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방의 미친 여자>가 19세기 소설을 가지고 이야기했다면
이 책에서는 20세기 이후 나온 페미니즘 이론들과 소설을 함께 이야기한다.
읽으면서 챕터별로 밑줄을 정리해두고자.
이 책이 소개하는 비평 모델에 따라 20세기 여성소설을 해석하는 것을 참고한다면 페미니즘 이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알게 될 것이다. - P16
소설을 사용해서 (페미니즘) 이론의 문제점을 발견해보고, 이론가들이 간과했던 이슈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 P17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약점은 문화적으로 수용가능한 관념에만 한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 P23
이 책은 페미니즘 이론에 경험이 없는 독자들에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다양한 버전의 이론을 소개해줄 것이다. - P28
문학과 이론을 각 장에서 서로 비교 논의한 후에는, 더 이상 특정 소설과 특정 이론을 연결하지 않기 바란다. - P28
나는 영문학 강의자가 이 책을 주요 텍스트로 하면서 20세기 여성소설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고, 동시에 여기 논의된 페미니즘 이론과 더불어 최신의 이론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P29
도리스 레싱은 말하길, "문학은 살아있고, 힘이 있으며, 결실을 맺게 하고, 사유와 토론을 자극한다. 단, 문학의 계획, 모양, 의도를 이해하지 못할 때만 그렇다. 왜냐하면, 모양과 계획과 의도를 알게 되는 순간 더 이상 아무것도 끄집어낼 것이 없기 때문이다." - P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