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워
배명훈 지음 / 오멜라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장르문학적 요소를 본격문학에 도입하려고 했던 작가들은 많았다. 대표적으론 다방면의 장르를 넘나들면서 전방위적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박민규가 있다. 박민규는 SF뿐 아니라 무협지, 일본만화, 심지어 근래에는 서부극까지 자신의 소설에 차용해왔다. 근래에 김중혁은 장편 『좀비들』에서 서양의 좀비물을 활용해 이야기를 전개해 눈길을 끌었다. 기성작가들이 장르문학을 순수문학에 적용하는 사례들은 좀 더 신선한 소설 세계를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훌륭했지만 아직까지 그 이종간 결합의 모범적 사례를 보여준 작가는 많지 않은 것 같다.
『타워』는 분명히 훌륭한 SF물이다. 박민규의 SF처럼 이해하기 어렵지도 않으며, 일반 장르문학서를 읽듯이 쉽게 읽힌다. SF소설을 쓰는 작가들이 곤혹스럽게 느끼는 것은 세계관의 창조일 것이다. 어께에 힘을 넣고 무리해서 설정에 몰입하다보면 독자들은 이야기보다 세계관을 파악하느라 더 진이 빠지는 경우도 있고, 그렇다고 세계관을 창조하지 않으면 기존의 SF물과 다를 바 없는 느낌에 왜 굳이 현대물로 이야기를 풀어내지 않고 SF에 손을 댄 것인지 의아함을 품게 된다. 배명훈은 그런 점에서 모범적이다. 그는 짧은 문장으로 간략하게 설명 가능하면서도 독창적인 세계관을 창조해냈다. 그것은 ‘빈스토크’. 높이 2,408m, 674층에 인구 50만이 거주하는 이 거대한 타워는 끝없이 하늘을 향해 뻗어나가는 바벨탑을 닮았다. 그는 이 기본적인 설정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가지를 쳐 나간다. 소설집은 연작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 전혀 다른 이야기들을 하나씩 읽어나가면 ‘빈스토크’라는 곳이 어떤 곳인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 소설의 매력은 이 전혀 새로운 세계를 읽어나가면 읽어나갈 수록, 그곳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와 닮아 있다는 느낌이 든다는 것이다. 시장선거를 앞둔 세력들의 권력관계라던가 그들이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취하는 행동들은 우리의 정치판과 흡사하다. 심지어는 ‘안 해본 것이 없는 시장’은 소설이 출간되었을 당시 서울의 시장이었던 모 정치인을 보는 듯한 착각도 든다.
배명훈은 이 세계의 주요 교통수단인 엘리베이터를 아이디어로 삼아, 이 세계의 이데올로기를 수직주의와 수평주의로 나눴다. 수직주의는 엘리베이터와 관련된 직종을 하는, 고소득업자들의 삶을 대변하고 수평주의는 저소득업자들의 삶을 대변한다. 이는 현 세계의 가치체계와 비슷하면서도 작가 자신의 창조한 세계에 자연스럽게 융화되어 있다.
이처럼 배명훈은 SF의 색으로 우리가 사는 곳과는 전혀 다른 환경을 만들어냈지만 그 안에서 지금의 현실세계를 비판하고 조소한다. 풍자적 요소는 이 소설의 주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것은 일종의 블랙코미디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인데. 독자들은 빈스토크에서 보이는 인물들 간의 권력에 대한 우스운 행동에 조소하면서도, 그게 자신의 세계와 다를 바 없다는 사실에 쓴웃음을 짓게 되고 만다.
한편 이 소설에서 정치 문제와 함께 주요하게 다루는 요소는 바로 인간성이다. 이것이 잘 드러나는 단편은 「타클라마티칸 배달 사고」와 「샤리아에 부합하는」이 있다. 이 단편들엔 ‘파란우편함’과 같은 빈스토크에서 볼 수 있는 유대적 행위들을 기술해 놓았다. 빈스토크의 밖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빈스토크를 ‘바벨탑’이라고 부르지만 정작 그 타워에 사는 인물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을 바벨탑이라 여기지 않는다. 전쟁의 위기가 감돌고, 빈부격차로 고통에 허덕이는 사람들도 있지만 여전히 그곳도 사람이 사는, 삶의 터전이란 점에서 빈스토크의 밖과 다를 바 없다는 것이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자연을 그리워하는 한 편, 지상에 대한 공포증을 가진 채 살아간다. 그것은 생명체로서 자연을 향하려 하는 기본적인 욕구의 발현이기도 하면서, 태어날 적부터 누구보다도 높은 곳에서 살아온 그들이 가질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이기도 하다. 또 한편으론 언제나 타워 밖으로 나갈 수 있음에도 그들이 그곳에서 머무는 것은 결국 그곳도 인간들이 살아가는 곳이기 때문이며 그들이 그곳에서 편안함을 느끼기 때문이다.
작가는 새로운 세계를 창조해 놓고 그곳에 우리들의 이야기를 심었다. 그것은 결국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든 그 소설의 주체는 어느 시대의 인간이기에 가질 수밖에 없는 지점이다. 배명훈은 그 접점을 노골적으로 합치시켜 전혀 다른 세계를 통해 독자가 꿈을 꾸고 대리 만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을 다시 돌아보아 성찰하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소설은 장르문학을 본격 문학에 도입해 그 효과를 훌륭히 이끌어낸 모범적인 작품이라 할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