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어떤 영화 보셨어요?

Pifan의 부활? 오는 7월 12일 개막을 앞두고 지난 6월 27일부터 온라인예매를 시작한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 매진 행렬이 계속되고 있다. 예매 1주일만인 7월 4일 현재 벌써 16개 작품이 완전 매진을 기록하고 있다.

물론 부천시장이 바뀐 2005년 이후 조직위와 영화인들 사이의 갈등으로 파행을 겪으며 관객수가 절반 이상 줄었다가 최근 '화해 무드'를 타면서 나타난 '복귀 신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 섣부르게 판단하기엔 이르다. 피판의 전성기인 2003, 2004년과 비교했을 때 상영관 수는 늘었지만 대부분 100~200석 규모의 소형 상영관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종의 '착시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

과거에는 주로 부천시청, 복사골문화센터, 시민회관 등 600~1000석 규모의 중대형 극장에서 주로 영화 상영이 이뤄진 반면, 지금은 그나마 시민회관 상영이 대폭 줄고 CGV 프리머스 MMC 등 멀티플렉스의 중소형 상영관에서 주로 영화가 상영된다. 이들 상영관의 좌석수는 많아야 200석 남짓. 여기에 프레스석, 심사위원석 등 고정석을 빼고나면 실제 유료관객들이 예매할 수 있는 좌석수는 많아야 70-80% 남짓이다.

여기에 영화제를 앞두고 '씨네21', '한겨레' 등 일부 언론 보도에서 잠깐 언급한 추천영화들에 '쏠림현상'이 두드러지면서 개막전부터 '매진행렬'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예매 개시 당일 매진된 '유령 대 우주인'과 '불고기'를 비롯해, '프린세스', '리빙 앤 데드', '달려!', '별빛속으로' 등 대부분이 언론 기사에서 언급된 '추천영화'다. 게다가 매진 영화 대부분이 '휴일날(14, 15, 17일) 200석 미만 중소형 상영관'에 집중돼 있다.

14일(토) '유령 대 우주인'이 상영되는 CGV 8관은 184석에 불과하다. 같은 날 '불고기'가 상영되는 MMC 2관은 고작 138석. 특히 이날 CGV8관과 MMC 2관 상영작은 11시 조조를 제외하고 5편이 모두 매진을 기록했다.




오히려 이들보다 눈여겨 볼 부분은 600석이 넘는 복사골, 시청 등 중대형 극장 상영작 잔여표 상황. 개막식을 제외하고 이들 극장 상영작 중 현재 유일하게 매진된 곳은 14일밤 복사골문화센터 심야상영작 '마스터스 오브 호러2'이지만 13일 밤 심야상영작 역시 65석만 남아 매진을 얼마남지 않았다. 역시 14일 복사골문화센터에서 상영하는 '나는 사랑했어'와 '가장 무서운 이야기' 역시 남은 좌석이 30~40석에 불과하다.

오히려 부천영화제나 관객 입장에서는 일부 소형 극장의 매진 사례보다는 중대형 극장 심야영화 등 좌석예매율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부천영화제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별빛처럼

*온라인 예매 매진작 명단*(7월4일 오전 10시 현재)
==============================================
일자 상영코드 상영작명
----------------------------------------------
7월 12일 001 <개막식+개막작>별빛 속으로
13일 133 그림 러브 스토리
14일 213 판타스틱 단편 걸작선5
214 유령 대 우주인
220 프린세스
224 리빙 앤 데드
229 불고기
232 러브 마이 라이프
233 부천 초이스 단편2
239 바쿠시, SM 로프 마스터
15일 326 누구도 완전하지 않다.
328 폴트리가이스트
329 블랙 쉽
16일 422 바이브레이터
17일 514 달려!
530 가장 무서운 이야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리실라(1994, The Adventures of Priscilla, Queen of the Desert)

호주에서 '아바'의 인기는 유난하다. 팝 가수로서의 인기에 머무르지 않고 아바의 노래는 호주 영화의 '메인테마'로 심심찮게 등장한다.

94년경에 만들어진 호주 영화 '뮤리엘의 웨딩'과 '프리실라'가 대표작. 하지만 이들 영화에서 아바의 노래는 단순한 장식품 같은 배경음악에 머무르지 않고 주인공이 갈등을 해소하고 활기를 되찾는 기폭제로 멋지게 활용되고 있다.

시드니의 클럽에서 화려한 여장을 한 채 팝 음악 립싱크 공연을 하는 드랙퀸들의 사막 여행을 그린 '프리실라'에서 영화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노래가 바로 아바의 'Mamma mia'다. 영화 전반부에서부터 등장인물간 갈등을 상징했던 '아바'는 마지막 드랙퀸 공연을 통해 화려하게 부활한다.

'뮤리엘의 웨딩' 역시 마찬가지. 결혼을 꿈꾸는 주인공인 뮤리엘이 열등의식을 깨는 과정에서 어김없이 'Dancing Queen', 'Wateloo' 등 아바의 복장을 갖추고 춤을 추며 립싱크 공연하는 광경이 펼쳐져 눈과 귀를 즐겁게 한다.

내게 있어 '프리실라'는 영화보다 앨범을 먼저 접한 케이스다. 그만큼 프리실라의 O.S.T 앨범은 그 자체로 유명하다. 굳이 아바의 노래가 아니어도 샬린의 'I'Ve Never Been To Me', 글로리아 게이너의 'I Will Survive', 바네샤 윌리엄스의 'Save The Best For Last' 등 가슴을 흔드는 명곡들이다.

영화는 며칠 전에야 비디오를 통해 볼 수 있었다. 음악 못지 않게 영화 역시 매력적이었다. 대부분의 노래가 멋진 의상을 입은 주인공들의 립싱크를 통해 흘러나오기 때문에 거의 뮤지컬 영화를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올해 호주에서 10주년 기념판 DVD가 출시됐다고 하니 국내 출시에도 기대를 걸어본다.



프리실라 O.S.T

 I'Ve Never Been To Me
 Go West
 Billy Don'T Be A Hero
 My Baby Loves Lovin'
 I Love The Nightlife
 Can'T Help Lovin'That Man
 I Will Survive
 A Fine Romance
 Shake Your Groove Thing
 I Don'T Care If The Sun Don'T Shine
 Finally
 Take A Letter Maria
 Mamma Mia
 Save The Best For Last
 

뮤리엘의 웨딩 O.S.T

 01 Bridal Dancing Queen (Edited Orchestral Score) - The Wedding Band (featuring Blazey Best)
 02 Sugar Baby Love - The Rubettes
 03 We've Only Just Begun - Carpenters
 04 Lonely Hearts - The Wedding Band
 05 The Tide Is High - Blondie
 06 I Go To Rio - Peter Allen - Abba
 07 Bean Bag - The Wedding Band (featuring John Barrett)
 08 T-Shirt & Jeans - Razorbrain
 09 I Just Don't Know What To Do With Myself - Dusty Springfield
 10 Bridal Dancing Queen (Full Orchestra Score) - The Wedding Band (featuring Blazey Best)
 11 I Do, I Do, I Do, I Do, I Do - Abba
 12 Happy Together - Turtles
 13 Muriel's Wedding - The Wedding Band
 14 Brandy (You're A Fine Girl)
 15 Dancing Queen - Abba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nr830 2004-05-19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갈께요^^

별빛처럼 2004-05-19 12: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얼마 전 <중앙역> <빌리엘리어트> <아이즈와이드샷> 등 중고비디오를 싸게 장만할 수 있었던 동네비디오가게에서 요즘 마지막 떨이 세일에 들어갔습니다. 지난해 나온 비교적 최신작도 1000원이면 살 수 있게 됐죠.

그냥 지나칠 수 있나요. 전에 눈여겨봤지만 만만찮은 가격 때문에 등을 돌렸던 작품을 장만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슨데요.

우선 지난 주말에 <나의 그리스식 웨딩> <슈팅 라이크 베컴> <투게더> <갱스 오브 뉴욕>(상·하) <꿈속의 여인> 등 5편 6개의 비디오를 단 7000원에 장만했습니다. 그리고 어제는 <베터댄섹스> <여섯개의 시선> <세크리터리> <봄날의 곰을 좋아하세요> 등 4편을 4000원에 구입했습니다.

정말 주인 아저씨에게 미안할 정도였죠.

덕분에 당분간 비디오 보느라, 밀린 DVD 보느라 주말이 바빠질 듯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테크노마트에 가서 DVD를 잔뜩(?) 사왔습니다. 이번에도 할인판매의 유혹에 꼼짝없이  걸려들고 말았군요. 평소 소장하고 마음먹은 작품이지만 편당 2만원 안팎의 만만찮은 가격에 쉽게 엄두를 내지 못하다가 이렇게 반값에 가까운 1만원대로 떨어지면 그 유혹을 이기기 쉽지 않습니다.

최근 1주일 사이에 산 DVD는 모두 8편입니다. 공교롭게 1편을 빼곤 모두 출시사가 파라마운트사군요. 유일하게 뮤지컬 영화 '페임'만 워너 것이구요. 어떤 영화들인지 궁금하시다고요?

우선 지난주에 장만한 건 '토요일밤의 열기' '그리스' '플래시댄스' '페임' 4편입니다. 짐작하시겠지만 뮤지컬과 무관하지 않은 영화들이죠. 하지만 여기서 제대로 '뮤지컬영화'로 분류되는 건 '그리스' '페임'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음악과 춤이 큰 비중을 차지할 뿐이죠.

사실 페임을 제외하곤 파라마운트 '뮤지밸런타인 콜렉션'으로 패키지로 묶여 나왔습니다. 덕분에 2만5천원에 장만할 수 있었죠. 페임은 할인행사 덕분에 1만500원에 샀고요. 할인행사가 아니면 어림없는 가격이죠.

사실 요즘 DVD 값이 터무니없이 떨어져 번듯한 DVD가 1천원짜리 영화주간지 부록으로 등장하기까진 했지만, 아직까진 이런 식으로 자기가 원하는 영화를 장만하는 행운(?)을 누리긴 쉽지 않죠.

오늘 산 작품은 '라이언일병구하기' '슬리피할로우' '티파니에서 아침을' '로마의 휴일' 4편입니다. 역시 DVD 3장 사면 한 장 껴주는 파라마운트 행사 덕에 3만8천원이 들었습니다.  

덕분에 당분간 허리를 졸라매야 할듯하지만 평소 갖고 싶던 작품을 소장하고 나니 마음은 뿌듯하네요. 이러다 중독되는 건 아닌가 모르겠습니다. 이왕 장만한 거니 꼬박꼬박 감상기도 올려야 겠습니다. 그럼 많이 기대해 주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뒤늦게 DVD를 통해 <페임>을 접했습니다. 뉴욕 46번가 공연예술학교 '라 구아디아' 10대들의 애환을 그린 1980년 알란 파카 감독의 뮤지컬 영화죠. 사실 우리에겐 극장판 영화보단 동명의 TV시리즈가 더 익숙하죠. 알란 파카 감독의 최근작인 뮤지컬영화 <에비타>가 대사 없이 오직 노래로만 이루어진 것과 달리 <페임>은 극의 비중이 높습니다. 그만큼 노래는 몇 곡 되지 않지만 극의 흐름과 자연스럽게 연결돼 더 깊은 감동으로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뮤지컬 영화답지 않게 극에 치중하던 초반부의 침묵을 깨는 건 구내식당의 소란이었습니다. 그 소란 속에 브루노의 피아노 반주에 맞춰 아이린 카라(코코 역)가 부르는 노래가 'Hot Lunch Jam'이죠.

역시 이 영화에서 가장 익숙한 노래는 아이린 카라가 부른 'fame'입니다. 영화 중반부 택시운전기사인 작곡가 브루노의 아버지가 학교 앞에 차를 세우고 이 음악을 크게 틀자 학생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이 노래와 맞춰 멋진 춤을 추는 장면이죠.

 

 

Fame-Irene Cara 

Baby look at me
And tell me what you see.
You ain't seen the best of me yet
Give me time, I'll make you forget the rest.
I got a story, and you can set it free
I can catch the moon in my hand
Don't you know who I am?

Chorus:
Remember my name (Fame)
I'm gonna live forever
I'm gonna learn how to fly (High)
I feel it coming together
People will see me and die (Fame)
I'm gonna make it to heaven
Light up the sky like a flame (Fame)
I'm gonna live forever
Baby, remember my name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Remember

Baby hold me tight
And you can make it right.
You can shoot me straight to the top
Give me love and take all I got.
Baby I'm in love
Too much is not enough
I surround your heart to embrace
You know I got what it takes.



텅빈 무대에서 코코는 피아노 반주와 함께 브루노가 작곡한 'Out Here On My Own'를 애절하게 부릅니다. 무대에 들어왔다 둘의 모습을 본 브루노의 아버지는 무대에 앉아 이들을 지켜보다 곡이 끝나자 둘에게 박수를 보내죠.

Out Here On My Own - Irene Cara 

Sometimes I wonder where I've been
Who I am
Do I fit in.
Make believin' is hard alone,
Out here on my own

We're always provin' who we are
Always reachin' for the risin' star
To guide me far
And shine me home
Out here on my own

When I'm down and feelin' blue
I close my eyes so I can be with you
Oh, baby, be strong for me
Baby, belong to me
Help me through
Help me need you

Until the morning sun appears
Making light of all my fears
I dry the tears I've never shown
Out here on my own

When I'm down and feelin' blue
I close my eyes so I can be with you
Oh, baby, be strong for me
Baby, belong to me
Help me through
Help me need you

Sometimes I wonder where I've been
Who I am
Do I fit in
I may not win
But I can't be thrown
Out here on my own
On my own
 
4학년 졸업반이 된 학생들은 마지막 졸업공연을 갖습니다. 클래식 고향악단과 브루노는 멋진 전자음악 반주에 맞춰 코코, 몽고메리, 그리고 연극반 학생들의 합창하는 'I Sing The Body Electric', 여기에 리로이 등 무용과 학생들의 화려한 춤이 펼쳐지며 영화는 막을 내립니다.

[O.S.T 트랙 넘버]

01 Fame / Irene Cara  
02 Out Here On My Own / Irene Cara  
03 Hot Lunch Jam / Irene Cara  
04 Dogs In The Yard / Paul McCrane  
05 Red Light / Linda Clifford  
06 Is It Okay If I Call You Mine / Linda Clifford  
07 Never Alone  
08 Ralph & Monty (Dressing Room Piano) (Instrumental)   
09 I Sing The Body Electric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