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에 온 비와 새로 올 아이들
1
새벽에 빗소리가 찾아와 잠깐 깨어 만났다가 다시 잠들면 어쩐지 물여울처럼 맑고 또렷한 꿈을 꾼다. 통유리 벽 바깥으로 어깨를 대고 늘어선 침엽수들이 빗물을 받아 떨구고 있다. 숲의 얼굴이 밝다. 한 팔을 테이블과 턱 사이에 괴고, 다른 한 손에 쥔 작은 책을 나는 읽고 있다. 머그잔 속 절반만 남은 커피가 구름 그림 같은 김을 뿜어내고 있다. 커피에서 침엽수의 맛이 난다. 사철 푸르고 느긋한 맛이 난다.
책을 읽는 나는 기쁘다. 꿈에서도 기쁘다. 기뻐서 꿈임을 알아챈다. 숲이 있고, 비가 있고, 통유리 너머로 숲과 비가 보이고 들린다. 엉덩이가 편한 의자, 맞춘 듯한 높이의 테이블, 커피, 책. 시간과 공간이 다정하다. 이 꿈 밖에 서면 시간은 험한 얼굴로 나를 뒤쫓고 공간도 내 목을 죌 셈이다. 그래도 이 안에서는 우린 모두 다정하다. ‘이게 꿈이라면 깨지 않았으면’ 하고 생각하는 바로 그 순간부터 기쁨의 지반이 조금씩 흔들리듯이, 이게 꿈이 아니기를 바라자 빗소리가 잦아들고 먼데부터 숲이 천천히 바스라진다. 커피가 식는다. 이제 깰 시간이고 세상엔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을 것이다. 책을 쥔 손에 세게 힘을 준다. 나는 마지막까지 끈질기게 활자를 부여잡으려 애쓴다. 이 세상에서 눈을 감는 일이 저 세상에서 눈을 뜨는 일이 되고, 이 세상의 것을 한 자도, 또는 한 획도 저 세상으로 들고 가지는 못하겠지만, 나는 노려본다. 눈을 감지 않으려고. 끝없이 눈을 뜨고 있으려고.
그리고 눈을 떴다.
2
어제는 오전 예정이었던 데이트가 오후로 미뤄지면서, 계획에 없이 도서관에 들러 책을 안고 돌아왔다. 가는 길 오는 길이 모두 덥지 않았다. 또 한 무더기의 책을 침대 발치에 쌓아놓고 얼음커피를 만들었다. 마이클 부스의 『거의 완벽에 가까운 사람들』, 장석주의『슬픔을 맛본 사람만이 자두 맛을 안다』, 나쓰메 소세키의 『풀베개』, 뤼트허르 브레흐만의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 미코시바 요시유키의 『그렇다면, 칸트를 추천합니다』, 이기호의 『누구에게나 친절한 교회 오빠 강민호』, 홍성수의 『말이 칼이 될 때』를 나누어 읽었다. 어떤 애는 다 읽었고 또 어떤 애는 아직 읽는 중이다. 한 권의 책을 앉은 자리에서 다 읽어 내는 사건(그야말로 사건이라고 할 것인데)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내 탓이겠으나 책 탓도 하고 싶고 그렇다.
3
정말 사랑하는 작가인데도, syo는 장석주가 좋으면서 식상하다고 해야 할지 식상하면서 좋다고 해야 할지 항상 애매하다. 그의 글은 아름다움이 적당하고 성찰이 적당하지만, 해석이 늘상 정론에 가깝고 어떤 서술은 책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기시감을 불러일으킨다. 예를 들면, 장석주의 책 두 권 중 한 권에는 syo가 ‘출석체크’라 부르는 다음과 같은 식의 글이 꼭 들어있다.
사춘기에는 헤르만 헤세, 프란츠 카프카, 알베르 카뮈,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소설을 읽고서 서툰 문장을 끼적이고, 한국문학전집에서 염상섭, 이태준, 박태원, 이상, 손창섭, 오영수, 최일남, 김승옥, 서정인 등의 소설을 읽으며 문장을 배우고 익혔다. 내게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문장의 스승이 있었다. 프리드리히 니체, 헨리 데이비드 소로, 가스통 바슐라르, 롤랑 바르트, 발터 베냐민, 질 들뢰즈 같은 철학자나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가와바타 야스나리, 리처드 브로우티건 같은 작가들, 그리고 고은, 한창기, 김우창, 김현, 김화영, 김훈 같은 이들의 책에서 감명을 받고 그들의 문장을 본받고자 했다. (224 225)
처음 출석체크를 만난 게 기억도 안 날만큼 오래전이니, 한 해에도 몇 권의 책을 내는 장석주의 생산력에 비추어 보면, 그의 책을 열심히 찾아 읽는 syo에게 저런 이름들의 나열을 보는 일이 얼마나 지겨울까. 제발, 다음 책부터는 출첵 그만 하셨으면 좋겠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그럴 걸 다 알면서도 읽으라고 시키지도 않은 책을 자발적으로 찾아 읽어놓고 웬 지랄이냐, 지겨우면 안 보면 될 것 아니냐, 고 하시면 맞는 말씀이라 딱히 대꾸할 말이 없다. 그렇지만, 그렇다고 해서 식상하다는 느낌이 들었는데도 입을 틀어막고 있어야만 하는 것은 또 아니잖아요.
4
어려운 책을 좍좍 찢어 꼭꼭 씹어 삼키듯 읽는 이웃님들을 보고 있노라면 좀 복잡한 심경이다. 태생이 꼼꼼하지 못해서일까, 끈기가 부족해서일까. syo도 종종 하나의 분야를 정해 몇 권의 책을 읽는 사업을 벌이긴 하는데, 그 끝이란 늘 용꼬리, 하물며 뱀 꼬리는커녕 마치 웰시코기 꼬리처럼 웃음을 자아내며 부끄럽게 소멸한다. 요즘은 대체로 손에 잡히는 책을 아무렇게나 읽고 있다. 그래도 딱 하나 주제를 정해 읽고 있는 게 있다면 ‘기본소득’이겠다. 얇은 책 몇 권을 읽다가, 갖춰 두고 뒤적거릴 책이 하나쯤 필요할 것 같아서 두꺼운 놈으로 주문했다.






애정하는 작가 목록에 올라오려고 맹렬하게, 거의 폭력적으로 치고 들어오는 작가가 있었다. syo는 힘겹게, 정말 힘겹게 저항했는데 왜 그랬는지는 모른다. 명분이 없는 저항은 결국 진압되는 법. 그는 결국 syo의 ‘거기 올라온다고 딱히 뭐 영광스럽거나 할 건 아니지만 그래도 본인한테는 못내 소중한’ 애정작가 리스트에 등재되었는데, 그 이름은 박형서다. 최근 얇은 책 한권을 읽었는데, 가벼운 잽이었음에도 얻어맞고 다운되었다. 그러니까 이미 데미지가 턱 끝까지 차 있는 마당이었던 것. 새 책을 주문했다.





뭐였는지 기억은 잘 나지 않는데, 최근 열흘 안에 읽은 어떤 글(열흘이라면서 기억을 못하냐.....)에서 언급하길, 이 나라 독서판에 많이, 그리고 꾸준히 읽기로 치면 왕좌에 모자람이 없는 세 명의 독서가가 있으니, 그들이 바로 장석주, 한기호, 이현우이다, 하였다. 책 좀 읽는다 하는 사람들에게 저건 거의 공리나 정의에 가까운 말이다. 그런 이유로 역시 독서삼황 중 1인의 새 책을 주문하였다.



월요일쯤이면 저 아이들이 도착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