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이 노래가 나오는 영화를 2편 알고 있어요. 파니 핑크와 타인의 취향들이죠.
이 2편의 영화에서 이 노래는 참 멋졌어요. 이 노래는 Edith Piaf가 부른 거죠. 이 노래는 참 독특해요. 들을 때마다 떨리죠. 가슴이 벅차 올라와 얌전히 있을 수가 없어요.
파니 핑크는 얼마 전 비디오 테이프를 샀지요. 처음 본 게 7-8년쯤 전인 것 같은데, 문득 그 영화가 다시 보고 싶어진 거예요. 그래서, 샀답니다. 이 영화는 많이 독특하고, 이해하기 힘든 구석도 많아요.
그러나 이 영화는 바디페인팅을 하고 나오는 오르페오와 중절모(?)를 쓰고 길고 검은 코트를 입고 나오는 파니 핑크만으로도 참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만한 영화랍니다.
그리고 어제와 오늘, 이 노래가 나오는 드라마를 한 편 봐버렸어요.
솔직히, 시작 전부터 기대가 무지하게 많이 되던 드라마죠.
떨리는 가슴 - 사랑편이에요.
첼로로 연주하는 것도 참 멋지더군요. 가슴이 떨리고, 안타깝고, 감동 받아서 눈물도 흘렀어요.
이렇게 어이없는 일도 생길까 싶더군요.
두나는 29세인데 이혼녀랍니다. 다시 강성재라는 사람과 사랑에 빠졌는데, 성재의 아버지가 글쎄 바로 전남편의 고등학교 담임선생님이자 주례선생님이었다니... 정말 황당하지 않나요?
두나가 술 마시고 와서 우는데 그 장면에서 그냥 울어 버렸지 뭐예요.
썩 마음에 드는 결말이었다고 생각해요.
사랑에 서툴고, 배짱 없는 20대 청년 성재는 할 말을 제 때 하지 못해 두나를 놓쳐 버리고, 의욕만 앞서는 30대 이혼남 남수는 너무 앞서가 두나를 놓쳐 버리고... 그래도 두나는 행복할 거라 생각해요. 왜냐하면 사랑이란 혼자만 좋아선 안 된다는 걸 알았던 것 같거든요.
그런 아픔을 이겨낸 두나가 마지막에 남수를 만나서 이젠 후회하지 않는다고, 전남편도 이해한다고, 용서했다고 말하더군요. 귀여운 얼굴에 밝은 웃음을 띠고 그렇게 말했어요.
이건 제 나름의 해석이에요. 책을 읽고 받는 감동이 저마다 다르듯, 드라마나 영화도 그럴 거예요. 그쵸?
이제, 시청자 게시판에 글을 올리는 행위는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어요. 대신, 1주일에 한편씩 작은 소감을 쓰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