 너무도 중하게 여겨서뤼...

김환기의 고뇌가 무엇이었는가는...지금도 진행형인듯해요. 저도 이 책을 구매해서 읽어봐야 겠습니다!

weekly 2023-10-04 19:15   좋아요 1 | URL
김환기의 작품들을 인터넷으로 죽 찾아보면서 아내와 나눴던 대화가 생각이 나네요. 아내는, 김환기의 달 항아리 그림들이 좋다고 했고, 저는 그런 그림들은 우리같은 한국 사람들에게나 정서적 울임이 있지, 저쪽 사람들에게는, 이게 뭐지? 둥근 선에 대한, 혹은 하얀 색면에 대한 연구인가, 하는 반응 밖에 이끌어낼 수 없다고 말했었죠.
그러나 어쨌든 현실은 개념의 운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현상들은 수 많은 외부 효과, 우발성 등에 의해 주조될 테지요. 그 작가가 왜 떴지? 그러면 우리는 사후적으로 근사한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겠지만, 내러티브는 그저 내러티브일 뿐일 것입니다.
((제 생각에) 이런 주제를 다룬 영화, 잭슨 폴락을 감명 깊게 본 기억이 납니다. 혹 보지 않으셨다면 꼭 보세요.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yamoo 2023-10-05 07: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위클리님의 추천작 꼭 보겠습니다. 저도 달항아리 그림을 부정적으로 보는데....김환기 이후 달항아리 그리는 작가 엄청 많습니다. 저는 도대체 왜 그리는지 이해가 안되는데...달항아리가 한국적 정서를 잘 나태낸다고 생각해서 그린다고 합니다. 저는 전혀 아닌 거 같은데...뭐 수요가 있으니까 줄창 그리겠죠. 우리나라에서 지명도 있는 작가 치고 달항아리 안그리는 작가가 없는 듯합니다. 잘팔린다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