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1
뒤뜰이라고 부르기도 뻘쭘한 자그만 땅뙈기에 키 작은 매실나무 하나를 심고 길렀는데 올해도 얼마간의 매실이 달렸다. 구름 낀 날 골라 엄마와 둘이서 다 땄다. 매실나무가 따끔한 녀석이라는 걸 처음 알았다. 가시라고 하긴 조촐하지만 가시가 아니라고 하긴 또 억울할 만큼은 뾰족한 잔가지 들의 공세가 있었다. 따서 씻고 말려보니 광주리 하나를 겨우 덮을 만했다. 바퀴달린 장바구니를 끌고 나가 설탕을 잔뜩 사서 돌아왔다. 술 담글 때 쓴다는 플라스틱 독에 매실을 깔고 설탕을 깔고 매실을 깔고 설탕을 깔았다. 그리도 그 위로 매실을 깔고 설탕을 깔았다. 몇 번을 반복했다. 이게 뭐가 될까?
사흘이 지나 들여다보니 설탕은 보이질 않고 진득하고 진한 갈색 물 위로 쪼글쪼글한 매실들이 단내를 풍기며 동동 떠 있다. 긴 주걱을 넣고 휘젓는데 바닥에 깔렸던 덜 녹은 설탕들이 밀물 맞은 바다모래와 썰물 지나간 펄의 가운데쯤 되는 몸짓으로 주걱에 척척 감긴다. 색까지 닮았다. 노 젓는 사공처럼 열심히 저었다. 매실의 작은 몸들이 휘휘 돌아나갔다. 그 위로 달큰하게 퍼지는 갈색 냄새. 냄새만 맡아도 배가 부를 것만 같아서 밥벌이 하는 일꾼처럼 자꾸만 젓고 또 젓는다.
적어도 반년은 묵혀 두라고 한다. 열심히 노 저어 갈색 바다를 건너뒀으니 내년에는 매실차를 마시겠다.
비 오는 거리에 서 있어 본 사람이면
누구나 안다, 꽃은, 어느 봄날의 꽃이든
어두컴컴한 빈 방에 덩그마니 매달린 의자다,
의자엔 죽음이 걸터앉아 엉덩이를 들썩이며
비가를 부른다, 앞뒤로 일렁이며 삶의 비가를,
노래를 입안으로 흘려 넣으며, 그래 그렇게
흔들리며 달이 고개를 돌릴 때까지
잠시 이런저런 빛깔로 아픔을 노래해 보는 거다
_ 김재혁, 〈꽃, 비가〉 부분
사람에게 있어서 문장은 풀이나 나무로 보면 아름다운 꽃과 같다. 나무를 심는 사람은 나무를 심을 때 그 뿌리를 북돋아주어 나무의 줄기가 안정되게만 해줄 뿐이다. 그렇게 하고 나면 나무에 진액이 오르고 가지와 잎사귀가 돋아나면 그때에야 꽃도 피어난다. 꽃을 급히 피어나게 할 수는 없다. 정성스러운 뜻과 바른 마음으로 그 뿌리를 북돋아주고, 독실하게 행하고 몸을 잘 닦듯이 줄기를 안정되게 해주어야 한다. 경전과 예를 궁리하고 연구하여 진액이 오르도록 하고, 넓게 배우고 들으며 예능에 노닐어 가지나 잎이 돋아나게 해야 한다.
이렇게 해서 그 깨달은 것을 유추하여 쌓아두고 그 쌓아둔 것을 펼쳐내면 글이 이루어진다. 그것을 보는 사람들이 문장이 되었다고 인정하게 되니, 이것을 문장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니 문장이란 급하게 완성될 수는 없다.
_ 정약용,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
2
실패를 쌓아나가는 것,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가능성이 줄어드는 일이 아니다. 그간 과대평가했던 자신을 똑바로 들여다볼 줄 알게 되는 일에 가깝다. 냉정한 눈을 갖추고, 보폭을 정교하게 재어보고, 거울의 배율을 조정하고, 더 이상의 공수표를 받아주지 않고. 돌아보면, 실제로는 이것을 하면서 저것도 할 수 있는 인간인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오해가 길었다. 독이었다. 자기 중독. 증상을 유발하는 맹독이다.
욕심이다. 좁게 읽어야 한다. 적게 읽어야 한다. 누구보다 내가 가장 잘 알고 있다. 많은 걸 읽으면 많은 걸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은 읽는 것 외에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 그래왔다.
집착하지 않고, 가장 격렬한 순간에도 자신을 객관화할 수 있고, 놓아야 할 때에는 홀연히 놓아버릴 수 있는, 삶에 적절한 거리를 둘 수 있는 그런 태도랄까. 그렇다고 아무런 열망도 감정도 없이 죽어 있는 심장도 아닌데 그 뜨거움을 스스로 갈무리할 줄 아는 사람, 상처받기 싫어서 애써 강한 척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 삶이란 내 손에 잡히지 않은 채 잠시 스쳐가는 것들로 이루어졌지만 그래도 순간순간 눈부시게 반짝인다는 것을 알기에 너그러워질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이 아주 드물다는 건 어린 시절에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었기에 동경할 수밖에 없었던 것 아닐까.
_ 문유석, 『쾌락독서』
지식인의 지성은 타자의 결점을 지적하는 날카로운 혀에서 나온다고 오해하는 사람이 많습니다만, 그렇지 않습니다. 지성은 자기가 범한 죄과와 실패의 유래를, 또한 그 진행 과정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에 따라 판정됩니다. 어느 지식인이 자신의 실패를 명확하고 분명한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다면 그의 지성은 다른 문제에서도 적절하게 기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_ 강상중, 우치다 타츠루, 『위험하지 않은 몰락』
사이렌의 유혹이 가진 가장 강력한 힘은 실제로 무엇일까요? 우리는 보통 사이렌의 노래가 너무 아름다워서,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저마다 현혹되어 그곳으로 갔다고 생각하는데 카프카는 다른 방식으로 이해합니다. 사이렌의 노래가 그토록 아름다운 것은 사이렌의 노래 자체가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사이렌에 도전하고 있는, 즉 신화를 벗어나려고 하는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자만심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사이렌을 이길 수 있다, 나는 벗어날 수 있다는 승리를 확신하는 인간들의 도취에 대해 사이렌의 노래는 무엇으로 유혹을 했을까요? 사이렌은 사람들이 이길 수 있다, 나는 승자라는 그 자만심을 부추기는 노래를 불러 그 노래를 듣고 따라가지 않을 수 없도록 만든 것입니다. 사이렌의 노래는 끊임없이 아양을 떠는 노래입니다. 그 노래는 인간 속에 숨겨진 자부심, 숨겨진 승부에 대한 욕망과 같은 것을 자극해, 인간들이 자기에 스스로 묶여 맹목적으로 사이렌의 섬으로 나아가게 만듭니다. 인간이 사이렌의 노래를 이길 수 없는 것은 바로 자기가 신화의 세계를 깨고 나올 수 있다는 합리성에 대한 자만심 때문입니다. 누구도 그러한 자만심을 이길 수 없습니다.
_ 김진영, 『희망은 과거에서 온다』
--- 읽은 ---
+ 고통은 나눌 수 있는가 / 엄기호 : 223 ~ 302
+ 딴 생각 / 김재혁 : 48 ~ 123
+ 아무튼, 요가 / 박상아 : ~ 149
--- 읽는 ---
= 회계 기초 탈출기 15일 플랜 / 장홍석, 장원희 : ~ 136
= 독일사 산책 / 닐 맥그리거 : ~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