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양장)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윤성원 옮김 / 문학사상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3분 안에 읽을 수 있는 이야기

*

얘는 애가 너무 냉해.”

뭉치가 날 비스듬히 쳐다보며 말했다. 그 비스듬한 시선에는 애정 속에 비난이 섞여 있었다.

아니야~”

나는 굳이 말끝을 애교스럽게 올리며 대답했다. 무미건조한, 냉정한 사람이라는 평가에 기분 좋아할 유형의 사람은 아니기 때문이다.

아니긴. 넌 우리 없어도 잘 지낼 걸?”

고등학교 때부터 친구인 적극적이고 활발한 뭉치는 따뜻한유형의 인간이다. 독설과 포옹을 번갈아 사용하며 주위 사람을 다독인다. 나는 지금 독설을 맞은 것이다. 독설이 아픈 이유는 그것이 목표에 명중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는 조금 아팠다.

 

*

나는 혼자 있는 게 좋아.”

D군이 말했다. 시선은 먼 곳을 향해 있었다. 마치 지금도 혼자 있는 것처럼.

나도.”

나도 따라서 먼 곳을 바라보며 대답했다. 하지만 나는 혼자 있는 것처럼 말하진 못했고, 그래서 D군은 시선을 돌려 나를 쳐다보았다.

너는 아냐. 넌 주위에 사람들 많은 걸 좋아하잖아.”

그 시선에는 판단이 담겨 있었다. 매일 옷을 바꿔 입는 연속극의 가난한 여주인공을 바라보는 눈빛이었다.

아닌데..”

나는 고독을 싫어하고, 항상 즐거움을 좇는 사람처럼 보이기도 싫었다. D군은 나의 대답에 어깨를 으쓱하더니 손에 들고 있던 밀크티를 들이켰다. 내 대답은 밀크티와 함께 창자로 내려갔을 것이다.

 

*

뭉치와 D군은 대화가 끝난 후에 둘 다 나의 손을 잡고 걸었다. 그리고 전과 다름없이 나와 연락을 주고받았다. 나는 동일한 존재였지만 만약 뭉치와 D군이 만나서 나라는 여자아이에 대해 이야기를 했다면 둘은 괴리를 느꼈을 것이다. 나의 손을 각각 맞잡고 있던 그들, 그들은 결코 나의 다른 손까지 잡지는 못했다.


* 차마 다시 읽기도 뻘쭘한 글.. 가장 맘에 들었던 글이기도 하면서 너무나 설익고 서툴어서 이런 공개적인 장소에 올리기는 상당히 망설여 지는 에세이. 튼 이거 말고도 여러 편을 썼다가 최종적으로 올린 것인 만큼 애정이 크기도 하다. 하지만 역시 난 소설가와는 거리가 멀다고 다시 생각하게 된 계기이기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대한 개츠비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7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영하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이라는 이름이 덮어버리는 것들에 대하여

퀴즈. 이들 중 진짜 사랑에 빠진 사람을 고르시오.

①개츠비②톰③데이지④머틀⑤윌슨⑥닉

 

어렵다면 다시.

 

이들 중 진짜 사랑에 빠진 커플을 고르시오.

개츠비-데이지-데이지-머틀-머틀-조던

 

 

만약 교수님께서 이런 퀴즈를 내셨다면 나는 그 퀴즈를 포기했을 것이다. 애초에 질문이 잘못되었다. ‘진짜 사랑이란 무엇인가? 영화 소개만 봐도 이 진짜 사랑의 모호함을 알 수 있다. 진정한 연인들의 이야기라는데 어찌 그렇게들 사랑의 모습은 다양한지. ‘Love me if you dare’, ‘베티 블루’, ‘첨밀밀’, ‘봄날은 간다’, 그리고 ‘everyone says I love you’ 등등 영화들에 나타나는 사랑의 양태는 너무나도 다양하고 달라 보인다.

 

 

사랑인간으로 바꿔보아도 마찬가지이다. 수 없이 다양한 인간 군상에서 우리는 진정한 인간에 대해 자주 이야기하지만 들어보면 진정한 인간은 스티브 잡스가 되기도 하고 도스토옙스키가 되기도 하고 히로시마 인간이 되기도 하다가 싸이가 되기도 한다. 뭐지? ‘진정성’, ‘genuine’이 너무 남용되고 있는 것 아닌가?. 절대적 진리가 여러 개 일수 있다면 그것은 애초에 절대적 진리라고 할 수 없다.

 

 

나는 절대적 진리를 부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절대적 사랑, 진짜 사랑도 부정하지 않는다. 위대한 개츠비에서 인물들은 저마다 사랑이라는 모호하고도 위대한 장막에 몸을 숨기고 속삭이지만 그로 인해 진정한 사랑 자체의 의미가 퇴색되어 버렸다. 결국 누군가는 연기를 하고 있다는 말이다. 더 큰 문제는 자신이 진짜 사랑을 연기하면서 연기하는 것 조차 모르고 있는 것이다. 톰과 데이지는, 사랑이라는 미명 하에 난장판을 만들어 놓고 무책임하게 떠났다. 그럼 남은 당한 사람들은 진정한 사랑을 하고 있었는가? 가장 비극적인 인물로 그려지는 개츠비 역시 피해자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개츠비가 좇고 있었던 것은 데이지가 상징하는 상류층과 그 상류층으로부터 사랑 받는 자신의 모습이었지 데이지라는 인격이라고 볼 수는 없다. 애초에 데이지는 돈으로 가득 찬사람이므로. 개츠비는 데이지를 향한 사랑 의해 파괴된 것이 아니라 명예에 대한 욕심으로 파괴된 것이고 데이지는 하나의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진정함이 주는 위력에 좀 더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것만큼 사람의 눈을 멀어버리게 하는 것도 없을 것이다. 위대한 개츠비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진정한 사랑과 같은 달콤한 말로 맹목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덮어버리고 정당화하는 모습은 위험하다. ‘진정성을 강조하면 할수록 그것은 자신의 공허함을 반증할 뿐이다.

 

 

* 쓰고 나서 약간 내가 무슨 소릴 하고 있는 거지.. 라는 의문이 든 에세이. 원래 쓰려고 했던 말은 여전히 손끝에서 머물고 물리적 내리치는 힘에 의해 화면에 변형되어 나타나는 글자는 도통 이데아의 그림자뿐이 되지 않는 기분이었다. 소설의 내용과 얼마나 연관이 되는 지도 사실 잘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