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챙김의 시
류시화 엮음 / 수오서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 시읽기 14일

​야생 붓꽃
- 루이스 글릭(Luise Gluck)

​내 고통의 끝에
문이 있었다.

내 말을 끝까지 들어 보라.
당신이 죽음이라고 부르는 것을
나는 기억한다.

머리 위, 소음들, 소나무 가지들의 자리바꿈
그 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흐린 태양만이
메마른 흙 위에서 깜박거릴 뿐.

끔찍한 일이다, 어두운 땅속에 묻혀
의식을 가지고
생존한다는 것은.

그때 끝이 났다. 당신이 두려워하는 것이,
한 영혼으로 존재하면서도 말을 할 수 없던 상태가
갑자기 끝나고, 딱딱했던 흙이
약간 위로 부풀었다. 그러자 내게 새라고 여겨지는 것들이
키 작은 관목 속으로 내리꽂혔다.

다른 세상에서 돌아온 통로를
기억하지 못하는 당신
나는 당신에게 말한다, 내가 다시
말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잊혀진 상태에서 돌아오는 것은 무엇이든
목소리를 갖는다는 사실을.

내 삶의 중심으로부터
커다란 물줄기가 솟아났다.
하늘색 바다에
깊고 푸른 그림자를 드리우며.
(류시화 옮김)

​The Wild Iris

​At the end of my suffering
there was a door.

​Hear me out: that which you call death
I remember.

​Overhead, noises, branches of the pine shifting.
Then nothing. The weak sun
flickered over the dry surface.

​It is terrible to survive
as consciousness
buried in the dark earth.

​Then it was over: that which you fear, being
a soul and unable
to speak, ending abruptly, the stiff earth
bending a little. And what I took to be
birds darting in low shrubs.

​You who do not remember
passage from the other world
I tell you I could speak again: whatever
returns from oblivion returns
to find a voice:

from the center of my life came
a great fountain, deep blue
shadows on azure seawater. ​


202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루리스 글릭(77세)의 시다. 나는 이 시인을 이번에 처음 알았다.

여성이 상을 탄 것은 환영이고, 미국인으로서 10번째인 건 유감이다. 노벨상, 그 중에서도 문학상은 지나치게 서양에 치우쳐 있다.

우리나라에는 류시화 시인이 올해 출간한 #마음챙김의시(수오서재) 시집에 이 시가 수록되어 있고, 조이스 박의 <<내가 사랑한 시옷들>>(포르체)에 다른 시 한 편이 소개 되어 있다. 두 시집 모두 아직 읽어보지 못했다.

노벨상에 선정된 후 스웨덴 한림원이 시인과 한 통화가 화제인가 보다. 노벨상 관계자가 글릭이 추구하는 '살아 있다는 것'의 의미를 묻자 글릭은 자신은 아침 커피를 마셔야 하니 2분의 시간만을 허락하며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그건 지나치게 거대한 문제고, 여기는 아침 7시밖에 안 됐다. 그에 대해선 생각하는 것도 많고, 하고 싶은 말도 많죠. 그렇지만 2분이 지나지 않았나요?"

아주 시건방진 인터뷰로 보일 수 있겠으나, 자신이 누리는 일상을 방해받고 싶지 않은 마음도 이해할 만하다. 노벨상 상금으로 원하는 집을 살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기쁘다고 한다.

2009년에 글릭에 관한 논문을 쓴 양균원 대진대 영문과 교수는 글릭의 시에 대해 이렇게 평했다. "굉장히 언어가 간결하고, 언어가 투명해서 어려운 단어를 거의 쓰지 않는다. 간결하고 투명한 언어 속에 고통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출처: 조선일보)

​이 시는 첫 두 행이 아주 마음에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의 꽃 민음사 세계시인선 1
보들레르 지음, 김붕구 옮김 / 민음사 / 197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20201011 매일 시읽기 13일

#음울 Spleen
- #샤를피에르보들레르

오랜 권태에 사로잡혀 신음하는 마음 위에
무겁게 내리덮인 하늘이 뚜껑처럼 짓누르며,
지평선의 틀을 죄어 껴안고, 밤보다도 더욱
처량한 어두운 낮을 우리에게 내리부을 때.

대지가 온통 축축한 토굴감옥으로 변하고,
거기서 <희망>은 박쥐처럼 겁먹은 날개로
마냥 벽들을 두들기며, 썩은 천장에
머리를 이리저리 부딪치며 떠돌 때,

내리는 비 광막한 빗발을 펼쳐
드넓은 감옥의 쇠격자처럼 둘러칠 때,
더러운 거미들이 벙어리떼를 지어
우리 뇌 속에 그물을 칠 때면,

별안간 종들이 맹렬하게 터져 울리며
하늘을 향하여 무시무시한 고함을 지르니,
흡사 고향을 잃고 떠도는 정령들이
끈길지게 울부짖기 시작하는 듯.

ㅡ 그리곤 북도 음악도 없는 긴 영구차 행렬이
내 넋 속을 느릿느릿 줄지어 가는구나.
<희망>은 꺾여 눈물짓고 잔인 난폭한 <고뇌>가
내 푹 숙인 두개골 위에 검은 기를 꽂는다.


#악의꽃 제1부에 실려 있는 4편의 <음울Spleen> 중 맨 끝 편이다.

민음사에서 세계시인선으로 1974년 출간된 <<악의 꽃>>은 번역문과 원문이 함께 실려 있고, 문학 박사인 김붕구 교수의 상세한 해설로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내가 가지고 있는 시집은 1994년의 개정 증보판 1쇄이다. 해설은 글자 크기가 작고, 외람되지만 옮긴이의 우리말 글쓰기가 원활하지 않아 읽기에 쉽지 않다.

#악의꽃 초판은 1857년, 보들레르 나이 37세 때 출판되었다. 총 101편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861년 출간된 증보판에서는 6편이 삭제되고 36편이 추가되어 총 130편 6부로 구성되었다. 초판 출간 당시 호불호가 분명하게 나뉜 이 시집은 몇몇 과도한 표현들로 법원에서 6편 삭제라는 유죄판결을 받았다.

보들레르는 이 시집을 두고 ˝이 혹독한 책 속에, 나는 내 온 심혼을, 내 온 애정을, 내 온 종교(변조된)를, 내 온 증오를 집어넣었소.˝라고 말했다고 한다. ​

나는 20대 때 보들레르를 읽고 구체적으로 뭐가 좋은지 말할 수는 없지만, 그의 고뇌와 절망이 읽혀 좋아했다. 보들레르는 괴팍한 성격의 소유자였다. 반사회적이고 반정통적이었다. 방탕한 한량이었고, 고립된 외톨이였다(쉬운 말로 왕따). 보들레르는 다른 사람들과의 사교 접점을 못 찾은 인물로 보인다. 짧은 생(46세)을 살다간 것이 그에게는 다행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음울은 이 시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시였다. 마지막 두 행은 이 시의 압권이다. ˝‘희망‘은 꺾여 눈물짓고 잔인 난폭한 ‘고뇌‘가 / 내 푹 숙인 두개골 위에 검은 기를 꽂는다.˝

희망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 권태의 동굴. 이 시를 압축하라면 나는 이렇게 표현하고 싶다. 사는 동안 이런 때를 마주하지 않으면 좋겠지만 신은(나는 신을 믿지는 않는다) 인간에게 그런 삶을 허락하지 않았다. 희망이 박쥐처럼 날개를 접고 웅크리고만 있을 때 사람들은 무엇에 기대 하루하루 살아가나. 그런 게 궁금해지는 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한책읽기 2020-10-11 22: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럴수럴수. 황현산님의 2016년 리뉴얼 번역본이 있다는 걸 미처 몰랐다니. 꺼이~~~
 
둘이라서 좋아
김응 지음, 황정하 그림 / 창비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10 매일 시읽기 12일 



모든 게 놀이 

- 김응 


냉장고에 먹을 게 없을 때는 

식당 놀이를 할 거야 

나는 솜씨 좋은 주방장 

동생은 배고픈 손님 

주방장은 색종이로 김밥을 만들고 

지우개 가루로 국수를 만들어 

뚝딱 음식을 내놓지 



방바닥이 차가울 때는 

겨울 왕국 놀이를 할 거야 

나는 성에 갇힌 엘사 

동생은 용감한 안나 

안나는 보자기 망토를 두르고 

비닐봉지 장화를 신고 나타나 

엘사를 구해 내지 



집 안이 깜깜할 때는 

동굴 탐험 놀이를 할 거야 

나는 지혜로운 대장 

동생은 똑똑한 대원 

손과 손을 마주 잡고 

한 걸음 한 걸음 발맞춰 

둘이 함께 길을 헤쳐 나가지 


​김응 시인의 <<둘이라서 좋아>>(창비)에 실려 있는 시들 중 한 편이다. 지인으로부터 선물로 받은 시집이었는데, 이제야 펼쳐서 또박또박 읽는다. 이제야 읽어 미안해지는 시집이다. 읽다가 아리고 짠하고 슬프다 기쁘다 한다. 귀결되는 감정은 므흣므흣.

김응 시인에게는 김유라는 동화를 쓰는 동생이 있다. 자매 작가들이다. 김유 작가가 소개글을 썼다. 눈시울이 불거지게 할 만큼 슬프고 아픈 이야기를 발랄하게도 썼다. <<둘이라서 좋아>> 시집도 비슷한 톤을 띠고 있다. 명랑하게 써내려간 가난한 날들의 기록. 

​이 시집은 열두 살 언니와 일곱 살 동생이 부모를 잃고 둘이 사는 동안 있었던 경험담을 이야기한 동시집이다. 의지할 대상이 둘밖에 없었기에 자매의 정이 돈독하다.

​‘모든 게 놀이‘는 자매가 슬픔을 이겨 내기 위한 방법으로 했던 무수한 놀이에서 탄생한 시다.

​˝슬픔을 이겨 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요, 생각을 바꾸는 거예요. 슬프다고 생각하면 정말로 한없이 슬퍼지니까요. 그렇게 우리는 모든 것을 놀이로 만들었고, 그 놀이들은 우리를 꿈꾸게 했어요.˝(김유 97)

​놀이로 꿈을 꾸던 열두 살 언니와 일곱 살 동생은 동시 작가, 동화 작가가 되어 시와 이야기로 아이들에게 꿈을 실어 나르며 지금도 의좋게 산다. 물론 날마다 싸우면서(동생의 말이다 ㅋ).  

슬픔을 승화해 마음을 정화하는 이야기. 슬프고도 아름다운 이야기. 아이와 어른이 둘이 함께 읽으면 더 좋은 시집. 중딩 딸이 말했다. ˝슬픈데 공감이 갔어. 또 엄마 얘기더라고.˝ ㅋ 딸에게 내 어린시절 이야기를 들려주길 잘했다. 이 친구의 공감력은 상상력에서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독은 잴 수 없는 것 민음사 세계시인선 리뉴얼판 11
에밀리 디킨슨 지음, 강은교 옮김 / 민음사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09 매일 시읽기 11일

고독은 잴 수 없는 것
- 에밀리 디킨슨(1830-1886)

고독은 잴 수 없는 것 ㅡ
그 크기는
그 파멸의 무덤에 들어가서 재는 대로
추측할 뿐 ㅡ

고독의 가장 무서운 경종은
스스로 보고는 ㅡ
스스로 앞에서 멸하지나 않을까 하는 것 ㅡ
다만 자세히 들여다보는 동안 ㅡ

공포는 결코 보이지 않은 채 ㅡ
어둠에 싸여 있다 ㅡ
끊어진 의식으로 ㅡ
하여 굳게 잠가진 존재 ㅡ

이야말로 내가 두려워하는 ㅡ 고독 ㅡ
영혼의 창조자
고독의 동굴, 고독의 회랑은
밝고도 ㅡ 캄캄하다 ㅡ

에밀리 디킨슨은 오래 전부터 좋아하는 시인들 중 한 명이었다. 올해 출간된 마리아 포포바의 <<진리의 발견>>에서 에밀리 디킨슨 편을 읽고 더욱 좋아하게 되었다. 디킨슨은 1789편의 시를 남겼다고 한다. 전해진 시만 그렇고 분실된 시들을 고려하면 2000편이 넘을 것이라고 한다.

에밀리 디키슨은 지독한 은둔자였다.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했다. 매일 새벽 3시에 일어나 아침까지 책상 앞에 앉아 사색에 잠기거나 책을 읽거나 편지를 쓰거나 시를 쓰거나 소책자를 만들었다. 마리아 포포바가 들려주는 디킨슨의 은둔 생활은 가히 놀랍다.

"에머슨이 에버그린즈를 방문했을 무렵부터 디킨슨은 하얀색 옷을 입기 시작했고 자신이 쓴 시를 모아 바느질로 엮어 작은 책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 책자는 디킨슨이 세상을 떠난 후에야 발견된다. 디킨슨은 얼마 지나지 않아 바깥세상과 거의 완전히 차단된 육체의 은둔 생활로 점점 더 깊이 파고 들어가기 시작했다. 남은 25년 동안 에밀리는 자신의 작은 책상에서 글을 쓰며 거의 침실을 떠나지 않았고, 육체가 없는 존재로 방문객을 맞아들이고, 손님들과는 응접실 문을 사이에 둔 채 대화를 나누었다. 심지어 어머니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 . "(<<진리의 발견>> 508쪽) ​

디킨슨은 바깥세상과의 문을 스스로의 의지로 굳게 닫아 걸었지만, 마음 한 켠에는 소통의 욕구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렇게 많은 시를 써서 책자까지 만들었을까. 실제 그녀는 한 시에서 말한다.

"이것은 세계에 보내는 편지야 / 세계는 결코 나에게 편지를 쓰지 않았지만 ㅡ"

이 구절을 읽을 때면 디킨슨이 얼마나 외로웠을지, 얼마나 소통하고 싶었을지 그저 느껴져서 짠해진다. 시인은 독자의 이런 감정에 불편해할지 모르겠다. 아마도 디킨슨은 자기 나름의 노력을 했을 것이다. 그러다 더 이상의 노력이 의미 없다는 결론에 이른 게 아니었을까.

디킨슨에게 시는 자기만의 대화법이자 세상과의 소통법이었다. 시라는 갑옷으로 스스로를 무장해 보았지만 갑옷 속 디킨슨은 언제나 쓸쓸하고 고독했다. 그의 고독은 시에서 말하듯 "잴 수 없는 것"이었다. 이 시가 지금도 많은 사랑을 받는 것은 세상 모든 이가 그 누구도 알 수 없는, 나만의 "잴 수 없는" 고독을 겪고 살기 때문이다. 슬픔처럼 고독 또한 절대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의 꽃 (앙리 마티스 에디션)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지음, 앙리 마티스 엮고 그림, 김인환 옮김, 정장진 그 / 문예출판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08 매일 시읽기 10일

가을의 노래 Chant d'automne
- 샤를 피에르 보들레르

1
머지않아 우린 차디찬 어둠속에 잠기리니,
잘 가거라, 너무 짧았던 우리 여름날의 찬란한 빛이여!
내겐 벌써 들리네, 음산한 충격과 함께
안마당 바닥 위로 떨어지며 울리는 소리가

분노, 미움, 전율, 공포, 그리고 강요된 힘든 노력
이 모든 겨울이 내 존재 안에 들어오려 하네,
그러면 내 심장은 극지의 지옥 속에 뜬 태양처럼
벌겋게 얼어붙은 덩어리에 지나지 않겠지.

난 몸을 부르르 떨며 장작 하나하나 떨어지는 소리를 듣네,
교수대 세우는 소리 그보다 더 육중하게 들리진 않으리라.
내 정신 집요하고 육중한 파성추에
허물어져가는 탑과 같아라.

이 단조로운 충격 소리에 흔들리며
어디선가 누가 관에 서둘러 못질하는 소리 듣는 듯.
누굴 위해서?ㅡ어제만 해도 여름이었는데. 벌써 가을이!
저 신비스런 소리는 어떤 출발신호처럼 울리네.

2
난 사랑해요, 당신의 갸름한 눈에 감도는 초록빛을.
다정한 미녀여, 하지만 오늘은 모든 것이 씁쓰레하네.
그대의 사랑방이나 규방이나 난로 그 무엇도 모두
내겐 바다 위에 빛나는 태양만 못하오.

그래도 날 사랑해주오, 정다운 님이여! 내 엄마 되어주오,
은혜를 모르고 짓궂은 사람이라 해도
애인이거나 누님이거나, 영광스런 가을의
아니면 지는 태양의 순간적 감미로움 되어주오.

덧없는 인생, 무덤이 기다리는구나, 허기져 입 벌린 무덤이!
아! 제발 잠시나마 내 이마 그대 무릎 위에 묻고
작열하던 뜨거운 여름 그리워하면서,
만추의 따사로운 누런 햇빛 맛보게 해주오!

문예출판사에서 2018년에 출간한 보들레르의 <<악의 꽃>> 은 화가 마티스가 <<악의 꽃>> 1판에서 3판까지의 시들 중 직접 엄선해 삽화를 곁들인 것이다. 소장용으로 갖고 있기 좋은 시집이다.

보들레르의 시는 전반적으로 애수가 짙다는 게 내 느낌이다. 어린 시절이 불우하고 불안했다. 아버지의 죽음. 어머니의 재혼. 고등학교 중퇴, 가난한 파리 생활. 1821년에 태어난 보들레르는 오른쪽 반신마비를 앓다 1867년 46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그는 어머니의 품에 안겨 눈을 감았다. 이승을 너무 일찍 떠났다.

마티스는 1869년에 태어나 1954년 89세의 나이에 이승의 끈을 놓았다. 그는 천수를 누렸다.

<가을의 노래> 첫 두 행은 우리 인간의 삶을 압축해 놓은 느낌이다. 느낌표와 더불어 강렬하다. 잘 자거라, 생이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