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은 잴 수 없는 것 민음사 세계시인선 리뉴얼판 11
에밀리 디킨슨 지음, 강은교 옮김 / 민음사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09 매일 시읽기 11일

고독은 잴 수 없는 것
- 에밀리 디킨슨(1830-1886)

고독은 잴 수 없는 것 ㅡ
그 크기는
그 파멸의 무덤에 들어가서 재는 대로
추측할 뿐 ㅡ

고독의 가장 무서운 경종은
스스로 보고는 ㅡ
스스로 앞에서 멸하지나 않을까 하는 것 ㅡ
다만 자세히 들여다보는 동안 ㅡ

공포는 결코 보이지 않은 채 ㅡ
어둠에 싸여 있다 ㅡ
끊어진 의식으로 ㅡ
하여 굳게 잠가진 존재 ㅡ

이야말로 내가 두려워하는 ㅡ 고독 ㅡ
영혼의 창조자
고독의 동굴, 고독의 회랑은
밝고도 ㅡ 캄캄하다 ㅡ

에밀리 디킨슨은 오래 전부터 좋아하는 시인들 중 한 명이었다. 올해 출간된 마리아 포포바의 <<진리의 발견>>에서 에밀리 디킨슨 편을 읽고 더욱 좋아하게 되었다. 디킨슨은 1789편의 시를 남겼다고 한다. 전해진 시만 그렇고 분실된 시들을 고려하면 2000편이 넘을 것이라고 한다.

에밀리 디키슨은 지독한 은둔자였다. 규칙적인 생활 패턴을 유지했다. 매일 새벽 3시에 일어나 아침까지 책상 앞에 앉아 사색에 잠기거나 책을 읽거나 편지를 쓰거나 시를 쓰거나 소책자를 만들었다. 마리아 포포바가 들려주는 디킨슨의 은둔 생활은 가히 놀랍다.

"에머슨이 에버그린즈를 방문했을 무렵부터 디킨슨은 하얀색 옷을 입기 시작했고 자신이 쓴 시를 모아 바느질로 엮어 작은 책자를 만들기 시작했다. 이 책자는 디킨슨이 세상을 떠난 후에야 발견된다. 디킨슨은 얼마 지나지 않아 바깥세상과 거의 완전히 차단된 육체의 은둔 생활로 점점 더 깊이 파고 들어가기 시작했다. 남은 25년 동안 에밀리는 자신의 작은 책상에서 글을 쓰며 거의 침실을 떠나지 않았고, 육체가 없는 존재로 방문객을 맞아들이고, 손님들과는 응접실 문을 사이에 둔 채 대화를 나누었다. 심지어 어머니의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았다. . . "(<<진리의 발견>> 508쪽) ​

디킨슨은 바깥세상과의 문을 스스로의 의지로 굳게 닫아 걸었지만, 마음 한 켠에는 소통의 욕구가 있었던 것으로 짐작된다. 그렇지 않고서야 그렇게 많은 시를 써서 책자까지 만들었을까. 실제 그녀는 한 시에서 말한다.

"이것은 세계에 보내는 편지야 / 세계는 결코 나에게 편지를 쓰지 않았지만 ㅡ"

이 구절을 읽을 때면 디킨슨이 얼마나 외로웠을지, 얼마나 소통하고 싶었을지 그저 느껴져서 짠해진다. 시인은 독자의 이런 감정에 불편해할지 모르겠다. 아마도 디킨슨은 자기 나름의 노력을 했을 것이다. 그러다 더 이상의 노력이 의미 없다는 결론에 이른 게 아니었을까.

디킨슨에게 시는 자기만의 대화법이자 세상과의 소통법이었다. 시라는 갑옷으로 스스로를 무장해 보았지만 갑옷 속 디킨슨은 언제나 쓸쓸하고 고독했다. 그의 고독은 시에서 말하듯 "잴 수 없는 것"이었다. 이 시가 지금도 많은 사랑을 받는 것은 세상 모든 이가 그 누구도 알 수 없는, 나만의 "잴 수 없는" 고독을 겪고 살기 때문이다. 슬픔처럼 고독 또한 절대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