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개의 고양이 눈 - 2011년 제44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최제훈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여기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이라는 책이 있다. 페이지를 넘기자 왠지 진부한 듯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산장에 모인 사람들이 하나둘 씩 죽어나간다. 뭐지, 이게. 다음 이야기를 펼쳐보자. 복수를 하는 사람들이 나온다. 이야기가 옮아가고, 복수가 전이된다. 나선계단에 빨려 들어가는 복수의 이야기. 마치 미궁 속에서 조금씩 변주되어 흐르는 멜로디 같다. 다음 이야기는 ‘ π’ 다. 여인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남자. 폐광 속에 갇힌 남자. 역시 이야기는 계속 변주되면서 배경음처럼 흐르고 있다. 마지막 네 번째 이야기의 제목은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이다. 그러나 제목이 암시하듯, 마지막 이야기라고 확신할 수 없다. ‘일곱 개의 고양이 눈’ 에피소드는 결국 이 책 전체를 아우르는 이야기로 확장된다.
  이 책은 끊임없이 이야기를 하고 있다. 화자가 계속 바뀌면서 이야기가 쏟아진다. 분명 같은 이야기인 것 같으면서도, 앞에서 한 이야기인 것 같으면서도 묘하게 다르다. 기시감과 미시감이 번갈아 느껴진다. 이 장치를 통해 이 소설은 독특한 개성을 확보한다. 끊임없이 변주되는 이야기는 독자가 정신을 차릴 틈을 주지 않는다. 독자는 어느새 이야기의 소용돌이에 빠져버리고 마는 것이다.
  최제훈은 전작 [퀴르발 남작의 성]에서 이미 그 탁월한 스토리텔링 능력을 선보인 바 있다. 한국 소설에서는 보기 드문, 기존 소설을 패러디하는 방식으로, 프랑켄슈타인, 셜록 홈즈, 드라큘라, 마녀, 같은 유명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새롭게 바꾼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퀴르발 남작의 성]이 첫 소설집인데도 불구하고 많은 독자들의 호평을 받으면서 날개 돋힌 듯 팔려나간 이유는, 새로운 스타일, 실험성, 거침없는 글쓰기에서 독자들의 희열을 느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그의 첫 장편인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여전히 최제훈 작가만의 글쓰기 스타일이 듬뿍 느껴지는 책이다. 먼저 실험적인 면을 꼽지 않을 수가 없다. 한 가지 이야기가 전체를 관통하는 전통적인 장편 서사 방식이 아니라, 네 개의 이야기가 상호보완을 하면서 미로를 만드는 독특한 구조를 펼치고 있다. 이런 실험적인 구성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게는 이 책은 아주 매력적인 작품으로 비칠 것이다. 구성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새롭고 혁신적인 재미를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작가가 심혈을 기울여 만든 구성은, 독자들에게는 퍼즐을 맞추는 듯한 쾌감을 느끼게 해준다. 읽고 나서도 다시 한 번 전체를 조망하고 싶은 욕망이 들며, 이야기의 연결 구조를 다시 관찰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런 실험성 때문에 필연적으로 캐릭터들이 입체적인 면을 갖지 못하고 도구적으로 비치는 단점을 수반한다. 그러나 이 책은 캐릭터들의 인간적인 면모에 집중을 하기보다는 ‘이야기’를 주요 소재로 잡았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즉, 전통적인 방식의 장편 서사를 기대하지 않는다면,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충분히 재미있는 소설이다.
  캐릭터의 개인사에 집중하지 않기 때문에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 동력으로, 다양한 지식들이 나열된다. 소설 속에 파편처럼 박혀 있는 흥미로운 상식 이야기들은, 소설의 흡인력을 높여주며 실험적인 장편 서사가 가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완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식들이 소설 분량을 채우고 있지 않았다면, 이 소설은 형식적인 실험만 보여서 지루하게 비칠 수 있었을 것이다.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 메타픽션을 떠올리게 하는 소설이라는 점은 이제 고작 두 권의 책을 낸 작가이긴 하지만, 작가 고유의 특징으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게다가, 앞에서도 말한 거침없는 글쓰기 역시 작가의 미덕 중 하나다. 무리한 듯한 이야기, 당황스런 이야기도 단 한 번의 주저함 없이 끝까지 밀어붙인다. 따라서 독자 역시 이야기의 힘에 이끌려서 빠른 속도로 페이지를 넘기게 된다. 서사의 전개 속도가 지나칠 정도로 빠르다고 할 수 있다. 그 점이 이야기의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다.
  핍진성이 떨어진다거나, 반복되는 이야기의 변주가 약간의 지루함을 동반할 수 있다는 것, 또한, 전체적인 구조에서 예견감이 드는 것 등은 아쉬운 점으로 남지만, 그 동안 비슷비슷한 한국 소설들 중에서 이렇게 완전히 새롭다고 할 수 있는 장편소설이 나왔다는 점은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한국 소설을 등한시하고, 외국 소설만 읽는 독자들에게 최제훈이라는 작가의 이름이 더 많이 알려지길 소망해본다. [퀴르발 남작의 성]과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현재 한국 소설가들이 예전과 달리 얼마나 자유롭고 자신있게 자기들만의 이야기를 펼쳐나가기 시작했는지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