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숨은아이 > 둘이 함께 하고 싶습니다_박치기!
우연찮게 만난 재일 한국인 여성 사학자께서 보라고 추천한 영화입니다.
때는 1968년. 바로 지금의 모습이 아니라서, 좀 감상적인 시선도 용납되는 듯합니다.
살짝 신파거든요.
영화 속에 표현된 재일 한국인(혹은 조선인) 고등학생들은 어둡지 않습니다.
역사의 흐름에 수동적인 피해자(희생자)만도 아닌,
어떻게든 열심히 살아낸 한 사람 한 사람으로서 사랑스럽습니다.
그러나 영화 [GO]에서도 그랬지만,
폭력은 ‘한국(조선) 남자’라는 정체성의 일부인 듯합니다.
[박치기]에서 보면, 말썽은 항상 일본인 남성 쪽이 먼저 일으킵니다.
그럼 조선인 남학생들이 우르르 몰려가서 박살을 내버립니다.
그래서인지 여주인공이랄 수 있는 경자(조선인 여학생),
누구보다 씩씩한 강자(동생들을 돌보고자 조기 졸업하고 간호사로 일한다),
홀로 경자와 안성 남매를 키우는 어머니가 있음에도,
이들 조선인 사회는 매우 남성적으로 느껴집니다.
이 영화의 주인공들은 영화 [GO](소설은 아직 못 읽었기 땜시)의 주인공 같은
정체성의 혼란은 덜합니다. 이들은 일본과 부딪혀서 살아남아야 할 조선인이라는 의식이
강합니다. 경자는 코우스케에게 “나랑 사귀면 조선인이 될 수 있어?” 하고 묻습니다.
아직 북송선이 오가고, 차별은 좀더 심했던 때였기 때문이겠지요.
조선고등학교 남학생들과 히가시고 남학생들은 강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서로 을러대지만(싸움은 무승부),
일본인인 모모코는 안성(경자의 오빠)의 아이를 낳고
안성은 모모코와 자기 아들을 위해 자신의 계획(북조선에 가서 축구선수가 되는 것)을 포기합니다.
(이때는 1968년. 그리고 1966년에 북조선이 월드컵 8강에 들어 파란을 일으켰죠.)
그리고 이 영화의 남주인공인 일본인 남학생 코우스케는
자신의 이름이 ‘강개’라는 조선식 발음으로 불리는 것을 기꺼이 받아들이며
경자의 짝이 되기를 소망하지요.
어디든지 배타적인 사회에서는 이주민 혹은 이주민의 혈통을 이은 사람에게
“너희 나라로 돌아가!”라고 하곤 하지요.
한국에서도 혼혈인에게 “미국으로 돌아가!”라고 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일본에서도 재일 조선인(한국인)들에게 “조선으로 돌아가!”라 하기도 했습니다.
한국을, 일본을 이미 삶의 터전으로 삼은 사람들에게
마치 있어선 안 될 곳에 있는 듯이 등을 떠밉니다.
이 영화는, 등을 떠미는 손을 잡으며 그러지 말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웃음과 눈물을 번갈아 터뜨리는 청춘 영화답게 꽃미녀 꽃미남이 가득합니다.
무엇보다 코우스케가 서투른 한국어 발음으로 [임진강]을 부르는 모습은
이쁘기 그지없습니다.
간절히 소통을 바라는 마음 때문일 것입니다.
코우스케가 조선말로 열심히 "둘이 함께 하고 싶습니다." 하고 말하듯이.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부산에서 밀항한 것으로 나오는 남한 청년의 한국어 발음이
재일 한국인 수준으로 서툴렀다는 것. ^^
제목 : 박치기! (パッチギ!: We Shall Overcome Someday, 2004)
원안 : 마츠야마 타케시「소년M의 임진강」
감독 : 이즈츠 카즈유키
출연 : 시오야 슌, 타카오카 소우스케, 사와지리 에리카
기타 : 2006-02-14 개봉 / 118분 / 드라마 / 15세 관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