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회 - 용녀는 고리를 던져 소년을 구하고 오공은 도적을 죽여 수행승을 구하다


p.169

“내 방천극方天戟을 가져오너라!!”


   방천극이란 봉끝에 강철로 된 창과 같은 뾰족한 날과 옆에 초승달 모양의 ‘월아(月牙)’라는 날을 부착한 장병기로, 손잡이에 색깔을 칠해 장식하고, 끝이 정(井)자 모양으로 되어 있는 극(戟)이다. (극은 고대 중국에 있던, 과戈와 창槍의 기능을 갖춘 무기이다.) 두 개의 월아가 손잡이를 중심으로 좌우대칭 형태로 부착되어 있는 것을 방천극이라 하며, 이 월아가 한쪽에만 달려 있는 방천극을 청룡극(靑龍戟) 또는 극도(戟刀)라 했다. 엄밀히 말해 『요원전』에서 금각대왕이 사용하는 것은 방천극이 아니라 청룡극(또는 극도)이어야 하지만, 요즘엔 그냥 섞어 사용하는 것 같다.



방천극 


청룡극


   『서유기』에서 금각대왕이 사용하는 무기는 칠성검이다. 아마 금각과 은각의 다섯 가지 보배 중 자금 홍호로와 양지옥 정병만 나눠 갖고, 나머지 세 개는 같이 쓴 것 같다. 그럼 방천극은 『서유기』에 등장하기는 하는가? 그렇다. 손오공이 잡혀간 삼장 법사를 구출하기 위해서 은각을 죽이고, 이들 요괴의 거처를 말 그대로 쑥대밭으로 만들었으며, 이들 요괴들의 어머니 또한 때려 죽여 금각의 분노가 극에 치달았을 때, 금각대왕의 외삼촌 되는 호아칠대왕(狐阿七大王)이 원군으로 오는데, 바로 그 호아칠대왕이 사용하는 무기가 방천극이다. 호아칠대왕은 저팔계의 쇠스랑에 등판을 내리 찍혀 누이와 조카의 원수도 갚지 못하고 죽었다.

   참고로 방천극은 『삼국지연의』에서는 봉선(奉先) 여포(呂布)가, 『수호전』에서는 소온후(小溫侯) 여방(呂方), 새인귀(賽仁貴) 곽성(郭盛)이 쓰는 무기이다.



p.184

“왠지 몰라도 네놈이 그렇게 저 중을 편들던 걸로 보아... 미끼가 돼줄 것 같았지. 예전부터 용아녀 꽁무니에 달라붙어 알짱알짱 대는 것이 그리도 눈꼴사나울 수가 없더니만... 이제 여기가 네 무덤이 될 줄 알거라!”


   플롯홀(plot hole)이다. 정세귀 일당은 손오공이 어떤 상황에 빠졌는지 전혀 모르는 상황이었고(앞에서 용아녀가 혼자 나타났을 때, 은각을 비롯한 여러 도적들이 손오공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은 것도 이상했다.) 손오공이 뒷길로 평정산 산채에 올지 모르는 상황이었다. 게다가 현장까지 인질로 잡고 있었는데, 이는 제13회, p.066에서 정세귀 일당이 현장을 죽이지 않은 것에 대한 일종의 변명이다. 그때 이들은 내광사에서 살인, 방화, 약탈을 자행했었기 때문에, 현장을 죽이지 않은 것은 누가 봐도 이상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때 현장이 죽었더라면 『서유요원전』은 이야기도 제대로 진행 못해보고 끝났을 것이다.)

   어쨌든, 손오공과 정세귀, 영리충 등을 한 데 묶은 것은 제천대성의 힘을 끌어낸 손오공에게 신진철을 연결, 그 힘을 보여주려는 모로호시 선생의 의중이 들어있을 것이다.



p.198

“그래, 아직 이게 있었지! 골짜기의 영기가 남았다면... 이 금환으로...”


   『요원전』에서 용아녀가 금환을 던져 손오공을 위기에서 벗어나게 하는 장면은 『서유기』 6회에서 태상노군이 손오공에게 금강탁(金鋼琢)을 던지는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금강탁이란 금강투(金鋼套)라고도 불리는데 “곤오(錕吾)에서 산출되는 강철을 두드려 만든 것으로 물과 불이 침범하지 못할 뿐 아니라, 이 세상 어떤 물건이라도 이것을 던져 올리면 모조리 빼앗는 힘까지 지닌 무기(乃錕鋼摶煉的,善能變化,水火不侵,又能套諸物)”이다. 태상노군은 이것을 호신용 병기로 사용하며, 평소에 왼 팔뚝에 끼고 다닌다.

   태상노군이 손오공에게 금강탁을 던지는 이유를 조금 살펴보면, 앞서도 이야기했듯이 손오공이 반도원의 9천년 된 복숭아를 모조리 따먹고 옥황상제의 칙령을 거짓으로 남발했으며 반도회의 음식들을 몰래 먹어 연회를 망쳐놓았고 태상노군의 구전금단을 몽땅 훔쳐 먹어 천궁을 뒤흔들자, 옥황상제의 명으로 탁탑 이천왕과 나타 삼태자를 필두로 천병 10만을 이끌어 치게 했다. 그러나 이천왕과 나타가 손오공에게 밀리게 되어, 마침 반도회에 참석하러 온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이천왕의 둘째 아들이자 자신의 제자인 혜안 행자(惠岸行者)를 시켜 이천왕을 돕게 했으나, 여전히 손오공이 우세였다. 그래서 이빙의 둘째 아들이자 옥황상제의 외조카인 현성이랑진군에게 명을 내려, 손오공을 토벌케 했는데, 손오공이 조금 밀리긴 했지만, 그래도 막상막하의 싸움실력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걸 보고 있던 태상노군이 이랑진군을 도와주기 위해 금강탁을 던진 것이다. 금강탁을 맞은 손오공은 “난데없이 공중에서 떨어진 물체에 정수리를 얻어맞고 걸음걸이가 흐트러져, 올바로 서 있지 못하고 휘청거리다가 그만 그 자리에 털썩 고꾸라지고 말(卻不知天上墜下這兵器,打中了天靈,立不穩腳)”아 이랑진군을 비롯한 여섯 의형제들이 “꼼짝 못하게 짓눌러놓고 밧줄로 꽁꽁 얽어 묶은 다음, 그것만으로도 모자라 갈고리처럼 구부러진 칼로 비파골(琵琶骨, 견갑골)을 꿰뚫어(即將繩索捆綁,使勾刀穿了琵琶骨)” 잡아갔다는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15회 - 오공은 상주성에서 큰 소란을 일으키고 은각은 책략을 써 용아녀를 꾀어내다


p.122

“이원길! 이원길... 이원길... 이원...기...일!”


   오공이 폭주하기 시작했을 때, 유일하게 기억하는 이름과 얼굴은 제왕 이원길이다. 『요원전』에서 이원길은 부모를 잃은 손오공이 그나마 정붙이며 살고 있던 복지촌의 사람들을 깡그리 학살했다. 그것도 모자라 굶고 있던 백성들이 자신의 쌀을 몰래 먹는다며 게임을 하듯 학살을 진행하고 있다. 죽어가는 민중들의 원념과 오공의 머리를 죄어오는 금환의 고통이 이원길로 수렴되는 순간이다. 지금 그에게는 이원길만이 타도 대상이며, 이원길을 그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이 이원길로 보이는 상황이다. 학살을 진행했던 이원길을 없애기 위해 오공 역시 학살을 진행한다. 결국 민중의 더 많은 피를 원하는 무지기의 바람이 이루어지는 순간이다.



p.132

“천축의 원신이라면... 그것이 가능하나이까?”

“천축이라... 그렇군, 그것도 괜찮겠어... 하지만 천축은 머나먼 곳... 너희 인간들에게는 너무나도 먼 곳이다... 지금... 지금 이 사슬은 너는 물론이거니와 오... 오공조차도 끊을 수가 없다...!”


   용아녀의 질문에 무지기가 말을 돌리고 있다. 무지기는 천축이나 또 다른 원신에 대해 알지 못하거나, 아니면 알고는 있지만 모른척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겠다. 앞에서도 이야기 헸듯이 무지기는 “말을 잘하(善應對言語)”기 때문이다.

만일 무지기가 천축의 원신을 알고 있다면, 그리고 천축에 원신, 즉 하누만이 존재한다면, 『요원전』에서 ‘무지기’와 ‘하누만’의 관계는 『머드멘』에서 ‘아엔’과 ‘위대한 자’의 관계와 비슷할 것이다. 그리고 그 사이에 ‘손오공’과 ‘코도와’가 있을 것이다. 『머드멘』에서 ‘위대한 자’는, 숲을 지키고 전통을 지키는 코도와에게 도움을 준다. 반면 아엔은 부족민들에게 ‘카고(Cargo)’라는 부와 문명을 주면서 숲을 파괴하고 전통을 없앤다. 『머드멘』에서는 자세히 밝히진 않았지만, 결국 파푸아뉴기니는 근대화란 이름으로, 아엔이 승리를 하며 위대한 자는 숲에 머물게 된다.


   


   이것으로 미루어 짐작컨대, 『요원전』의 결말을 내 맘대로 생각해 본다면, 오공이 인도에 가서 하누만을 만나, 제천대성의 사슬[輪回]에서 벗어나지만, 그것과는 상관없이 무지기는 고통 받는 백성들의 원념 속에서 끊임없이 나타나 또 다른 지살에게 제천대성의 칭호를 내리지 않을까... 그냥 짐작일 뿐이다. 가능성은 여러 가지다. 오공은 불교에 귀의할 수도 있고, 불교의 호법신인 제석천(帝釋天)일 수도 있고, 미륵(彌勒)일 수도 있으며, 아니면, 역사 속의 오공(悟空)이 되어 당의 사신이 될 수도 있다. 이 모든 것은 짐작일 뿐이며, 자세한 내용은 해당 내용이 언급될 때 하나씩 이야기하는 것으로 한다.



p.132~133

“더욱, 더 많은 피가... 원한이... 탄식이 나는 필요하다! 너희들의 피를 마시고, 너희들의 살을 먹고 나는 더욱 강대해질 것이다! 그리고 결국에는 너희들의 원한을 풀어줄 것이다! 알겠느냐, 인간들이여! 무력한 버러지들이여! 더욱 더 괴로워해라! 더욱 더 피를 흘려라! 너희들이 흘리는 막대한 피가 내 힘이 되어, 머지않아 너희들의 원수를 쓰러뜨릴 것이다! 자, 할 수 있겠느냐 용아녀? 해봐라! 피바다를 만들어봐라! 그 피와 원한어린 목소리가 하늘에 닿을 때 천명天命은 바뀌어 이 사슬이 끊어지리라!”


   너무나 솔직하게 무지기가 자신의 본심을 이야기해서, 이를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지 의심스럽지만, 본래 원숭이에게 있는 성질 급한 성격의 발로라 생각하고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무지기는 나찰(羅剎, Rakshasa)이다.


『라마야나』에 등장한 나찰 타타카


   나찰은 힌두교의 악귀로 지상에서는 제물을 어지럽히고 무덤을 파헤치며 사람을 미혹시켜 잡아먹고, 지옥에서는 죄인을 못살게 군다. 손톱은 독이 묻어 나오고, 음식을 상하게 하며 모양을 바꾸어 나타나 환각에 빠지게 하거나 마법을 부리기도 한다. 불교에서도 처음에는 악귀로 받아들여졌으나, 후에 호법 외호신(護法外護神)으로 받아들여져 야차(夜叉, yakṣa)와 함께 사천왕(四天王, Lokapāla) 가운데 비사문천(毘沙門天, Vaiśravaṇa)의 권속에 들어간다.

   『요원전』「대당편」에서 나찰은 두 번 언급이 되는데, 하나는 76회~100회에 등장하는, 저 유명한 나찰녀(羅剎女)이고, 다른 하나는 43회와 45회에 등장하는 비람파(毘藍婆) 보살이다. 그 중 비람파보살과 무지기가 서로 연관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는 해당 회에서 다루기로 한다.



p.161

“열흘 동안 자리를 펴고 지내면서 복채라고는 사람 목 하나라... 이거야 원, 나도 장안에나 가볼까...”



   이 역술가는 신과선생(神課先生) 원수성(袁守誠)이다. 아직 이름을 밝히지 않아 후에 이야기를 하려 했으나, 지금 이 이야기가 원수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부분인지라, 조금 이야기를 해야 할 것 같다.

   원수성은 『서유기』 9회(문지사판은 10회)에 등장하는데, 등장하게 된 계기가 재미있다. 한 어부가 나무꾼에게 “한 점술가가 점을 쳐주는데, 그가 시키는 대로 경하(經河)에 그물을 뿌리면, 백발백중으로 고기가 잡힌다”는 말을 경하 용궁의 야차가 듣고는 용왕에게 보고를 올린다. 경하 용왕은 수족(水族)이 끝장나는 것을 막으러 그 점술가의 점을 망치려는 계획을 짠다. 선비로 변신한 용왕은 원수성을 찾아가 내일 날씨를 묻자, 원수성이 몇 시에 구름이 끼고 비가 내리고 그치는지를 얘기하고 정확한 강수량까지 이야기했다. 비를 내리는 것은 용왕의 재량이라, 우쭐한 용왕은 점이 맞으면 복채를 두둑하게 주겠으나, 틀리면 이곳을 떠나라는 내기를 한다. 그런데 정확히 원수성이 했던 말대로 비를 뿌리라는 옥황상제의 소칙이 내려온다. 용왕은 소칙과 조금 다르게 비를 내리는 시간을 다소 어긋나게 하고 강수량을 조금 줄여 원수성의 점괘를 틀리게 하지만, 결국 용왕은 소칙을 어겼다는 이유로 위징(魏徵)에게 목이 베이고 만다. 『요원전』에서 원수성이 이야기 한 “복채라고는 사람 목 하나”라는 말은 바로 이것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이 원수성의 신점(神占)으로 경하 용왕과 위징, 당태종이 연결되며, 후에 관세음보살과 당태종 그리고 삼장법사가 연결된다. 원수성은 단 한 번 등장하지만, 각 인물들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이는 『요원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 단편집 - 신과 귀신의 이야기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 단편집 1
모로호시 다이지로 지음 / 미우(대원씨아이) / 2013년 7월
평점 :
품절


   모로호시 다이지로 선생의 작품에 대해선 이견이 없다. 다만 저작권으로 인해 듣도 보도 못한 괴상한 구성의 책이 됐다는 것만 이야기해야겠다.



1.

   먼저 이 책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단편집 신과 귀신의 이야기』는 2001년 1월에 슈에이샤(集英社)에서 출간한 『諸星大二郎自選短編集I 汝、神になれ鬼になれ』를 저본으로 한 책이다.



2.

   이 작품에는 총 12편의 단편이 실렸는데 이 중 4편이 저작권 문제로 제외되었다고 한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요괴헌터 1 : 지(地)편(妖怪ハンター「地の巻」)』 「생명의 나무(生命の木)」, 「해룡제의 밤(海竜祭の夜)」, 「어둠속에서 온 손님(闇の客人)」

『요괴헌터 3 : 수(水)편(妖怪ハンター「水の巻」)』 「육복신(六福神)」

   이들 네 작품들은 시공사에서 올해(2013년) 5월에 출간된 작품들이다.



3.

   그럼 총 8편이 남는데, 이 중 5편이 기출간된 작품과 중복되어 있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나랑 후리오랑 교정에서(ぼくとフリオと校庭で)』「진수의 숲(鎮守の森)」, 「연못의 아이(沼の子供)」

『제괴지이 1 - 이계록(諸怪志異「異界録」)』「모가의 괴담(毛家の怪)」

『시오리와 시미코의 살아있는 목(栞と紙魚子の生首事件)』「살아있는 목(生首事件)」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진귀한 이야기(諸星大二郎 ナンセンスギャグ漫画集・珍の巻)』「역립원인(逆立猿人)」

   이 중 2편이 수록된 『나랑 후리오랑 교정에서』가 미우에서 2012년에 출간됐고,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진귀한 이야기』는 2011년에, 『제괴지이 1 - 이계록』은 2008년에, 『시오리와 시미코의 살아있는 목』은 2000년에 시공사에서 출간됐다.



4.

   그러니까 처음 읽는 작품들은 「복수 클럽(復讐クラブ)」, 「어린이의 놀이(子供の遊び)」, 「꿈꾸는 기계(夢みる機械)」이렇게 세 편인데, 이런 구성이 민망했던지, 곧 출간될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단편집 아득한 곳에서(諸星大二郎自選短編集II 彼方より)』에 수록된 「도원기(桃源記)」를 끌어왔다.



5.

   정리하자면,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단편집 신과 귀신의 이야기』에는 원본에는 총 12편의 작품이 실렸었는데, 저작권 문제로 4편이 누락되고, 다음 권에서 1편을 끌어와 총 9편의 작품이 실렸다. 

   그 9편 중 5편은 중복된 작품이고, 출간한지 채 1년도 안 된, 같은 출판사에서 낸 작품이 2편 실렸고, 나머지 3편 역시 절판되지 않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작품들이라는 것이다.



6.

   옛날, 어렸을 때 메탈리카의 「master of puppets」 앨범과 유투의 「Joshua Tree」앨범이 들어왔을 때 각각 4곡씩 금지곡 처분을 받았었는데, 그 때 라이선스 앨범에는 싱글 B트랙 곡들을 채우거나, 진귀한 리믹스 곡들을 채워서 발매를 했었던 상도덕이 있었다. 이거 중복되는 것은 추려서 한 권으로 발매했으면 안 되는 것이었나? 그게 안 되면 원본대로 수록이 되던가... 뭐 이유가 있어서 그랬던 것이었겠지만... 진짜 이도저도 아닌 괴서(怪書)가 나온 것 같아 씁쓸하다.



7.

   이 목록들을 정리하니까 곧 출간할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단편집 아득한 곳에서』도 어떤 작품이 누락되고, 어떤 작품이 중복될지 너무나 뻔한데... 아마도 구매를 건너 뛸 수 없을 것이다. 「생물도시(生物都市)」가 수록되어 있기 때문에...



8.

   모로호시 선생님, 여기 호구 있습니다. 제발 책 좀 많이 내주세요.



*ps:

『모로호시 다이지로 자선단편집 아득한 곳에서』의 목차는 다음과 같다. 아마도 취소선 표시는 누락될 작품들일 것이고, 밑줄 친 작품은 중복 작품이다.


「生物都市」(失楽園)

「海の中」(不安の立像)

「天神さま」(妖怪ハンター「天の巻」、天孫降臨)

「ぼくとフリオと校庭で」(ぼくとフリオと校庭で)

「ど次元世界物語」(ナンセンスギャグ漫画集「珍の巻」、天崩れ落つる日)

「ヨシコちゃんと首たち」(コンプレックス・シティ)

「桃源記」(中央公論社版「マッドメン」)

「男たちの風景」(失楽園)

「カオカオ様が通る」(夢の木の下で、壁男)

「砂の巨人」(巨人譚、中央公論社版「マッドメン」)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3-08-08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이런식으로 편집하면 정말 짜증이 나더군요.새로운 책일줄 알았더니 다른곳에 있는 내용이라면 참 허탈하지요.
예전 추리소설 앤솔로지의 경우 이런 경우가 종종 있는데 돈주고 산 책이지만 확 찢어버리고 싶었던 경우가 종종 있었습니다.암만 돈이 좋아도 독자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있다면 그러지 못할텐데 말이죠ㅡ.ㅡ

Seong 2013-08-09 09:17   좋아요 0 | URL
모로호시 선생이 장편보다는 단편을 부정기적으로 많이 발표해서 이렇게 두서없이 묶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고 합니다. 이 자선 단편집도 일본에서 2000년에나 발표된 것이고 그 이후에 완전판 형식으로 모로호시 선생의 대표작들이 재발매가 되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별 문제가 없어 보이는 구성이긴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정확히는 2010년에서야 경쟁하듯이 책이 쏟아져 나왔기 때문에, 누군가 교통정리를 했어야 했는데, 해결이 안되고 이렇게 책이 나와 정말 아쉽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구매할 수밖에 없는 제가 참... ㅠㅠ

암튼 생물도시가 나오면, 이제 모로호시 선생의 수상작들은 다 발매가 되는 것이니 그걸로 위안을 삼으려고요... ㅠㅠ

펭귄 2013-08-17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아... 하나만 더 안읽어본 이야기가 들어있었으면 망설임 없이 지를텐데, 미묘하군요 ;;;

Seong 2013-08-17 10:02   좋아요 0 | URL
모로호시 선생 작품 중 유일하게 손이 안 가는 작품이예요. 작품의 질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읽어봤던 작품이 끼어 있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도원기」가 묻히기엔 너무 아쉽긴 하지만요... 다음 작품을 기대해 봐야죠~

고맙습니다. :)
 


제14회 - 백운白雲이 걷히니 길이 드러나고 허영虛影이 움직이니 어둠이 깊어지다


p.089

“용아녀의 원수는 수 양제잖아. 양제는 죽었고 수도 멸망했는데 왜 당과 싸우는 거야?

“수나 당이나 마찬가지야. 그러나 두건덕은 백성 출신이었고, 민중을 위해 일어선 의인義人이었어. 그 뒤를 계승한 유흑달도 그렇고...”

“하지만 그게 어쨌다는 거야? 공연히 전란을 키워 사람들만 괴롭게 할 뿐이잖아.”


   손오공의 의문과 용아녀의 고민이 부딪혔다. 엄청난 부역으로 백성들의 고혈을 짠 수양제가 죽었지만, 곳곳에서 발생한 민란으로 백성들의 고통은 끝나지 않았다. 수에서 당으로 나라 이름만 바뀌었을 뿐, 민중들의 세상은 오지 않았다. 오공의 지적대로 용아녀는 싸움의 의미를 잃어버렸다. 그녀는 오공처럼, 잃어버리지 않는 힘을 원할 뿐이다. 무지기는 그런 용아녀의 마음을 이용하면서, 그녀가 더 많은 사람을 죽이기를 바라는 것이다.

   후에 용아녀는 이런 고민을 스스로 끊지만, 이런 용아녀의 번민은 홍해아에게 옮겨진다. 홍해아 역시, 자신의 목적을 잊어버리고, 오공의 힘에 미혹(迷惑)되고 만다. 여러모로 비극인 셈이다.



p.107

“도적의 주모자는 어디 사는 누구냔 말이다! 이실직고하지 않으면 이 꼴이 될 것이야!!”


   제왕 이원길의 잔혹한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으로,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땅에 묻어 목만 남겨놓고 말발굽으로 머리를 깨고 있다. 이원길이 실제로 이런 짓을 했는지는 잘 모르겠다. 이전의 남북조 시대 때, 북위(北魏)의 대장 후경(厚卿)이 주군(州軍)을 이끌고 양(梁)나라 무제(武帝)에게 투항한 후, 양나라를 배반, 10만 대군으로 도읍인 건강(建康, 南京)을 함락시켰을 때, 백성들을 거대한 맷돌에 갈아 죽이고, 하반신을 땅에 파묻고는 기마군을 풀어 재미 삼아 찔러 죽였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어쩌면 그것에 영향을 받았을지도 모르겠다.

   『자치통감』권187에 기록된 이원길의 행적을 보면, “항상 두탄과 더불어 놀며 사냥을 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농작물을 유린하고 밟았다. 또 멋대로 좌우에 있는 사람들을 풀어놓아 백성들의 물건을 빼앗게 하고 거리에서 사람들에게 활을 쏘아 그들이 화살을 피하는 것을 보았다.”, “백성들은 분하고 원망하였고,” 이렇듯 정상적인 인간은 아니었던 듯하다.



p.111

“오공, 분명히 보여줬다. 네가 처한 상황을 말이다... 이것은 환각이 아니야. 그 증거는 직접 눈으로 확인하도록 해라! 이런 일은 어쩌다 가끔 일어나는 일이 아니야. 언제 어디서든 이와 유사한 일이 항시 일어나고 있단 말이다! 내가 어디에나 있다고 한 말의 의미가 어떤 의미인지 알았느냐!”


   오공은 제천대성의 힘을 끌어내기 위해선 자신의 마음 속 깊은 곳에 있는 분노를 끄집어내야 한다는 것, 그것을 바탕으로 수많은 민중들의 원념들을 이끌어내 대성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지만, 오공은 “그런 상황이 천년만년 지속될 수는 없는” 것이라 일갈한다. 하지만, 무지기의 말대로 그런 상황은 끊임없이 지속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남북조시대를 거쳐 수나라로 통일될 때까지 전란이 그치지 않았던 약 400여 년간은 말 그대로 지옥이었을 것이다. 장기간에 걸친 전쟁, 기근, 질병, 동란 가운데 민중들이 있었으며, 계급과 민족의 압박, 착취는 물론이고 대규모적인 학살이 수시로 전개되던 상황이었다. 수문제의 치세는 짧았고, 수양제의 과도한 부역과 그로 인한 민란은 민중들에게, 또다시 지옥문이 열렸다는 공포와 낙담, 그리고 심한 허탈감과 분노를 느끼게 했을 것이다. 바로 이런 점들이 무지기가 자신 있게 “내가 어디에나 있다고” 말할 수 있었던 점일 것이다.

   하지만, 바로 이 때 불교도 중국에서 힘을 얻었다. 이처럼 현실의 삶이 슬프고 고통스럽고, 내일의 삶을 기약할 수 없는 허망함이 가득한 시대, 선량한 사람이 가혹하게 살고, 악인이 떳떳하게 살아가는 사회, 집안을 건사하기는커녕 내 한 몸조차 돌볼 수 없는 사회, 바로 이런 때 불교가 민중의 의식 깊숙이 파고들었다. 현실에서는 더 이상 기대할 게 없으니, 인과응보를 윤회에 기탁하고 합리성을 ‘내세’와 ‘천국’에 맡기는 것이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무지기는 “불가에 속한 자를 조심하라”는 말을 하지만, 그건 나중 일이고, 어찌됐든 이 점은 생각을 해볼 주제가 된다. 혁명을 통한 민중의 자각, 그리고 종교를 통한 민중의 구원. 혁명은 성공하든 실패하든 엄청난 피를 부른다. 종교적인 구원은 확신할 수 없는 이야기로 내 현실을 죽음에 저당을 잡히는 것이다. 혁명이 필요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혁명을 해야 하는 아이러니. 죽음 뒤에 있을지도 모를 내세나 천국을 위해서 현실의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불안/불만들.

   결국 이 모든 것은 내 마음 속에서 결정해야 할 일들이고, 그렇기 때문에 ‘사마邪魔안의 부처佛陀, 부처佛陀안의 사마邪魔’ 속에서 무엇을 봐야할지/선택해야 할지는 오롯이 나에게 달려있는 셈이다. 『요원전』에서 손오공이 천축에 가는 이유는 ‘원신을 만나 자신의 운명을 바꾸려는 것’이지만, 천축으로 가는 과정에서 그는, 때로는 무지기의 선택을 하고 때로는 불타의 선택을 하면서 ‘사마안의 부처, 부처안의 사마’를 깨달아 갈 것이다. 그리고 무엇을 보게 될 것인지는, 아마도 「천축편」의 마지막 회에서나 알게 되지 않을까 하는데... 죽기 전에 그걸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모로호시 선생님 힘내세요!)



p.115~120

폭주하는 손오공


   민중들의 분노로 제천대성의 힘을 이끌어낸 손오공은 화과산에서 무지기가 행동한 것처럼 피아를 구별하지 않고 무차별적인 학살을 벌이는데, 이런 모습은 가이낙스의 〈신세기 에반게리온(新世紀エヴァンゲリオン)〉이 떠오르는데, 감독 안노 히데아키(庵野秀明)는 <에반게리온>을 모로호시 다이지로의 단편 「그림자의 거리(影の町)」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에반게리온의 이미지에 영감을 받은 것이라 한다. 내가 느끼기에는 이 『요원전』에서 받은 게 아닐까 생각하는데, 소년 만화의 형식, 손오공의 폭주와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에서 언급한 우주론, 혜안(惠岸) 행자가 자신의 망상들과 싸우는 모습 등이 그런 게 아닐까 하는데,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이 나올 때 언급하는 것으로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13회 - 내광사來光寺에서 소녀가 승려를 찾고 상주성相州城에서 노파가 재물을 탐하다


p.049

“어머니는 수나라 양제의 운하 공사에 부역으로 끌려가 돌아가시고 아버지도 고구려 원정으로...”


   누노메 조후는 “양제의 ‘양(煬)’이라는 글자는 ‘예를 버리고 민심을 멀리한다’, ‘하늘에 거역하고 민을 학대한다’라는 뜻의 시호로서, 악한 군주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수양제는 역사적으로 실정의 이미지, 폭군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는데, 그러한 것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여러 사적에 실려 있는, 민중에 대한 과도한 부역이다.

   먼저, 605년에 낙양(洛陽)에 새로운 수도를 건설했다. 이 새로운 수도(장안을 서경西京이라 부르고, 낙양을 동경東京이라 했다) 조영을 위해 엄청난 수의 백성들이 동원되었는데, 두보(杜寶)의 『대업잡기(大業雜記)』에 따르면, 성벽공사에 70만, 토공감(土工監)의 상역(常役)에 80만, 목공・기와공・금공・석공 각 10여만 명이 동원되었다고 한다(其內諸殿基及諸墻院又役十餘萬人,直東都土工監,常役八十餘萬人;其木工、瓦工、金工、石工,又役十餘萬人).

   그리고 같은 해(605년)에 화이허와 황허를 연결하는 통제거 공사를, 608년에 황허와 탁군을 연결하는 영제거 건설을, 610년에는 창장과 위항을 연결하는 강남하 공사를 시작했으니, 당시의 수나라는 온통 나라 전체가 공사판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게다가 대운하 공사가 끝난 611년, 수양제는 고구려 원정을 준비, 612년부터 3년간 세 번에 걸친 고구려 원정을 진행했다. 그리고 그 뒷이야기는 알려진 바와 같다.

   무리한 공사의 연속으로, 부역할 백성들이 부족, 결국 대운하 건설 당시에는 면제대상이었던 부인들까지 징발되었는데, 『요원전』에서 용아녀의 이야기는 바로 이런 사정을 담고 있는 것이다.



p.058

“때마침 천축에서 오신 큰 스님께서 상주에 계시다고 하여 걸음을 옮기던 참이었습니다. (...) 가보리迦菩提 대사라고 하시는 천축 스님께서 이 근처 내광사來光寺에 와 계시다는 이야기를 듣고... 가르침을 청하고자 찾아뵙던 도중 이 산길로 접어들어...”


   역사 속의 현장 스님은 형주를 지나, “상주에서 혜휴(慧休) 법사를 만나 의심나는 것을 질문했다(至相州,造休法師)”고 했는데, 『요원전』에서는 천축에서 온 가보리 대사에게 가르침을 받으러 왔다고 한다. 게다가 제6회에서 처음 등장했을 때, 상주로 가는 길이었다고 했는데, 해가 바뀐 지금도 상주로 가는 길이다. 아마도 손오공과 현장, 그리고 천축을 연결시키기 위해 역사를 조금 비튼 것 같다.

   천축에서 온 가보리 대사는 『서유기』에서 손오공에게 성과 이름을 내려주고 장생(長生)의 도리와 72가지 변화 술법, 그리고 한 번에 십만 팔천 리를 갈 수 있는 근두운(筋斗雲)을 타는 법을 가르친 수보리조사(須菩提祖師)에서 차용한 것 같은데, 재미있는 것은 수보리 조사는 석가모니의 10대 제자 중 한 명인 인도의 고승 수부티Subhūti에서 영향을 받았다는 점이다. 인도의 고승(Subhūti)이 동승신주의 도사(須菩提)에서 다시 인도의 승려(迦菩提)로 순환이 된 셈이다. 가보리 대사의 迦는 석가모니(釋迦牟尼, Shakyamuni)의 가에서 온 것이다. 그러니까 가보리 대사를 원 발음에 가깝게 부른다면 Kyabhūti가 되지 않을까 하는데, 중요한 것은 아니다. :)

   실제로 현장 스님은 중국을 떠나기 전, 천축에서 온 스님에게 가르침을 받은 적이 있다. 현장이 장안에 도착했을 때, 인도에서 온 바라빈가라미트라(波羅頻迦羅蜜多羅)라는 고승이 불경을 강론하고 있어서 청강을 했는데, 바로 그 때의 강론이, 현장을 인도로 가게 한 어떤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p.061

“주지 스님, 소승이 계율을 깨고 그만 여체를 건드리고 말았나이다!!”


   모로호시 선생의 장점이자 특징이라면, 이야기의 흐름을 건드리지 않는 선에서 재미있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혹은 코믹한 캐릭터가 등장하는 것인데, 바로 이 상황에서, 폭주하듯 달려온 이야기에서 처음으로 숨을 돌릴 수 있는 여유를 부여했다.

   웃자고 한 말에 심각하게 대꾸를 하자면, 당시 정식 승려가 되기 위해선 ‘구족계(具足戒)’를 받아야 하는데, 이 구족계에 따라 비구승은 250가지 계율을 지켜야 하고, 비구니는 300여 가지의 계율을 지켜야 한다고 하니, 그 중 여체를 건드리면 안 된다는 계율이 충분히 있을 만도 하다. 이 계율은 “불교 학문을 배우고 수행하는 것, 승려들의 일상생활과 단체생활, 개인적인 수행과 생활 속에서 지켜야 할 세세한 항목들을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출가하지 않은 일반 거사(居士), 신도들에게는 오계(五戒)나 팔계(八戒)가 주어지는데, 자세한 것은 저팔계(豬八戒)가 등장할 때 다루기로 한다.



p.063

“뭐야, 이 절은 소림사少林寺 분원分院이라도 되나? 오냐오냐 말로 하려니 이런 꼴이라니깐!”


   허난성[河南省] 의 정저우[鄭州] 쑹산[嵩山]에 위치한 소림사는, 우리에게 절이라기보다는 무술을 수련하는 도장(道場), 혹은 무협소설에서 무술의 분파(分派)로 여겨지는데, 무승(武僧)들로 유명하지만, 그나마 전해오던 무술들도 문화대혁명 때 완전히 파괴되어 계승이 끊겼다고 한다. (후에 절은 복원했고, 2010년에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그 중 유명한 이야기로는 620년, 이세민이 왕세충을 깨뜨리기 위해 낙양에서 힘겨운 전투를 벌일 때, 소림사에서 온 13인의 무승들이 전투에 참여해 공을 세웠다는 기록이 있는데, (620年唐太宗攻打洛陽,因得到少林寺13武僧生擒駐守轅州的王世充的侄子王仁則立下戰功後) 이들 승려들이 단순히 전투에 참여했는지, 아니면 무공을 사용한 고수인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아무튼 소림사에 대한 소문은 이때 퍼졌을 것이고, 무술을 하는 승려에 대한 이미지도 이때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을 것이다.

   소림사는 현장 스님에게도 각별한 사찰이기도 한데, 후에 구법 여행을 마치고 귀국, 당태종을 만나서 올렸던 청원 중 하나가 ‘소림사로 가서 경전 번역 사업에 종사’하겠다는 것이었는데, 아쉽게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소림사는, 508년, 북인도 출신의 승려 보데류지(菩提留支, Bodhiruci)가 산스크리트어로 된 불경을 대량으로 지니고 와 중국어로 불경을 번역한 곳이기도 하다.



p.067

“또 도적들이! 한패인가?!”


   용아녀가 소림사 분원이라고 조롱했던 내광사가 도적들에게 약탈을 당하는 이 장면은 소림사가 홍건적들(고려를 침공한 그 홍건적들 맞다!)에게 약탈을 당한 것을 떠올리게 한다.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 중(1351~1366), 홍건적들이 소림사를 습격, 불상의 금박을 벗기고, 복장유물(腹藏遺物, 불상을 만들 때 불상 안에 넣는 불경, 보물)을 찾기 위해 불상을 파괴하자 승려들이 다 도망가고, 홍건적의 난이 진압될 때까지 한 명도 못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다. 소림사에서는 이 이야기를, 불목허니로 있던 긴나라왕(紧那罗王)이 불쏘시개 하나로 홍건적들을 다 때려잡았다는 이야기로 뻥을 쳤는데, 바로 이 긴나라왕의 이야기가 우리에게 유명한 ‘소림사 주방장’의 이야기이다.



p.071

“그렇게 먼 데서 어찌 중원까지 오셨나요?”

“부처의 가르침을 널리 퍼뜨려 세상의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일세.”


   가보리 대사의 이 말은 현장이 천축으로 구법여행을 떠날 때 다졌던 마음가짐과 흡사하다. 가보리 대사가 불교의 발원지에서 제대로 배운 불법으로 중국의 중생들이 보리를 얻기 위해 온 것이라면, 현장은 제대로 불법을 배워 중국의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먼 인도로 떠나는 것이다. 현장이 인도로 떠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요원전』 3권에서 해당 이야기가 나올 때 자세히 다루는 것으로 한다.



p.072~074

가보리 대사와 통비공과의 싸움


   통비공이 가보리 대사를 죽이려고 요술(妖術)을 부리는데, 가보리 대사는 불경인지 주문인지 알 수 없는 것을 외우고, 결국 통비공은 본 모습을 보이고 도망간다. 가보리 대사가 외운 것은 주문이 아닐까 생각이 드는데,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권3에서 주문을 외우는 승려들에 대한 기록이 있다. 북인도 오장나국(烏仗那國, Uddiyana)의 승려들이 그러한데, “이들은 모두 대승을 익히고 있으며 선정에 잠기는 것을 업으로 삼고 있다. 능히 글을 잘 외지만, 심오한 뜻을 깊이 궁구하지는 않는다. 계행이 맑고 깨끗하며 특히 금주(禁呪)에 능하다(並學大乘,寂定為業,善誦其文,未究深義,戒行清潔,特閑禁呪。)”고 적혀있다. 금주란 다라니(陀羅尼)로 ‘석가의 가르침의 정요(精要)로서 신비적 힘을 가진 것으로 믿어지는 주문(呪文)’을 뜻하는데, 『대당서역기』 전체를 통틀어, 그러니까 현장이 다녀 본 130여개국의 나라 중 다라니를 외고 있다고 기록한 곳은 이 나라뿐인 것으로 보아, 가보리 대사는 우디야나 출신이라 생각된다.

   이렇게 주문으로 요괴를 제압하는 것은 『서유기』에서도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삼장법사가 14회에서 손오공을 컨트롤하기 위해 사용하는 긴고주(緊箍呪), 관세음보살이 18회 흑대왕・42회 홍해아를 제압할 때 쓴 금고주(金箍呪)・금고주(禁箍呪)가 있으며, 26회에서 인삼과나무를 살려낼 때 불경과 주문을 외우기도 했다. 이런 것은 인도와 중국, 불교와 도교, 고대의 무술(巫術) 등이 서로 합쳐지고 걸러져 나온 것이라 생각된다.

   불교에는 구병시식(救病施食)이라는 의식이 있는데, 이른바 ‘귀신병’이라고 하는 빙의현상에 의한 정신적, 육체적 장애를 받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하는, 일종의 퇴마의식이라 할 수 있다. 귀신을 없애거나 쫓아내는 것이 아닌 음식을 주고 법문을 알려주어 귀신을 불법에 귀의시키기 위한 의식으로 법력(法力)이 높은 승려만이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여담이지만, 예전 한국 공포 영화 〈망령의 곡〉에서, 마지막에 주지 스님의 불교 파워로 귀신을 물리치는 장면(특히 염주를 투척하니 귀신이 삼단 텀블링을 하며 괴로워하는 그런 괴이한 퇴마장면)은 〈엑소시스트(The Exorcist)〉의 퇴마장면이 참으로 시시하게 느껴질 정도로 저릿한 박력을 선사했던 기억이 난다.



p.076

“천축에 원신猿神이 있어, 지상에 재앙 된 자들로 하여금 투전승자鬪戰勝者로써 거듭나게 하리라 -”


   뒤에 손오공과 용아녀가 해석한 것을 옮긴다면 “인도에 있는 원숭이 신이 지살의 운명을 지닌 자들을 천강의 운명으로 바꿔주리라.” 정도가 될 것이다. 제천대성 무지기에 따르면 지살과 천강 모두 난을 일으키도록 되어있지만, 백운동의 석벽에 기록된 것에 따르면 지살은 실패할 운명을, 천강은 성공할 운명을 지닌 것으로 되어있다.

   정리해본다면, 무지기는 자신의 의지를 지닌 인간들, 제천대성의 칭호를 받은 이들이 난을 일으켜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것을 원할 뿐이지, 그 난의 성공/실패에는 관심이 없다. 이런 무지기의 의도를 아는 누군가가 무지기가 모르는 글자로 이런 비밀을 남겨 놓은 것이고, 이것을 확인하는, 지살성의 운명을 지닌 이들이 헛된 죽음을 겪지 않도록, 무지기가 내린 운명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인도의 원숭이 신은 누굴 가리키는 것인가? 하누만(Hanumān)이라고 조심스럽게 확신해본다. 하누만은 인도의 많은 신들 중에서 지위가 그리 높지는 않지만, 대중적으로 인기가 많은 신이다. 하누만에 대한 이야기는 『라마야나(Rāmāyaṇam)』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그가 섬기는 라마(Rāmā)에 대한 헌신성, 충성심은 물론이고, 괴력과 민첩성 등으로 볼 때, 『서유기』의 손오공 역시 하누만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 생각된다. 『라마야나』에서 하누만은 모든 악의 파괴자이자 모든 고난의 추방자로, 라마의 모든 장애와 고난을 제거한다.


하누만, 라마, 시타, 라크쉬마나


   그러니까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정리해본다면, 무지기로부터 제천대성의 칭호를 받은 손오공, 그리고 제천현녀의 칭호를 받은 용아녀 모두 지살의 운명으로 죽음을 피할 수 없지만, 인도에 있는 원숭이 신이, 지살의 운명에 있는 자들을 투전승자가 되도록 도와준다는 것이다. 이로써 손오공과 용아녀가 인도로 가게 될 명분이 만들어진 셈이다.

   하지만 이렇게 이야기가 명쾌하게 풀리지는 않을 것 같다. 바로 저 ‘투전승자’라는 단어 때문인데, 이 단어는 명백히 『서유기』 100회에서 손오공이 석가여래에게 받는 칭호 ‘투전승불(鬪戰勝佛)’에서 차용한 단어로 ‘싸움을 하여 승리한 부처님’의 뜻이다. 여기서 말하는 싸움은 외적인 치고받음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속에 치성하는 번뇌와 잡념과 망상을 싸워 이기는 것이다. 그러니까 어쩌면, 천축에 있는 원숭이 신은 거대한 맥거핀일 수도 있겠다. 중요한 것은 원숭이 신의 유무가 아니라 ‘천축에 가는’ 것이다.



p.080

“유흑달의 패배다... 예언대로야...”

“하지만 아직 죽지는 않았어... 홍해아도...”

“불과 수백 기로 겨우 달아났잖아. 틀렸어. 결국에는...”


   아마도 지금 『요원전』에서 다루는 유흑달의 패배가 『자치통감』권190에 기록된 “(622년) 유흑달은 범원(范願) 등 200여 기병과 돌궐로 도망하여서 산동이 모두 평정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 같다. 범원은 『요원전』제8회에서 죽는 것으로 나왔다. 아마도 홍해아가 범원의 역할을 하게 될 것 같다. 돌궐로 간 유흑달은 622년 6월에 돌궐의 군사들과 정주(定州, 허베이성河北省 바오딩시保定市)를 약탈, 옛 장수들과 군사들을 규합한다. 하나 더 첨부하자면, “그해 10월 기유일(1일)에 제왕 이원길에게 산동에서 유흑달을 토벌”하라는 조서가 내렸지만, “이원길은 유흑달의 군사가 강하다는 것을 두려워하여 감히 나아가지 아니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p.081

“자네를 멸하는 것은 사교의 신도, 운명도 아닐세... 자네 자신 안에 있는 것, 바로 자네의 마음이야... 지금 그대로 지내다간 자네는 필경 자신의 분신에 의해 파멸할 걸세...”


   『요원전』 전체에 걸쳐 다루는, 하나의 몸속에 들어있는 마성(魔性)과 불법(佛法)의 동거에 대한 이야기를 언급하고 있다. (역시 고승은 고승이시다!) 굳이 마성이니 불법이니 할 필요 없이, 악심과 선심으로 표현해도 되겠다. 인간에게는 악심과 선심 두 마음이 공존하고 있다. 이 두 마음 중 어느 하나 우위를 보이는 것이 바로 그 사람을 규정하고 표현한다. 악심과 선심 혹은 마성과 불법의 싸움 속에서, 자신의 마음속에 치성하는 번뇌와 잡념과 망상을 싸워 이기는 자가 바로 투전승자/투전승불이다. 나를 이기는 자가 나를 구원할 수 있고[小乘], 나를 구원한자가 대중을 구원할 수 있다[大乘]. 불교의 가르침은 나[自我]를 찾는 것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 이야기는 후에 ‘사마邪魔안의 부처佛陀, 부처佛陀안의 사마邪魔’라는 주제로 등장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