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오 영감 열린책들 세계문학 41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임희근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품의 배경은 프랑스의 왕정복고 시기다. 혁명 후의 반동으로 왕정이 복고되어 루이18세가 통치하고 있던 시기다. 다시 귀족들이 권력을 잡았지만 구체제 왕정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가 프랑스를 지배했다. 늙은 귀족들은 자신의 잃어버린 토지를 되찾지 못했고, 부르주아 계층들은 급속도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제 프랑스는 가문의 명예보다는 돈이 중요시되는 자본주의 사회로 변모된다. 그리고 그 변화로 퇴폐해진 프랑스 사회의 면모를 발자크는 고리오 영감을 통해 신랄하게 고발한다.

고리오 영감은 한때 잘나가던 사업가였지만 자신의 재산을 딸들을 출가시키는 데 모두 소진하고 지금은 보케 부인의 하숙집에 기거한다. 보케 부인의 하숙집은 나이 든 노인이나, 늙은 과부, 지방에서 막 상경한 학생 등 돈이 많지 않은 하숙인들이 대부분이다. 영감은 처음엔 그나마도 좋은 방에 살았지만 자신의 재산을 계속해서 두 딸에게 대주며 점차 값싼 방을 전전하게 되었다. 딸들은 저마다 돈 많은 배우자를 구해서 부유하게 살아가지만 영감은 딸들을 만날 날만을 손꼽아 기다리며 가난하게 살아간다.

주인공인 외젠 드 라스티냐크는 법학 공부를 하기 위해 파리로 올라온 학생이다. 그는 고리오 영감의 옆방에 하숙한다. 그는 파리의 화려함에 반해 사교계에 입문해 출세하고자 하는 꿈을 꾼다. 그는 지인의 도움으로 파티에 초대되고 거기서 한 아름다운 여인을 만난다. 그녀는 고리오 영감의 첫째 딸이었다. 라스티냐크는 그녀에게 고리오 영감의 이야기를 꺼냈다가 쫓겨나고, 둘째 딸 델핀과 만나게 된다. 그는 델핀과 고리오 영감의 사이를 오가며 둘과 친분을 쌓아나가고, 동시에 고리오 영감의 헌신적이었던 과거를 하나하나 알게 된다.

고리오 영감은 부정(父情)의 화신이다. 딸들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는 신념의 인물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딸들에게 베풀어 가난해질수록 딸들과는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챈다. 그가 제조업을 할 적에 그에게 붙어 귀여움을 떨던 딸들은 그의 도움을 받아 출가하고는 그의 직업을 탐탁잖게 여긴다. 딸들을 위해 일을 그만두지만 더는 수입이 없는 그를 딸들과 사위들은 데리고 있으려 하지 않았다. 과거엔 그나마 '돈 잘 버는 우리 아버지'로 소개되던 그는 직업이 없어지자 쉬쉬하는 존재가 되어버린다. 프랑스의 가장 잘 나가는 두 미녀의 아버지이지만, 그는 보케 부인의 하숙집에 살며 늙은 노인 취급을 받고 아름다운 두 딸의 아버지라는 사실을 누구도 믿지 않는다.

라스티냐크는 출세하겠다는 야욕에 불타올라 부모님과 동생들에게 돈을 꾸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구한다. 그는 자신을 꾸미고 사교계를 드나들고 고리오 영감의 둘째 딸 델핀과 친해지는 한편, 그녀의 이야기를 밤마다 고리오 영감에게 들려준다. 그는 고리오 영감의 헌신과 몰락을 통해 연민을 느끼며 프랑스의 화려함 뒤에 숨겨진 타락한 이면을 직시하게 된다.

보트랭은 라스티냐크에게 접근해 그를 유혹한다. 하숙집의 빅토린 타유페르 양과 맺어지면 그의 오빠를 죽여 빅토린 양이 아버지의 막대한 재산을 상속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겠다는 것이었다. 라스티냐크는 그의 말에 흔들리지만, 결국 고리오 영감을 버리지 못한다. 살인을 저지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보트랭이 소설 속의 어떤 인물들보다 유독 도덕적인 말을 자주 하는 것은 아이러니하다.

"하룻밤에 순진한 사람으로부터 전 재산의 반을 후려내는 말끔한 신사에게 징역 2개월을 선고하면서, 형편이 너무도 어려워져서 1천 프랑짜리 한 장을 훔친 불쌍한 녀석은 어째서 징역살이를 해야 하지? 그것이 우리 사회의 이른바 법이라네." p.136

탈옥수였던 보트랭은 하숙집에 사는 늙은 노파 미쇼노의 고발로 경찰에 잡혀간다. 그가 체포당하면서 외치는 말은 상징적이다.

"당신은 우리보다 나은가요? 우리가 어깨에 진 파렴치함이 당신들 마음속에 있는 파렴치함보다는 덜합니다. 타락한 사회의 무기력한 구성원들인 당신들 말이오. 당신들 중 가장 낫다는 인간도 내게는 저항하지 못했소." p.236

하숙인들은 보트랭이 체포당하자 오히려 그를 신고한 미쇼노를 다그치고, 그녀를 하숙집에서 내쫓는다. 선과 악이 뒤바뀐 기이한 상황이다. 이는 당시 퇴폐하고 타락한 프랑스의 사회상이 어떠했는가를 보여준다. 그것은 라스티냐크의 <이곳에서는 비열한 범죄만이 자행될 뿐이다! 차라리 보트랭이 더 위대해.> p.298 혼잣말에서도 표현된다. 발자크는 화려한 프랑스 사교계의 이야기를 보여줌과 동시에 하숙집의 이야기를 보여주면서 자본에 의한 타락이 부유층과 서민층을 가리지 않고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를테면 보케 부인은 고리오 영감이 처음 하숙집에 들어왔을 땐 관심을 감추지 못하다가, 그가 가난해지자 영감이라고 낮춰 부른다. 고리오 영감의 죽음을 맞이했을 때 보여주는 하숙인들의 싸늘한 언행은 그들의 비인간적인 면모를 가감없이 드러낸다.

결국 이야기는 고리오 영감이 죽어가는 것으로 파국을 맞이하는데, 자신의 모든 것을 딸들에게 내주었던 아버지는 죽는 바로 그 순간까지도 딸들의 얼굴을 보지 못한다. 죽기 전의 그에겐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았다. 심지어는 수의를 입을 돈조차도. 라스티냐크는 고리오 영감의 죽음을 통해 성장한다. 고리오 영감은 죽음이 고통에 괴로워하며 이렇게 말한다.

"만약 내가 부자였다면, 내가 딸들에게 내 재산을 다 주어 버리지 않고 갖고 있었더라면, 딸들은 왔을 테지. 내 뺨에 입 맞추며 뺨을 핥아 댔을 테지." p.312

자신의 무지함을 후회하고 딸들에게 저주를 퍼붓다가도 종국에는 딸들을 그리워하고 보고 싶다고 소리치며 죽어가는 그의 모습에선 딸들을 향한 조건 없는 사랑이 느껴진다. 끝까지 영감을 지키는 것은 라스티냐크와 그의 친구인 의대생 비앙숑이다.

발자크는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부패한 귀족들과 돈에 물든 부르주아들의 모습을 드러내고, 지독히 인간적 면모를 가진 고리오 영감과 대비하여 자본주의와 개인주의로 점철된 프랑스의 사회상을 여실 없이 부각시킨다. 작품 내내 일어나는 모든 갈등의 중심은 돈이고, 고리오 영감의 두 딸이 자신의 아버지에게 찾아와 갈등의 해결책으로 제시하는 것도 돈이다. 고리오 영감은 죽기 전까지 자신에게 더 이상의 돈이 없다는 사실과, 딸들에게 앞으로 더욱더 물질적인 지원을 해줄 수 없다는 사실에 안타까워한다.

프랑스 혁명 이후, 왕정복고 시기의 지식이 선행되어야 깊게 읽을 수 있는 사실주의 소설이지만 후기 자본주의 사회로 이행되는 현재에도 분명 뜻깊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이 아닐까 싶다. 여전히 이 작품이 고전으로 살아 있는 것은 1835년 출간되어 현재까지 170년이 넘는 시간을 견뎌왔음에도, 아직도 유효한 사회적 통찰을 담고 여전히 독자에게 반성을 이끌어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강여호 2012-07-18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멋진 글 잘 보고 갑니다.
잊혀질 뻔한 고리오 영감을 덕분에 다시 머리에 담아보고요...

백운호 2012-07-18 15:37   좋아요 0 | URL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lunaelle 2012-07-18 17: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리오 영감을 읽고 백호님 만큼 깊게 생각해내지 못한게 부끄럽네요.
다시 한번 읽어보거나 새겨볼 만한 줄거리 설명, 문장 모두 잘 봤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