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퇴근길과 오늘 출근길, 이 책을 들었다. 듣고 있긴 한데, 다시 찬찬히 읽어야 될 것 같다. 아는 책도 나오고 모르는 책도 나오고 하는데 중간에 어떤 구절을 만나면 거기서 다른 생각으로 막 연결이 되어서 귀에 들리는 소리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오늘 아침 만난 구절은 두 개인데, 거기서 하나의 책이 떠올랐다. 


누구든 빌린 책에서 밑줄이 그어진 문장을 만난다면, 거기에 밑줄을 그은 사람과 그 감정에 대해 잠시 생각해줬으면 좋겠다. 그렇다면 우리는 서로를 조금 더 잘 알 수 있게 될지도 모르니까.


이건 <독서 공감, 사람을 읽다>에서 만난 구절이고, 


"책을 읽고 마음에 든 작가가 생겼는데, 그 작가가 쓴 책이 그 한 권만 있는게 아니라, 알고 보니 적어도 열 권은 넘게 있는 거예요. 이보다 더 즐거운 일이 있을까요?"


이건 <일반적이지 않은 독자> 에 나온 구절을 <독서 공감, 사람을 읽다>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 두 구절에서 내가 떠올린 책은 <밑줄 긋는 남자> 이다.










이 책은 사실 남편의 (안 읽는) 책을 정리하려다가 읽게 되어 좋아하게 된 책인데, 책을 좋아하는 20대 (맞겠지?) 여성의 연애 이야기이기도 하고 책 이야기이기도 하고 약간 미스터리물 같기도 하다. 이 책의 주인공은 콩스탕스, 로맹 가리의 책만 읽는 여성인데 다행히도 로맹 가리는 책을 많이 남겼지만 이미 죽어버렸기 때문에 '그 책을 다 읽고 나면 어떡하지' 하며 걱정을 한다. (이런 걱정을 덜 해도 되는 작가는 무라카미 하루키 정도일까? 그의 많은 책도 언젠가는 다 읽겠지만) 그러면서 다른 책도 접해보기로 하고 도서관에 가서 회원증을 만들고 책을 빌린다. 



도서관에서 어떤 책을 빌려 읽은 콩스탕스는 그 안에서 밑줄을 발견하고, 책을 읽다가 더 많은 밑줄과 메모를 발견하며 그 밑줄들이 서로 이어져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밑줄을 그은 사람은 다른 책을 읽어보라고 추천하기까지 한다. 콩스탕스는 밑줄의 주인공에게 이끌리며 밑줄을 따라가 '밑줄 그은 남자' 가 누구인지 찾아보기로 하는데.. 



처음 도서관에서 밑줄을 발견하는 장면을 읽으며 

아니 이런 파렴치한 짓을!! 이라고 생각했었지만 

그 뒤의 이야기들을 읽다보면 어느새 파렴치한 문제는 살짝 저쪽으로 밀어두게 된다. 


아, 사실 나는 로맹 가리 / 에밀 아자르의 책을 한 권도 안 읽은 사람이다 (자랑은 아니다). 

<밑줄 긋는 남자>를 읽고 <그로칼랭>을 사 두었지만 안 읽.. 이것도 읽어봐야지.










아무래도 안읽은책 카테고리를 만드는 일이 시급한 것 같다.. 


+ 아, <젊은 베르터의 슬픔> 에 관한 챕터를 읽고 또 그 책을 같이 읽었던 남자가 기억났으나.. 

나는 그때 독일 문학 수업을 듣고 있었고 -ㅁ- 자꾸 지난 남자 생각해서 뭐하겠냐 싶다. 

그 남자도 아무 생각 없었을거라 믿으며 ㅋㅋ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1-12-09 09:4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독서공감에 아마도 밑줄 긋는 남자도 나올걸요? ㅎㅎ

건수하 2021-12-09 09:47   좋아요 0 | URL
와, 진짜요! 저 데이비드 실즈 책 보고도 엄청 반가워했었구요 ㅎㅎㅎ <밑줄 긋는 남자>도 엄청 기대됩니다 ㅎㅎㅎ

공쟝쟝 2021-12-09 09: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참 좋죠. 저도 독서 목록 따라가려 아껴 읽는 책인데요, 최애 에세이 칸에 꽂혀있답니다.

건수하 2021-12-09 13:42   좋아요 1 | URL
공쟝쟝님 아껴 읽고 계시군요!
저는 한 번 쭉 듣고 다시 읽어보려고요 :)

독서괭 2021-12-09 15: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밑줄 긋는 남자> 예전에 재밌게 봤던 기억이 나요! 도서관 책에 밑줄 그으면 안 되지만 ㅋㅋ 그래도 낭만적이죠? 전 예전 도서관의 종이대출증 시스템 -영화 <러브레터>(오겡끼데스까~)의 마지막 장면과 함께- 을 좋아했는데, 가끔 그리워요.
에밀 아자르 <자기 앞의 생> 강추요~^^

건수하 2021-12-13 08:49   좋아요 0 | URL
종이대출증 시스템.. 아주 어릴 때 보고 못 봐서, 아련하네요.
독서카드 서랍들에 가득한 카드들 보고 막연했었는데 말이죠.

<자기 앞의 생> 기억해둘게요 독서괭님 ^^

새파랑 2021-12-09 15: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밑줄그은 책 보는거 너무 좋더라구요 ㅋ 그런데 책도 있군요 ^^ 로맹가리의 <새들은 페루에서 죽다>도 추천이요 ~!!

건수하 2021-12-13 08:50   좋아요 1 | URL
전 사실 도서관 책에 밑줄 그어져있으면 좀 화가 나는데요 ^^
저런 밑줄이라면...@_@

<새들은 페루에서 죽다> 도 기억해둘게요 ^^

단발머리 2021-12-09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여기서 이런 말씀 어쩔런지 모르겠지만 제가 이작가님의 마니아 2위라는 점.....
꼬옥 밝히고 싶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좋은 책이랑 좋은 시간 보내시길요^^

건수하 2021-12-13 08:51   좋아요 0 | URL
단발머리님 마니아 2위...!!
(마니아 순위는 어떻게 결정되는 건지 여쭤보고 싶지만....)

단발머리님이 추천하시는 좋은 책과 좋은 시간 보낼게요 :)

단발머리 2021-12-14 09:57   좋아요 0 | URL
예전에 알라딘 이웃 쇼님이 알라딘 마니아 랭킹 매커니즘에 대해 알려줬거든요. 긴 페이퍼였는데, 완전 과학적이라 깜놀하실 거에요.

주소 나갑니다.
https://blog.aladin.co.kr/syo8kirins/10328346

이 글을 읽고 저의 결론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 다 읽고 리뷰를 작성하면서 ‘읽었어요‘를 표시하자. 2) 리뷰에 별을 주자. 3) 페이퍼에 자주 좋아하는 책을 넣자(알라딘 상품) 입니다.
제가 이작가님 마니아 2위를 고수하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일인지 알게 되시기를 바라오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오늘도 좋은 날 되세요!!

건수하 2021-12-14 10:17   좋아요 0 | URL
오.. 단발머리님 감사합니다. Syo님의 글 넘 재밌게 읽었어요.
이런 시스템이군요!
사실 저는 마니아 순위에는 욕심이 없었으나 ㅎㅎㅎ
언젠가 도전해볼지도 (...)

저 글이 2018년 글인데 두 분이 지금도 1,2위를 지키고 계신가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