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021 매일 시읽기 23일 

탱자 꽃잎보다도 얇은 
- 나희덕 

나는 어제보다 얇아졌다 
바람이 와서 자꾸만 살을 저며 간다 
누구를 벨 수도 없는 칼날이 
하루하루 자라고 있다 

칼날을 베고 잠들던 날 
탱자꽃 피어 있던 고향집이 꿈에 보였다
내가 칼날을 키우는 동안 
탱자나무는 가시들을 무성하게 키웠다 
그러나 꽃도 함께 피워 
탱자나무 울타리 아래가 환했다 

꽃들을 지키려고 탱자는 가시를 가졌을까 
지킬 것도 없이 얇아져가는 나는 
내 속의 칼날에 마음을 자꾸 베이는데 
탱자 꽃잎에도 제 가시에 찔린 흔적이 있다 

침을 발라 탱자 가시를 손에도 붙이고 
코에도 붙이고 놀던 어린 시절 
바람이 와서 탱자가시를 가져가고 살을 가져가고 

나는 어제보다 얇아졌다 
나는 탱자 꽃잎보다도 얇아졌다 
누구를 벨지도 모르는 칼날이 
하루하루 자라고 있다 


나희덕의 <<그곳이 멀지 않다>>를 계속 읽는다. 시들이 좋아서 당분간 이 시집만 뒤적거릴 듯하다. 

노랗게 익은 동글동글한 탱자, 시큼 떱떠름한 맛이 나는 탱자. 내가 아는 탱자나무는 이게 전부였는데, 이 시를 읽고 탱자나무는 하얀 꽃을 피운다는 것, 하얀 꽃잎들은 여리다는 것, 가지에는 가시가 뾰족뾰족 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탱자나무 가시는 꽃잎의 수호자인 듯, 위협꾼인 듯 날을 세우고 있다. 때론 꽃들을 지키고 때론 꽃들을 벤다. 

내 속에도 탱자나무 가시 같은 칼날이 있다. 바람이 툭하면 내 살을 저미고 지나가지만 그에 대항하듯 화자의 속에서는 ˝칼날˝이 자란다. 허나 그 칼날은 아직 누구도 벨 수 없다.

이 시에서 바람은 삶의 고난으로 읽힌다. 바람의 종류가 다양한 만큼 바람에 베는 상처의 깊이도 때마다 다를 것이다. 바깥의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살지 않으려면 무장을 해야 한다. 어떻게? ˝내 속의 칼날˝을 키우는 것이다.

˝내 속의 칼날˝은 탱자나무 가시처럼 수호자이자 위협꾼이다. 나를 무장하고자 키운 칼날에 ˝마음을 자꾸 베이˝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 시가 묻고 있다.

나희덕 시인의 산문집 <<반 통의 물>>에 ˝내 유년의 울타리는 탱자나무였다˝라는 제목의 산문이 실려 있다고 한다. 오호라. 일단은 대출하는 걸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01020 매일 시읽기 22일 

그곳이 멀지 않다 
- 나희덕 

사람 밖에서 살던 사람도 
숨을 거둘 때는 
비로소 사람 속으로 돌아온다 

새도 죽을 때는 
새 속으로 가서 뼈를 눕히리라

새들의 지저귐을 따라 
아무리 마음을 뻗어보아도 
마지막 날개를 접는 데까지 가지 못했다 

어느 겨울 아침 
상처도 없이 숲길에 떨어진 
새 한 마리 

넓은 후박나무 잎으로 
나는 그 작은 성지를 덮어주었다 


나희덕의 시집의 해설을 맡은 황현산 선생님(나는 이분을 이렇게 칭한다)은 나희덕의 시를 ˝착하다˝고 표현한다. 표제작인 <그곳이 멀지 않다>를 읽으면 그 말이 확 와닿는다.

어느 겨울 아침, 새 한 마리가 숲길에 쓰러져 있다. 녀석은 숨을 쉬지 않는다. 이제 더는 숨이 쉬어질 것 같지 않을 때, 그냥 딱 숨이 넘어갈 것만 같을 때 생명이 남아 있는 것들을 어찌하나. 시인의 생각은 거기에 이르러 뻗어 나간다.

사람들 밖을 떠돌던 사람도, 새들 밖을 떠다니던 새도 임종에 이르러서는 ˝사람 속으로,˝ ˝새 속으로˝ 돌아온다고 시인은 말한다. 귀향 본능.

내가 나희덕의 시를 아무튼, 좋다고 했지만, 그의 시를 읽노라면 만물을 향한 시인의 연민과 더불어 아, 하는 깨달음의 순간을 만나게 되어서 참 좋다. 아, 하는 탄성에 이어 나도 시인처럼 생각의날개를 편다.

죽음은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길이다. 어떤 죽음을 맞을지는 누구도, 본인 자신도 모른다. 그러나 나의 죽음 이전에 우리는 죽어가는 이가 저승길에 오를 때 같이 가주지는 못해도 손이라도 잡아주고 싶어 한다. 홀로 가야 할 ˝그곳˝이지만, 맞잡은 손에서 느낀 온기라도 품고 가길 바란다. 물론, 누구에게나 그런 행운이 주어지진 않는다.

시인은 열심히 달려 보았지만 새가 ˝마지막 날개를 접는˝ 지점엔 이르지 못했다. 새는 덩그러니 차가운 바닥에 떨어져 있다. 싸늘한 죽음. 온기를 미처 전하지 못한 산 자가 할 수 있는 일, ˝넓은 후박나무 잎으로˝ 작디작은 몸뚱이를 덮 어 준 다. 이것밖에 할 수 없어 참담하나 이거라도 할 수 있어 다행이다.

나는 나희덕의 시를 ˝따뜻하다˝고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명랑한 은둔자
캐럴라인 냅 지음, 김명남 옮김 / 바다출판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20

<<명랑한 은둔자>> 캐럴라인 냅 / 김명남 옮김 / 바다출판사

아니, 이런 멋진 여인을 어찌하여 이제야 알게 되었단 말인가. 그것도 사후 18년 만에 알게 되었다고? 럴수럴수.

<<명랑한 은둔자>>를 읽으면 읽을수록 나를 지배했던 생각이었다. 그녀를 좀 더 일찍, 그러니까 때로 당당하게, 때로 구질구질하게, 때로 처참하게 솔로 생활을 했을 때 그녀를 알았더라면 내 많은 번민을 그녀와 머리 맞대고 나누었을 것이다.

모든 여성 솔로들에게, 솔로를 지향하고 지향했던 이들에게, 솔로의 삶을 접었으나 여전히 그 삶을 갈구하는 이들에게 이 책을 강추한다. 같이 낄낄거리다, 같이 훌쩍거리다, 같이 서운해 하다, 같이 화해하다, 같이 즐거워하다, 같이 분기탱천 하게 된다.

에세이의 정수를 맛본 느낌. 아주, 아주 맛깔스럽다. 톡톡 튀되 경박하지 않고, 진지하되 묵직하지 않다.

번역도 완전 깔끔하다. 소제목들을 어찌나 잘 뽑았는지. 아이디어의 출처가 원작자인지, 번역자인지, 편집자인지 궁금하다.

책은 대개 그렇지만, 이 책은 태평양을 사이에 둔 먼나라 여성 솔로의 이야기지만, 우리네와 별반 다를 것 없는 경험들, 그 경험들에 따르는 정서들이 우리네와 얼마나 닮았는지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았다. 우리 모두는 저마다 다르지만 '사람'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는 존재들이다.

생각거리, 애깃거리를 많이 던져주는 책. 조 으 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곳이 멀지 않다
나희덕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20201019 매일 시읽기21일

천장호에서
- 나희덕

얼어붙은 호수는 아무것도 비추지 않는다
불빛도 산 그림자도 잃어버렸다
제 단단함의 서슬만이 빛나고 있을 뿐
아무것도 아무것도 품지 않는다
헛되이 던진 돌멩이들,
새떼 대신 메아리만 쩡 쩡 날아오른다

네 이름을 부르는 일이 그러했다


나희덕의 <<그곳이 멀지 않다>> 에 실려 있는 첫 시다. 이 시집은 1997년에 초판이 출간되었고 2004년에 재출간되었다. 내가 가진 시집은 2004년판이다.

나는 나희덕의 시집을 세 권 가지고 있다. 이 시집은 정확히 언제 구매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 구입만 해두었다 오늘에야 펼쳤다.이런 책이 한두 권이 아니다. 윽.

나희덕의 시는 읽으면 그냥 좋다. 어렵지 않은데 쉽지만도 않고, 무겁지 않은데 가볍지만도 않다. 아무튼, 좋다. 시인의 말을 읽고서 아, 내가 이 느낌을 사랑했던 거구나를 알게 되었다.

˝어릴 때 나는 유난히 울음이 많았다. 노을 빛을 우두커니 바라보다가도 눈가에 물기가 맺혔고, 심중의 말을 간곡하게 몇 마디 꺼내려 하면 울먹임이 앞을 가로막았다. 너무 아름답거나 간절한 것을 보며 왜 어린 나이에 환희보다 아련한 슬픔을 느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툭하면 터지던 울음이 문학이라는 불꽃을 지피는 주된 연료였을 거라는 생각이 들곤 한다. / 그렇다고 해서 내가 감상적 낭만주의자란 말은 아니다. 오히려 내 문학이 만물에 대한 눈물 글썽임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식하면서부터 그 물기를 말리고 식히는 데 애를 썼다.˝(135)

˝내 시의 팔 할은 슬픔이나 연민의 공명에서 시작된 게 아닌가 싶다. 내 안의 슬픔이 다른 슬픔과 만나 서로 스미고 어루만질 때 흘러나오는 언어. 또는 존재와 존재가 서로 삐걱거리고 뒤척이며 내는 소리들. 시는 그런 다양한 울음소리를 받아적은 것에 다름아니다. 그러니 시인이 귀울여야 할 것은 만물이 내는 울음소리의 섬세한 리듬과 결일 것이다.˝

천장호는 충청남도 청양군 정산면 천장리에 있는 인공 저수지이다. 천장호에는 길이 207m의 출렁다리가 있다고 한다. 보러 가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 문학과지성 시인선 542
허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18 매일 시읽기 20일

이장
- 허연

뼈의 입장이 되어버린
어머니의 마음을 생각하다가

이미 알고 있었던 일들이
나를 놀라게 한다는 걸 알았다

모든 예상된 일은
예상치 않게 나를 흔든다
물론 알고 있었다
어머니가 뼈가 됐다는 걸

나는 이장을 후회할 수 없다
다 예상했었고
모든 충격은 파도처럼 왔다 가니까

결심은 파도가 오기 전에 하는 거니까
파도가 가면 후회만 하면 되니까

무덤만 보고 사는 게 의미 없어서
뜨겁게 달려오곤 했던
그리움이
시간이 지날수록 자꾸
밋밋해지고 식는 게
스스로 창피해서

이제 때가 됐다고 생각하고
결심을 하고
어머니를 꺼냈고
다시 만났는데

그녀를 생각만 하다가
이제는 그녀의 뼈를 보는 일
뼈와 처지가 같아져버린
어머니를 보는 일

잠깐 무섭다가
부질없는 바람 탓을 하다가

이 커다란 동산에 뼈로 남은
무수한 존재들을 생각하다가

그나마 뼈로 지탱해준 기억들에게 감사하다가

산을 내려간다


허연 시인의 <<당신은 언제 노래가 되지>>를 다시 한 장 한 장 넘기다 이 시에서 시선은 멈추고 생각이 흘렀다.

올 6월 시아버지 무덤을 파묘했다. 이장이 아니라. 나는 생전의 아버님을 뵌 적이 없다. 내가 아는 시아버지는 사진 속, 이십 대의 얼굴을 가진 젊은 모습이다. 그래서 명절 때나 제사 때면 아이들이 묻곤 했다. "엄마, 할아버지는 할아버진데 왜 아빠보다 젊어?" ㅋㅋ 아버님이 실제 돌아가신 나이는 40대였다.

허연 시인이 <이장>에서 말하듯 나 또한 시아버님이 "뼈가 됐다는 걸" 어머님으로부터 듣고 또 들어 알고 있었다. 그러나 시아버님과의 처음이자 마지막 대면이 "뼈"라는 사실은 대단히 낯설었다. 나는 시인처럼 충격적이기보다는 신비로웠다. 팔과 몸통과 다리 뼈들은 툭툭 잘려(이장을 한 적이 있던 탓에) 조각들로 존재했지만 해골만은 거의 온전한 모습을 갖추고 있었다. 푹 패인 눈두덩, 솟은 코, 벌어진 입과 치아.

해골은 '바니타스(덧없음, 무상함)'를 주제로 한 그림들에 자주 등장하는 상징물 중 하나이다. 그림이나 사진으로만 접했던 두개골을 두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져도 보았다. 인간의 끝은 결국 부서지는 뼈인가 했다가, 화장 후 남은 뼈가루를 보고는, 아니 인간의 끝은 결국 한 줌 모래, 바람에 실려 훨훨 날아다닐 먼지구나 라는 걸 체감했다.

어머님은 자식들에게 짐을 지우고 싶어 하지 않으셨다. 당신의 정신과 수족이 아직 멀쩡할 때 묘자리를 정리하고 싶어 하셨다. 육남매 중 다른 의견을 가진 이도 있었지만, 자식들은 모친의 의사를 존중해 따랐다. 파묘를 하기 전 아내와 육남매와 손주들은 아버님의 묘 앞에 돗자리를 깔고 땅 속에 묻혀 있는 아버님께 마지막 인사를 했다. "이제 갇혀 있지 말고 훨훨 돌아다니슈." 어머님이 한 줌 재로 남은 남편을 날려 보내며 하신 말씀이었다.

묘가 없어지면 그리움도 없어질까. 그렇진 않으리라. 다만 시인의 말처럼 묘의 유무와 상관없이 죽은 이에 대한 그리움은 "시간이 지날수록" 식을 수밖에 없으리라. 그것이 창피해하고 슬퍼할 일은 아닐 것이다. 곁에 있는 사람들을 더 사랑하면 되니까. 죽은 이가 남기고 간, 기억나거나 혹은 기억나지 않는 유산을 몸에 간직한 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