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드르디, 태평양의 끝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1
미셸 투르니에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소설은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를 모티브로 하여 재창작한 소설이다. 작가는 그 사실을 대놓고 드러낸다. 이 소설은 원작과 마찬가지로 로빈슨 크루소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와 함께 등장하는 방드르디 역시 알고보면  '로빈슨 크루소'에 등장했던 프라이데이의 프랑스식 이름이다. 작가는 자신이 '로빈슨 크루소'로부터 이 소설에 대한 영감을 받았으며 더 나아가 그것을 자신이 재창작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


원작과 투르니에의 소설이 다른 점은 방드르디의 중요성이다. 원작 '로빈슨 크루소'에선 영국인 로빈슨 크루소가 중심이 된다. 그 이야기 속에서 프라이데이는 변두리로 물러서 있다. 하지만 이 소설에선 방드르디가 사건의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무인도에 홀로 남겨진 로빈슨은 그곳에 자신의 제국을 건설하려 한다. 현대 문명 속에서 자라난 그는 자신을 문명의 올가미에 속박시키려 한다. 그리고 그것이 올바른 것이고 안정된 것이라 인지한다. 심지어 그는 섬에 자신 혼자 뿐임에도 불구하고 법을 만든다. 그는 자연을 자신에게 귀속시키고 규칙을 만들며 모든 것을 규정하고 정의하려 한다. 그런 그와 우연찮게 마주한 방드르디라는 인디언은 그에게는 사실 눈엣가시였다. 로빈슨과 방드르디는 너무나도 다른 생활 속에 살아 왔으며, 방드르디는 로빈슨의 마음에 들지 않는 일만 벌인다. 홀로 섬에 고립되었을 동안 탐색했던 자신과 타인 사이의 관계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없었더라면 그는 방드르디를 거두지 않았을 것이다.


여기서 방드르디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는 동굴의 폭약을 폭파시켜 지금껏 쌓아온 로빈슨의 모든 문명적 행위를 무로 만들어 버린다. 이와 동시에 로빈슨은 방드르디와 동일한 존재가 되어 그에게서 삶의 방식을 배워나간다. 원작 소설이 '로빈슨 크루소'의 독자적 제국 건설에 촛점을 맞춘 것과는 대조되는 부분이다. 투르니에의 소설 속 로빈슨은 심지어 자신의 과거, 이를테면 방드르디의 위에 군림하며 그를 노예처럼 부렸던 시절을 부끄러워한다. 그리고 자연과 벗삼아, 자연을 지배의 대상이 아닌 조화의 대상으로 여기는 방드르디의 인식론에 매력을 느낀다.


초기 로빈슨의 신앙은 오로지 성경을 향한다. 그는 항상 성경을 탐닉하며, 그 구절을 이정표 삼아 삶의 방향을 결정한다. 이것은 그가 문명의 모든 것들을 버렸음에도 끝까지 지니고 있던 성질이었는데, 소설의 말미에 다다라서야 그는 성경을 버리고 태양이라는 자연개체를 숭배하기에 이른다.


재미있는 사실은 이 소설에서 심적 변화를 가지는 것은 로빈슨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로빈슨은 방드르디에 의해 문명의 더러운 거풀을 벗어던지고 자연으로 귀의한다. 하지만 방드르디는 오히려 로빈슨에 의해 물들고, 문명의 것에 매력을 느낀다. 화이트버드 호에서의 사건이 둘을 극명히 가른다. 로빈슨은 섬에 남기를 희망한 반면에, 방드르디는 배에 올라타고 섬을 떠난 것이다. 그리고 섬에는 로빈슨과 함께 인간들 사이에서 힘겹게 부대끼던 소년 자안이 남는다.


타로 점으로 시작하는 소설의 서두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이 소설은 상징이나 신화에 많은 부분을 기대고 있다. 로빈슨의 철학적 고뇌나, 자연에 대한 외경이나 성적인 접근 등이 감각적으로 묘사되어 있어서 사실 그것은 하나의 소설적 서사라기보다는 ‘림보’(번역가는 이것을 제목에서 그저 끝이라 명명하고 있다.)에 갇힌 한 인간의 환상적 체험에 가깝다. 문명적 인간과 자연 상태의 인간 사이에 존재하며 정의되지 않은 존재들을 관찰함으로써 좀 더 객관화된 시선으로 인간 자체에 대해 탐구해볼 수 있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