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벌이의 지겨움 - 김훈 世設, 두번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4년 3월
평점 :
절판


김훈은 소설가다. 그 이전에 기자였건 어쨌건 그건 내가 알 바가 아니다. 내가 기억하는 김 훈은 진정한 소설가로서이지 기자로서의 그의 글은 단 한 줄도 읽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각종 문학상에서 상을 받았던 그의 소설들이 참 좋았다. 그가 쓴 단편소설 “화장”은 정말, 아, 나이 먹은 소설가, 그 인생의 매력을 느끼게 해주었고 이어 읽었던 칼의 노래에서는 땀흘리는 소설가의 노동을 알았다. 구절 하나 하나 뚝뚝 땀이 떨어지는 듯 꽃이 떨어지는 듯 했고, 그 소설의 첫 구절이었던, 버려진 섬마다 꽃이 피었다. 라는 구절을 수십 번 곱씹었다. 그의 소설 “개”에서는 늙어가는 남성성을 그리워하는 작가를 만났다. 그리고 그의 소설 “남한산성”이 베스트 셀러에 올랐다 하여 그 책을 사놓고, 그리고 일전에 사 두었던 이 책을 먼저 읽었다. 밥벌이의 지겨움.

뭐 해 먹고 살지 걱정이다. 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돈 버는 것도 지겹다 라고들 많이 얘기한다. 목구멍이 포도청이고, 먹고 살려면 어쩔 수 없지 않냐는 것이 우리들의 밥벌이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는 밥을 벌어먹기 위해서, 혹은 밥을 벌어 먹이기 위해서 거리로 나서고 그 모든 수모를 수고라고 위장하여 스스로를 위로하며 살아간다.

설마 우리가 밥만 벌고 있는가, 아니 이제 먹을 것이 없던 시절은 아득히 멀어 보이기도 한다. 물론, 아직도 먹고 사는 것이 걱정인 사람들은 많이 있지만, 그래도 예전보다는 살기가 많이 좋아져, 끼니를 걱정하는 일은, 그래도 우리 부모세대보다 많이 적어졌다. 밥, 은 단순히 음식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말하는 것일 게다. 좀 더 윤택하게 살기 위해, 좀 더 편하게 살기 위해 우리는 꾸역꾸역 일을 하고 노동을 해야 한다. 그 지겨움에 대해서 김훈이 뭔가 멋진 이야기를 해 줬기를 바랐건만.

이 책은 두, 세쪽 가량의 아주 짧은 작가의 에세이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그러나 이 에세이들은 설령 화장실에 앉아 아무 생각 없이 넘길 만큼 가벼워 보일 수도 있으나, 가만히 숨을 고르고 읽다보면 이 양반, 참 정성이 넘치는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는 이 책에서 밝혔듯이 굳이 아직까지도 육필 원고를 고집한다고 하는데, 그 육필의 힘이 무엇인지, 이 짧은 글들 속에서도 살갗에 닿을만큼 느낄 수 있다. 그저 가볍게 블로그에 씨부리는 것처럼 지껄여 책을 내놓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그리고 우리는 그런 이야기들에 익숙해지고 있다. 그러나 김훈의 글은 달라서, 읽다가 아, 내가 딴청을 하고 있구나 반성하고 각잡고 다시 읽게 되는 그런 힘이 있다. 그는, 적당히 살았고 (48년생, 우리 모친과 동갑) 세상에 적당히 실망했으며, 그러면서도 아직도 에너지가 넘쳐 흐른다. 이것이 그가 오십넘어 펜대를 잡고 소설을 쓰기 시작한 기운일 것이다. 아니면 그는 내가 오십만 넘어봐라, 하는 마음으로 죽기살기로 밥을 벌다가 날 잡아잡숴하며 엎어져 글을 쓰기 시작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힘이 넘치고 그래서 열심히 쓰는 것일지도 모른다. 육십이라는 나이는 이제 애매한 나이가 되었다. 직장에서 밀려나 밥을 벌지 않아도 되지만, 노인정에 가 앉아있을 수는 없는 나이. 일부는 손주들을 봐주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되기도 했겠지만, 그래도 가만히 앉아서 밥상 받아먹기는 조금 민망해하는 아직 건강한 나이, 그 나이에 김훈처럼 숨겨두었던 칼을 꺼내서 쓱쓱 갈아 써내려 간다면, 그 인생은 얼마나 값진 것인가.

장대하거나, 거창한 이야기는 하나도 없으나, 김훈을 알고 싶은 사람이라면 들어볼 만한 이야기들이다. 책을 읽는 내내 내가 왜 이 양반의 타령을 듣고 있나 싶었으나 책을 덮으면서 김훈의 다른 출판물들을 기웃거리는 나는 또 무엇인가. 그게 바로 김훈의 힘인가?

2007. 6.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