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러? 별자리러? 별자리어?
처음부터 이럴 작정은 아니었다. syo 역시 남들처럼 그냥 철학에 대해 알고 싶었을 뿐이다. 도대체 철학에 대한 관심의 불이 언제 ‘입문서’ 쪽으로 옮겨붙은 건지는 모르겠지만, 정신을 차리고 보니 어느덧 syo는 알라딘의 입문서/개론서 덕후가 되어 끈질긴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세상에 입문서/개론서/연구서/원전 이런 식의 계층구조가 선명한 장르는 굳이 왜 존재하여 읽는 이들의 마음을 쓸데없이 아프게 하는 걸까? 그리고 나는 왜 불나방처럼 결국 읽어내지도 못할 책들을 좇아 다시 못 올 귀중한 내 시간들을 활활 불싸지르는 걸까?
통상적인 독서루트는 이렇다고 한다.
원전에 덤볐다가 얻어터진다 -> 입문서를 한 권 읽어보고 감을 잡는다 -> 다시 원전에 도전해 기어이 읽어낸다 -> 전문적인 연구자들의 연구서를 읽고 시야를 확장한다 -> 다시 원전을 읽으며 깊이 있는 음미의 시간을 가진다
그러나 입문서 덕후의 독서루트는 이렇다.
원전에 덤빌 생각은 접고 ‘청소년을 위한’, ‘원숭이도 이해하는’, ‘첫걸음’, 따위의 타이틀이 붙은 책을 읽고 쉽게 이해한다 -> 다른 입문서를 읽는다 -> 또 다른 입문서를 읽는다 -> 또 또 다른 입문서를 읽는다 -> 이 타이밍에 깊이 있는 연구서를 한 번 읽어준다 -> 그리고 다시 입문서를 읽는다 -> 이쯤 되면 슬슬 원전을 읽어도 되지 않을까 싶다면 입문서를 읽는다 -> 이렇게 계속 입문서만 읽어도 되는 걸까 싶다면 입문서를 읽는다 -> 이러다 원전을 읽는 날이 오긴 올까 의심된다면 닥치고 입문서를 읽는다 -> 이제 입문서를 통해서 배울 게 남긴 남았나 싶다면 그걸 확인하기 위해 입문서를 읽는다 -> 원전을 읽어야 합니다, 자기 힘으로 원전을 읽어냄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들이 소중한 것입니다, 하는 식의 충고를 만나면 정말 진심으로 공감하는 댓글을 단 다음 책상 위에 올려놓은 입문서를 펼친다
이쪽 입장에서 보면, 철학자의 사상과 지혜 같은 건 부수적인 문제다. 그냥 읽다 보면 자연히 따라오는 것이지, 그런 훌륭하고 뜻깊은 것을 목적으로 책을 읽어서는 올바른 입문서 덕후가 될 수 없다. 온 세상 말고 이 독서판에서만 보면, 마르크스가 이미 있었으니 마르크스의 생각을 똑바로 이해하는 또 다른 사람의 효용가치는 적다. 도리어 다른 독자가 마르크스를 향해 제 발로 걸어 나아갈 수 있도록, 시중에 나와 있는 모든 마르크스 입문서/개론서를 섭렵한 후 도전자의 흥미와 배경지식의 정도에 맞춤한 커리큘럼을 설계해주는 쓰앵님이 훨씬 더 쓰임이 있는 것이다,
고 생각한다.
그것도 포부라면 포부. 실제로 2016년 당시, syo는 마르크스와 프로이트에 관한 시중의 모든 입문서와 개론서를 정말 남김없이 싹 다 읽어치운 상태였다. 그리고 그쯤 되니 그 두 냥반에 대해서라면 어디 가서 좀 아는 행세해도 부끄러운 꼴 보지 않을 만큼의 지식이 덤으로 축적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런 지식에 관해 질문을 받은 적은 한 번도 없었다. syo에게 마르크스가 뭐래요, 프로이트는 대체 왜 그런대요, 이런 걸 물어보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대신 모두들, 제가 이제 프로이트를 읽어보려 하는데요, 마르크스를 읽을까 하는데요, 뭐부터 읽으면 좋을까요, 와 같은 내용의 질문들을 던져왔다. 그렇게 알라딘 마을에서 syo는 살아있는 원숭이의 화신으로서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뭐라도 쓸모 있는 인간이 되는 건 참 즐거운 일이다.
2016년에는 마르크스와 프로이트가 가장 자신있었지만, 실은 그 두 사람 말고 입문서에 발끝을 들이밀었다가 확 데고는 얼른 돌아선 다른 적들도 많다. 플라톤, 공자, 장자, 마키아벨리, 스피노자, 흄, 칸트, 키르케고르, 니체, 후설,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벤야민, 라캉, 레비나스, 푸코, 블랑쇼, 아렌트……. 욕심만 잔뜩 품고 덤벼들었지만, 입문서 별자리 하나 똑바로 그리지 못하고 다음을 기약하게 만들었던 저 수많은 현자들.
그리고 요즘은 헤겔이다.
정확히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하여간 취업 전에, 헤겔로 별자리 하나 만들어 놓고 볼 작정.
--- 읽은 ---



+ 정신현상학 / 김은주 : 76 ~ 216
+ 처음 읽는 중국사 / 전국역사교사모임 : 269 ~ 386
+ 탈코르셋 선언 / 윤지선, 윤김지영 : 70 ~ 133
--- 읽는 ---






= 광대하고 게으르게 / 문소영 : ~ 150
=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 / 이병창 : ~ 168
= 여자와 소인배가 논어를 읽는다고 / 서한겸 : ~ 42
= 가와바타 야스나리 / 허연 : ~ 131
= 카를 마르크스의 혁명적 사상 / 알렉스 캘리니코스 : 157 ~ 248
= 호젓한 시간의 만에서 / 장석주 : ~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