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시대가 지나면서 '진보'적이었고 '참신'했던 것들이 '오래 된' 것으로, '익숙한' 것으로 변하는 모습은 언제 봐도 신비하다. 그 말은 즉슨 지금이 순간 역시 과거의 한 자락으로 남는다는 거니까. 나의 의식이 끝난 이후에도 시간은 끊임없이 흘러 내가 인지하지 못하는 미래에 도달한다. 나의 뒤에 남는 사람들은 계속해서 살아갈 것이며, 나의 역사는 더 이상 이어지지 않겠지만 누군가의 역사는 새로이 쓰여지고 계속해서 무수한 이야기를 잉태할 것이다. 나의 죽음과 세상의 끝이 동일하지 않다는 사실은 참으로 묘하다. 같은 선상에 놓여 있지만 언젠가는 단절되고 마는 관계. 하지만 내가 몇 십 년 전의 사람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의식이 나의 의식에 겹쳐지듯, 미래의 사람들과 내가 다른 차원으로 연결될 것임을 생각하면 그 '단절'이 마냥 야속하거나 두렵지는 않다. 


왜 이런 생각이 들었냐면, 요즘들어 꽂힌 The Velvet Underground의 노래를 들으면 마치 그들이 여전히 살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사는 시대도 다르고, 나라도 다르고, 인종도 다르고, 언어도 다르지만 노래를 통해 형성되는 공감대는 이 모든 것을 초월한다. '예술'의 힘이 바로 이런 것이 아닐까. 인간이 글을 통해, 노래를 통해, 행위를 통해 계속해서 무언가를 창조해내고 자신의 내부에서 토해내고자 하는 욕구도 결국에는 자신의 유한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삶 자체와 이어지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창조물을 소비하는 행위 역시, 이를 통해 시공간을 뛰어 넘는 존재와 접촉함으로써 자아를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인간의 필연적인 욕구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나는 이 세상에 왜 존재하는가"에 대한 어찌보면 상당히 가학적인 질문에 대해, "존재하기 때문에,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존재한다."라고 대답하고 싶다. 존재의 목적을 굳이 따지기 보다, 인간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따지기 보다, 그저 태어났으니까, 그리고 태어난 이상 가장 큰 목적은 삶을 유지하는 것, 그리고 삶을 확장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니까. 물론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 에너지를 발산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겠고, 결코 그 방법의 가치가 모두 동일하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내가 생각하기에 가장 하등한 방법은 '돈'으로 자신의 존재 의미를 찾는 것. 존재의 유한성을 극복하기 위해 유한한 무언가에 집착한다는 것은 그 끝이 너무나 허무할 것이기에. 




Sweet Jane

Standin' on a corner
Suitcase in my hand
Jack's in his corset, Jane is in her vest
and me I'm in a rock 'n' roll band. Huh.
Riding a Stutz Bear Cat, Jim
ya know, those were different times
all the poets studied rules of verse 
and those ladies they rolled their eyes
Sweet Jane
Sweet Jane
Sweet Jane
Now Jack, he is a banker
and Jane, she's a clerk
and both of them save their monies
when they get home from work
sittin downby the fire
Ooo, the radio does play
the classical music there, Jim
The March of the Wooden Soldiers
All you protest kids
you can hear Jack say
Sweet Jane
Sweet Jane
Sweet Jane
Some people they like to go out dancin
and other people they have to work. Just watch me now
and there's even some evil mothers
Well there gonna tell you that everthing is just dirt
you know that women never really faint
and that villians always blink their eyes
that children are the only ones who blush
and that life is just to die
But anyone who ever had a heart
they wouldn't turn around and break it
and anyone who ever played a part
They wouldn't turn around and hate it

Sweet Jane, Sweet Sweet Jane..      



삶은 유한하다. 그래서 충실해야 한다. 저마다 각기 다른 삶의 방식이 있겠지만, 그래도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것 자체를 가장 중시할 것. 미래를 걱정하고 과거를 후회하는 것 보다, 살아 있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두어야 오히려 시간의 속박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다. 어차피 인생은 짧고 언젠가 끝이 난다. 나의 삶 자체에만 매달리지 않고 나의 시간을 뛰어 넘는 영겁의 시간이 있음을 인식한다면 보다 궁극적인 인생의 목적에 집중할 수 있지 않을까? 이 목적을 행복이라고 바꿔 말해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다. 유한성을 극복함으로써 얻어지는, 물질적인 것에 얽매이지 않는 궁극적인 행복. Sweet life, Sweet Sweet lif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은 휴일이었어. 휴일이라는 단어는 묘하게 스트레스를 줘. 할 게 아무 것도 없는 데도, 뭔가 해야할 것만 같은 기분이 들게 하거든. 하지만 사실 진짜 '쉰다'는 건 사람마다 정의내리기 나름인 거 아닐까? 정말 아무것도 안 하고 쉬기만 하는 건, 사실 모순이야. 정말 '아무 것도 안 하는' 상태는 음.. 죽음 밖에 떠오르지 않아. 아무튼 그래서 오늘은 휴일이니까, 창문을 통해서 들어오는 햇빛 외에는 네 벽에 반사되는 백열등의 인공적인 전기만 맛 볼 수 있는 내 방에서 벗어나 시내의 광장으로 나갔어. 일단 가장 큰 목적은 햇빛을 쬐고 싶다는 거였고, 그 목적이 도달하는 곳에 책이 있다면 더 좋겠다 싶었지. 결론부터 말하자면 성공적이었어. 햇빛은 눈부시게 하늘을 빛내고 있었고 그 밑의 지상까지 관대하게 반짝반짝 빛가루를 뿌려줬어. 내 파란 코트를 사기 잘했다고 다시금 생각했어. 그 부드럽고 온화한 분위기에 내 파란코트를 더함으로써 '창조'에 일조하는 듯한 기분좋은 착각에 빠질 수 있었으니까. 거기에 내 손에 들려 있는 책이 '백년의 고독'이란 것도 마음에 들었어. 도저히 현실이라고는 받아들여지지 않는 이 몽롱하고 강렬하면서도 잡으려고 하면 스르르 흩어지고 마는 이곳에서의 생활이, 이 책을 오히려 생생하고 '현실적'으로 만들어주었거든. 


'운명'을 믿니? 가끔, 지금까지의 발자취를 돌아볼 때면 알 수 없는 끈이 내 몸을, 내 생각을 휘감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왜 하필 나는 그때 그 선택을 했을까? 왜 그런 말을 했고, 그런 것에 동의를 하고, 그런 것에 반대를 했을까? 왜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을까. 그리고 한 편으로는, 또 그 끈들이 나를 어딘가로 끌고 가고 있다는 생각도 들어. 정말 미래가 보이지 않는 거 같니? 한 발짝 바로 앞도 보이지 않는 새카만 어둠에 둘러 쌓여 있는 거 같아? 그렇다면 조심해. 불시에, 발 밑에서 귀 뒤에서 미간 앞에서 운명의 세 여신의 가위가 들이닥칠 수 있으니까. 그러면 공포에 질린 나머지, 그나마 유지해오던 조심성과 예민함마저 잊어버리고 자신이 살아 있는지 죽어 있는지 조차 모른 채, 사지를 버둥거리게 될 뿐이야. 


'고독'을 생각해봐. 나의 인생이 어느 양피지에 전부,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동시에 적혀 있고 그 양피지 마저 영원히 소멸될 것이라는 고독. 그 양피지가 누구에 의해 쓰였는 지도 알 수 없는 진저리나는 고독. 시작이 있기에 끝이 있음을 알고, 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이 있음을 알고, 세상에 즐거움과 고통이 있음을 알고, 나는 다만 살아갈 따름이라는 것을 안다면 고독은 조용히 찾아올 거야. '운명'과 '고독'은 마치 동전의 앞면과 뒷면 같지. 운명에 대해 생각하고 고독을 씹어 삼켜. 그 쌉싸름한 환상 끝에는 안식이 분명히 있어. 마법의 세계를 뒤로 하고 문을 닫고 나오는 앨리스가 느꼈던, 진득한 고독과 그 끝에서 알싸하게 퍼져오는 해방감이 말이야. 그럼으로써 양피지는 끝이 나고 문은 닫히고 땅은 덮이고 꽃은 꺾이고 빛이 사라지고 어둠도 사라지고, 하늘은 내려앉고....마침표가 찍혀지지. 아무 것도 남지 않는다고 생각하면 오히려 마음은 편해지지 않니? 아무리 발버둥쳐봐야 고독은 사라지지 않고, 외면하면 외면할수록 공허감만 커질 뿐이야.


만나서 반가웠어, 언제 다시 만날 지 모르겠지만 이 햇빛이 이렇게 따스한데 뭐가 문제겠어. 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사랑하는 언니, Aimee Mann의 목소리가 대거 실린 영화 Magnolia의 오스트. 요상하게도 내가 좋아하는 '솔로' 아티스트 중에는 여성이 많다. Aimee mann, 꼴까닥 넘어갈 거 같은 목소리의 Fiona apple, 내가 담배 한갑을 내리 피고 노래를 해도 이렇게는 안 될거야 rachael yamagata, 폭발하는 청승맞음 박정현, 언니 너무 몽롱해요 이소라, 영원한 여신 김윤아, 인어의 목소리 지선, 잠이 들 것만 같은 잔잔한 심규선, 한국식 허스키 조원선. 중학생 때 갓 pop을 듣기 시작할 무렵에는 그 스모키 화장과 창백한 금발이 어찌나 예뻐 보였는지, Avril Lavigne에게 푸욱 빠졌었다. 게다가 그 무렵의 avirl양은 complicated, st8er boy같은 명곡을 후줄근한 힙합 패션에그 맑은 목소리로 노래하는 신비로운 소녀였기에 ㅠㅠ. 난 이상하게 노래 잘 하는 남자보다 노래 잘 하는 여자에게 끌리더라. 어쩌면 나는 동성에게도 심장이 두근거리는 여자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가끔. 


쨌든, Aimee mann 의 노래 중 이 magnolia 앨범에도 수록되어 있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노래는 바로 'Save me'이다. 


Save me 

You look like
A perfect fit
For a girl in need
Of a tourniquet
But can you, save me
Come on and, save me
If you could, save me
From the ranks of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Cause I can tell 
You know what it's like
The long farewell 
Of the hunger strike 
But can you, save me
Come on and, save me
If you could, save me
From the ranks of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You struck me dumb
Like Radium
Like Peter Pan or Superman
You will come to save me
C'mon and save me
If you could, save me
From the ranks of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Cept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But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C'mon and save me
Why don't you save me
If you could save me
From the ranks of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Cept the freaks 
Except the freaks 
Who suspect they could never love anyone
Except the freaks who could never love anyone


                                                                 
                                                                        



가사 봐. ㅠㅠ. 너무 좋다. 처음에 영화를 보지 않고 이 노래만 들었을 때는 눈물을 뚝뚝 떨어 뜨리고 허겁지겁 가사를 찾아 일기장에 옮겨 적었었다. 나중에 영화를 보며 이 노래를 들었을 땐 또 감회가 새롭더라. 음, 영화를 볼 때는 아무래도 save me 보다 wise up을 들으며 더 울었던 것 같다. 난 원래 스크린 속 주인공이 울면 같이 운다.특히 여자가 울면 더 운다. wise up노래를 주인공들이 떼거지로 따라 부를 때는 그렇게 가슴이 먹먹할 수가 없었다. 사실은 그런 거다. 서로 치고 받고 미워하고 오해하고 때리고 난리를 쳐도, 서로가 괴물같고 내 자신이 괴물같더라도 결국 우리는 서로를 구원해줄 수 있고 또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존재인 것이다. 고작 한 번의 데이트를 위해, 한 번의 용서를 위해, 한 번의 만남을 위해, 한 번의 인정을 위해 엉뚱한 데서 생 난리를 친다. 그러다 문득 하늘에서 개구리라도 떨어지면, 갑자기 모든 것이 부질 없어 보이고, 사실은 가장 바래 왔던 것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순간 잊혀져 버린 그 '구원'을 향해 달려가게 되는 것이다. 참 문제다. 삐진 연인에게 '미안해' 한 마디면 모든 게 해결될 텐데 그 한 마디를 못해서 서로의 잘잘못을 붙들고 끙끙 앓고, '감사합니다' 한 마디면 부모 자식간의 질긴 인연이 다시 굳게 이어질 텐데 그 한 마디를 못해서 서로에게 소리를 지른다. 인생 혼자 사는 거 아닌데, 주위 사람들과 조금이라도 따뜻하게, 몽실몽실하게 하루를 보내기에도 부족한데 우리는 갈수록 구원에서 멀어만 진다. 이러다 하늘에서 개구리라도 진짜 떨어져야 정신차리고, 용서하지 못했던 사람들 또 용서를 구하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달려 가려나. 


아무튼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커플용 크리스마스 단골영화인 Love Actually 에서 karen 역으로 나온 emma thompson이 남편에게 하는 말이 있다. Joni Mitchell의 blue 음반(both sides now 였나..?기억이..)을 틀어 놓고, 또 그 양반 노래를 듣냐는 핀잔 아닌 핀잔을 하는 남편에게. 이 사람이 나의 감수성을 되찾아 준 고마운 사람이라고. 약간의 건들건들한 자세와 함께 흥얼거린다. 나에게는 Aimee Mann이 그런 사람이다. 괜히 혼자 질질 눈물 흘리고 싶을 때, 온갖 청승이란 청승은 다 찾아서 방구석에 기어들어가 이불 푹 뒤집어 쓰고 혼자 있고 싶을 때 aimee mann의 목소리는 인생 다 산 언니가 옆에 걸터 앉아 그래, 힘드냐? 하고 토닥여주는 거 같다. 그럼 나는 네..징징..힘들어요.. 거리다가 정신 퍼뜩. 따뜻한 카페라떼나 코코아가 있으면 기운은 120% 회복된다. 


오늘은 딱히 청승을 떨고 싶지도 않고, 우울하지도 않지만, 정말 아무런 이유도 없이 밤을 꼴딱 새고 말아서, 주저리주저리 글이라도 쓰고 싶었다. 참 이상하다. 힘들 때 들었던 노래들을 나중에 힘든 일이 다 지나가고 들으면, '고마운' 기분이 든다. 노래에게 고마운 건지, 이제는 털고 일어난 나에게 고마운지는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Dark Side of the Moon(1973) 수록곡 중 -> 소설에는 언급되지 않으나 달의 뒷 면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는 듯하여.. 특별히 좋았던 곡 2개. 

Brain Damage(1973)


The lunatic is on the grass
The lunatic is on the grass
Remembering games and daisy chains and laughs
Got to keep the loonies on the path
The lunatic is in the hall
The lunatics are in my hall
The paper holds their folded faces to the floor
And every day the paper boy brings more
And if the dam breaks open many years too soon
And if there is no room upon the hill
And if your head explodes with dark for bodings too
I'll see you on the dark side of the moon
The lunatic is in my head
The lunatic is in my head
You raise the blade, you make the change
You re-arrange me 'till I'm sane
You lock the door
And throw away the key
There's someone in my head but it's not me.
And if the cloud bursts, thunder in your ear
You shout and no one seems to hear
And if the band you're in starts playing different tunes
I'll see you on the dark side of the moon


Eclipse(1973)


All that you touch
All that you see
All that you taste
All you feel
All that you love
All that you hate
All you distrust
All you save
All that you give
All that you deal
All that you buy
Beg, borrow or steal
All you create
All you destroy
All that you do
All that you say
All that you eat
Everyone you meet
All that you slight
Everyone you fight
All that is now
All that is gone
All that's to come
And everything under the sun is in tune
But the sun is eclipsed by the moon.
There is no dark side of the moon really.

Matter of fact it's all dark. 


* * *



One of These Days(1971)


One of these days I'm gonna dance with a king of Sweden.




"들었어?" 지마가 흥분한 듯 물었다.

"그래" 내가 말했다. "근데 맨 끝밖에 못 들었어"

"하지만 무슨 곳인지는 알았지?"

"아니" 내가 말했다

"핑크 플로이드였어. '머지않아One of these days'"





* * *



A Saucerful of Secrets(1969)



"맞아! 그게 음악이냐, 깡통이지!" 누군가의 목소리가 수화기 속에서 으르렁댔고, 우리는 몇 초간 아무 말도 안 했다. 

"그건 그렇지 않아" 마침내 지마가 입을 열었다. "오해야. 그건 맨 끝에 '접시 가득한 비밀 A Saucerful of Secrets' 새 녹음 버전이 들어 있잖아. <멋진 한 쌍 A Nice Pair> 앨범 버전과 보컬도 다르지. 길모어가 부르는 거야"

그것에 대해선 전혀 기억이 안 났다.





* * *



IF(1970)


If I were a swan, I'd be gone.

If I were a train, I'd be late.

And if I were a good man, 

I'd talk with you more often than I do.

If I were asleep, I could dream.

If I were afraid, I could hide.

If I go insane, 

Please, don't put your wires in my brain.

If I were the moon, I'd be cool.

If I were the rule, I would bend.

If I were a good man,

I'd understand the spaces between friends.

If I were alone, I would cry.

And If I were with you, I'd be home and dry.

And If I go insane, 

Will you still let me join in with the game?

If I were a swan, I'd be gone.

If I were a train, I 'd be late again.

If I were a good man,

I'd talk with you more often than I do.


Summer' 68(1970)


Would you like to something before you leave?
Perhaps you'd care to state exactly how you feel.
We say goodbye before we've said hello.
I hardly even like you.
I shouldn't care at all.
We met just six hours ago.
The music was too loud.
From your bed I came today and lost a bloody year.
And I would like to know, how do you feel?
How do you feel?
Not a single word was said.
They lied still without fears.
Occasionally you showed a smile, but what was the need?
I felt the cold far too soon in a wind of ninety five.
My friends are lying in the sun, I wish I was there.
Tomorrow brings another town, another girl like you.
Have you time before you leave to greet another man
Just to let me know, how do you feel?
How do you feel?
Goodbye to you.
Childish bangles too.
I've had enough for one day.



"<원자 심장을 단 어머니Atom Heart Mother> 앨범에선 뭐가 좋았니?" 지마가 물었다.

"왜, B면에 두 곡이 있잖아. 하나는 기타가 뒤에서 연주하는 조용한 곡이고, 다른 곡은 오케스트라 연주고. 브리지가 아주 아름다웠어. 탐 타-타 타-타 타-타 타-타 탐-타람 트라-타-타......"

"아 그거!" 지마가 말했다. "'68년 여름 Summer'68'이지. 그리고 조용한 노래는 '만약If''이고."



* * *



Echoes (1971)


Overhead the albatross

Hangs motionless upon the air

And deep beneath the rolling waves

In labyrinths of coral caves

An echo of a distant time

Comes willowing across the sand

And everything is green and submarine.

And no one called us to the land

And no one knows the where's or why's.

Something stirs and something tries

Starts to climb toward the light.

Strangers passing in the street.

By chance two separate glances meet

And I am you and what I see is me.

And do I take you by the hand

And lead you through the land

And help me understand 

The best I can.

And no one called us to the land

And on one crosses there alive.

No one speaks and no one tries

No one flies around the sun....

Almost everyday you fall

Upon my waking eyes.

Inviting and inciting me

To rise.

And through the window in the wall

Come streaming in on sunlight wings

A million bright ambassadors of morning.

And no one sings me lullabies

And no one makes me close my eyes

So I throw the windows wide

And call to you across the sky....



"나에게는 제일 좋아하는 레코드란 게 없어" 지마가 뻐기듯 말했다. "내가 좋아하는 건 레코드가 아니라, 음악이야. 예를 들어 앨범 <참견Meddle>에선 첫 번째 곡을 좋아해. 메아리에 관한 것인데, 들을 때마다 눈물이 나와. 사전을 찾아서 번역도 했었어. '머리 위에는 알바트로스, 파-라-람, 파-람..... 앤 헬프 미 언더스탠 더 베스트 아이 캔......'"






*지마 마쮸셰비치를 추모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가 사랑하는 예능 원탑 라디오 스타! 평소에 TV를 정말 안 본다. 거실이 너무 추워서. 는 아니고 정해진 스케쥴을 따라

방송을 해 주는 티비 프로그램은 도저히 내 생활 리듬이랑 맞지가 않아서 보지 않게 됐다. 방송국님들이 내 생활 리듬에 

맞춰줄 리도 없잖하? ㅎㅎ. 


어쨌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방으로라도 보게 되는 예능이 라디오스타다. 착한 척 안 해서 너무 좋아. 특히 엠씨들한테

하이에나 씨쥐 입힐 때가 너무너무 귀엽고 재밌다. 초반의 독기가 많이 빠지고 이제는 약간 장난끼 많은 고양이같은 느낌이 있긴 하지만 그래도 라디오스타의 정신은 김구라의 인형으로라도 유지되고 있으니까. 


이번 해돋이 특집은 베스트로 꼽고 싶을 정도로 맘에 쏙 들었다. 솔직히 다른 게스트들에 대해서는 딱히 할 말이 없고 저 맨 밑에서 헤벌레하게 마이크 들고 계신 홍석천때문에. 보통 한 번 사는 인생, 막 살기 쉽다고 한다. 하지만 홍석천은 사실상 인생을 두 번 산 셈이다. 그는 처절하게 죽임을 당했고 당당히 부활했다. 그는 지나치게 주목받으면서도 지나치게 외면 당했다. 그의 존재는 그대로 세상에서 도려내 졌고 그 빈 자리에는 그에 대한 가십과 판단들만이 남았다. 누구나 그를 알고 그에 대해 이야기했지만 그를 진짜로 알고 싶어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고 그래서 그의 존재는 거부당했다. 그 캄캄한 어둠 속에서 보이지 않는 피눈물을 얼마나 쏟았을까. 그럼에도 그는 세상을 버리지 않고 세상에 대한 사랑도 끊지 않았다. 여전히 사람들 틈에 섞이기를 바랐고 갖은 노력 끝에그는 공중파 예능에 당당히 입성하여 자신의 존재를 선포한다. 


왜 스스로를 희화화하냐고, 왜 동성애를 개그소재로 만드냐는 곱지 않은 시선이 분명 있을 것이다. 성정체성이라는 진지한, 특히 한국사회에서는 너무나도 무거운 소재를 가벼운 우스갯거리로 만들어버리는 홍석천이 마뜩찮은 사람이 분명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어쩌랴. 자신의 진지하고 무거운 어둠을 털고 나오게 했던 것이 바로 그 가벼움이었던 것을. 그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존재의 무거움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적어도 지금 우리 사회에서는. 눈을 닫고 귀를 닫고 입을 닫은 사람들의 그 무거운 빗장을 여는 일은 그 틈을 비집고 들어갈 수 있는 가벼운 유머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앞으로도 홍석천 화이팅. 계속해서 웃을 수 있기를! 당신이 그 누구보다 진지하고 무거운 사람이라는 것은,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