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우리땅걷기 신정일 /http://cafe.daum.net/sankang

 

공부를 연애하듯

잘 논다. 잘 논다는 것은 스스로가 즐거울 때가 아니면 가능하지 않다. 어떠한 장애도, 어떠한 경계도 없는 상태에서만 잘 놀 수 있다. 잘 논다는 것은 그렇게 즐거울 수가 없고 몸과 마음이 혼연일체가 되어 모든 것으로 벗어날 수 있다. 그것이 잘 노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잘 노는 것이 가능할까? 그게 문제다. 그렇게 잘 놀 수 있다면 그것이 가능하다면, 다른 모든 것을 노는 것처럼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세상은 그렇게 되어 있지 않다. 잘 노는 것처럼은커녕 지겨움으로, 의무감으로, 하기 때문에 아무리 시계를 보아도 잘 가지 않는 시간, 죽음보다 더 싫을 만큼 만나기 싫은 사람, 하기 싫은 공부, 보기 싫은 시험, 쓰기 싫은 글 등 그러한 모든 것들을 의무감 또는 책임감과 먹고 살기 위하여, 할 수 밖에 없는, 그런 것들이 도처에 가득하다.

“시험을 보기 위한 공부라면 그건 틀림없이 지겨움과 힘겨움에 수반되는 고통을 이기는 싸움이 되게 마련이지요. 생계를 위해서 쓰는 글이나, 요구되는 ‘업적’을 채우기 위해 쓰는 글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모두다 ‘노동’의 일종이지요.
그러나 자신이 좋아서 하는 공부, 신나고 즐거워하는 연구는 심지어 하루의 대부분을 책과 씨름하는 경우에조차 이런 중력과 저항, 고통과 인내의 성분이 없습니다. 스스로 던져 놓은 문제를 들고 돌진하는 연구나 집필 또한 마찬가지지요. 자기가 좋아하는 것, 자기가 몰두해서 강의 하는 것은 지겨움과 고통을 전혀 수반하지 않습니다. 신나고 즐거운 ‘놀이’나 ‘게임’이 되지요. 중력을 받는 ‘지적 노동’이라면 당연히 전공, 실적, 이런 것과 관계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지만, 자유행동은 ‘전공’과는 상관없고, ’실적‘과도 무관하게 자기의 문제의식이 뻗치는 곳 어디로든 나아갈 수 있지요. 이런 점에서 중력을 받는 노동으로서의 공부와 자유행동으로서의 공부는 크게 다르지요. 한번 잘 생각해보십시오. 여러분은 공부를 노동으로 하고 있는지, 자유행동으로 하고 있는지. 이런 의미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게 노동”이 아니라, 반대로 도구가 노동을 통해 정의된다고 해야 합니다.“

이진경의 <노마디즘> 유목의 철학 중에 실린 글 중에 공부에 관한 것이다.

공부도 청소년기에 처음 시작하는 연애처럼 할 수 없을까? 만났다가 금방 헤어졌는데 또 보고 싶은 그런 열망, 한 줄 한 줄의 글이 전율처럼 다가오는 그런 책들을 읽는 기분, 그렇게 잘 놀았다고 생각하면서도 가슴 깊이 성취감이 쌓이는 그런 일들로 세상을 온통 채울 수는 없을까?

정해년 구월 초사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http://www.magazinet.co.kr/Articles/article_view.php?mm=002003000&article_id=46601

[이윤정 감독] 유치해도 진심이면 가는 거다 -인터뷰 기사 중에서



t: <태릉선수촌>을 마친 이후에도 이윤정이란 감독이 이제 어디로 어떻게 나아갈까가 참 궁금했었다. 지금은 아마 보다 많은 이들이 이 감독의 다음 행보를 궁금해 할 것 같다. MBC의 <커피프린스 1호점>의 영화화에 대한 이야기도 슬며시 나오고도 있고.


이윤정
: 회사는 진지하게 이 드라마의 영화화를 고려하기 시작한 것 같다. 하지만 나는 못한다고 했다. 뭐랄까. 더 이상 할 이야기가 없는 느낌이랄까. 이미 다 말 했는데 뭘 또 해, 그저 반복하는 거라면 재미가 없을 것 같았다. 다음 작품은 아직 구체적으로 생각한 건 없다. 그저 알콩달콩한 이야기는 한 것 같아서 다른 걸 해보고 싶은 생각은 있다. 그렇다고 범죄물이나 스릴러물 같은 장르물에는 크게 관심이 없는 편이고 그저 ‘재미있는 작업을 하고 싶다’는 것이 가장 구체적인 답이 될 꺼다. 어른스러운 사랑이야기라면 <섹스&시티>같은 밀도 있는 드라마도 좋고, <케빈은 열두 살>이나 <빨강머리 앤>같은 느낌의 이야기도 만들고 싶다. 지금 고민은 그저 어디서 새로운 힘을 짜낼 수 있을까 하는 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상처와 꿈 - 나누면 좋은 것 두 가지

나와 화해하기 / 내 삶과 화해하기

 

 관심 테마 :

변모 플롯  <이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사랑 플롯 <모짜르트와 고래>

발견 플롯 

 

길을 바꾼 사람들 / 인생 리폼/ 인생 튜닝 / 장애 혹은 절망을 힘으로~

문단열,

아디다스 광고 이신바예바 편 '언젠가 니가 웃게 될 자리가 니가 시작한 거긴 아닐지도 몰라'

아디다스 광고 리오넬 메시 편 '때로는 나쁜 일이 아주 좋은 결과를 낳기도 한다는 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으아악~~~~~~~~~~~~~~~~

새 카테고리를 추가하려고 서재관리에 들어갔다가, 엄한 새 그룹 만들고, 그거 지운다는 게 엉엉

제일 위에 있던, 제일 많이 썼던 '독서일기' 카테고리를 삭제해버렸다. 게다가 '책깊이읽기'까지~

아~~~~~~~ 의욕이 마구 떨어질라 그런다..........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터치네이처’가 일군 작은 변화


싱글맘에 고용 우선권, 전통 종이를 포장지로






‘터치네이처’에 들어서자마자 아이들이 옹알대고 웃는 소리가 들려왔다. 입구 바로 옆, 녹색 벽지의 작은 방에서 대여섯 살 먹은 꼬마부터 한두 살배기까지 12명의 아이들이 아기새들처럼 옹기종기 모여 있었다. 터치네이처는 농장에서 직접 키운 유기농 허브를 이용해 손으로 만든 비누, 아로마 오일 등을 판매하는 공정무역 업체다. FTG Nepal 회원단체는 아니지만 프랑스, 스위스 등 유럽의 공정무역 업체와 주로 거래한다.
터치네이처의 특이점은 ‘싱글맘 우선권’이다. 조세핀 탄 터치네이처 사장(사진)은 “직원을 뽑을 때 싱글맘이면 우선권을 준다”라고 말했다. 현재 직원 100명 중 60명이 남편이나 가족 없이 혼자 아이를 키우는 싱글맘이다. 탁아시설은 물론이고 싱글맘의 경우 아이들 학비도 100% 지원한다.
탄 사장은 사실 싱가포르 사람이다. 싱가포르에서 사업을 하던 그는 1996년 봉사활동차 네팔에 왔다. 싱글맘들이 바느질을 배우는 학교에 자금을 지원하러 왔다가, 이들이 만든 수공예품을 친구들에게 팔기 시작했다. “돕는 마음으로 시작했지만, 하다 보니 무역을 통해 네팔 여성들의 삶을 새롭게 만들어보고 싶었다.” 이듬해인 1997년 아예 네팔로 건너와 수공예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레인보우 크래프트’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수공예품 회사는 이미 많은데다 중국, 베트남산 제품에 밀려 판매가 원활하지 않았다. 그래서 생각한 것이 유기농 비누다. 부엌이 있고, 여성들이 조금만 교육을 받으면 만들 수 있는 물품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구상한 터치네이처는 2001년 35명의 직원에서 출발해 지금은 100명이 일하는 기업으로 커졌다. 성장세도 꾸준한 편이다.
직원이 늘어난 게 꼭 매출 덕만은 아니다. 탄 사장은 가능하면 많은 일자리를 만들려고 한다. 외부에 맡긴 포장 업무도 지난해부터 직접 하고 있다. 2층 포장실에서 여성 9명이 비누 닦기, 랩 싸기, 테이프·스티커 붙이기 등의 작업을 나눠서 한다. “9~10명 수준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우스울 수도 있지만, 이렇게 일을 해서 매달 2천~3천루피를 벌면 삶이 한결 나아진다.” 내친김에 선물용 포장 용기도 직접 만든다.
네팔은 예로부터 종이 산업이 유명하다. 마을마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종이를 만들고 있지만 이 종이를 이용하거나 팔 곳이 마땅치 않았다. “네팔에서 유명한 락타 종이를 이용해 포장 상자를 직접 만드는 거죠.” ‘공정무역을 고민하는 사람들’이 일궈낸 변화의 한 모습이다.


기사 출처: 한겨레 21 2007년8월23일

http://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7/08/021003000200708230674023.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