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종말시계>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석유 종말시계 - '포브스' 수석기자가 전격 공개하는 21세기 충격 리포트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지음, 박산호 옮김 / 시공사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이 굴러가는데 없어서는 안 될 '석유'. 석유라는 자원을 발견했을 때 우리는 함성을 질렀고, 석유 덕분에 우리의 삶이 획기적으로 바뀌었다. 변혁과 혁신은 우습지만, 석유에서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가가 치솟기라도 하면, 모든 경제활동이 '악' 소리 나게 변하고, 유가가 내려가면 여기저기서 웃음이 터지기도 한다. 보이지 않는 끈에 묶여있는 듯 유가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는 세계를 보면 어쩐지 슬퍼지기까지 한다. 석유에 의해 좌우되는 삶이라니. 

지키지 못하고, 떠난 후에야 잃어버린 후에야 안타까워하는 인간의 본성은 '석유'에서도 나타난다. 당장이라도 유가가 두 배로 뛴다면, 우리는 승용차를 끌고 나오기 보다는 대중교통을 탈 것이다. 석유가 있어야 만들어지는 모든 것들은 가격이 오를 것이다. 예전보다 적게 소비를 해도, 소비하는 돈이 적어지는 것은 아니다. 순환, 순환, 순환이 되고 종국에서는 정말 과거로 회귀해야 할 지도 모른다. 지금 무슨 소리를 하는 거냐고? 말도 안 되는 소리라고? 

 <석유 종말 시계>에서는 석유 1갤런당 4달러에서 20달러가 되었을 때까지 우리 삶의 모습을 예측하고 있다. 가상시나리오라고 하지만, 분명히 설득적인 이야기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우리의 삶이 석유에 묶여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석유가 우리를 옭아매고 있는 것이다. 이젠, 더 이상 없어서는 안 되고, 없는 것을 상상할 수도 없는 그런 자원이 되었다. 하지만, 내성이 생겼기 때문인지 아니면 영원히 어디서나 뿜어져 나올 거라는 착각 때문인지 낭비는 계속되고 있다. 인간은 자원이 영원하길 바라며, 자원은 인간의 욕망과 욕심에 혀를 내두른다.  

   
 

역사상 가장 저렴한 석유가 SUV 출현과 맞물려 미국에서는 더 크고, 더 뚱뚱하고, 더 나은 것을 쫓는 경향이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증가했다. 우리 사회는 아끼고 절약하는 실용주의 사회에서 과시하고, 경쟁하고, 욕망하는 사회로 진화해왔다. 미국 표준 차량의 확대는 1970년대와 80년대 초반의 극심한 석유 공황 사태로 인해 대부분 미국인의 차의 크기가 줄어든 후에 일어났다. 베이비붐 세대의 기억 한편에 주유소에 사람들이 길게 줄을 선 풍경이 남아 있는데도 유가가 매우 불안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경솔하게 잊어버린 것이다. 
- 47p  <1갤런당 6달러>

 
   

글로벌 위기로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휘청거리기 시작했다. 디트로이트는 자동차 생산을 중단하기 시작했다. 이제 더이상 미국인이 원하는 차를 만드는 것은 힘들다. 경제도 경제지만, 석유의 치솟는 값은 그들이 편하게 차를 타도록 내버려두지 않는다. 유가가 쌀 때는 뭐든 할 수 있었다. 그만큼 돈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유가도 유가지만, 경제가 휘청거리며 많은 사람은 돈 벌 기회를 잃었다.  

유가가 8달러만 되도 항공사들은 운행을 중단하거나 값비싼 항공료를 요구해야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항공료를 올린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비행기를 이용하던 사람들이 높은 항공료 때문에 비행기 타기를 포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늘에서 소비하는 석유는 상상을 초월한다. 그 소비를 감당하기에 유가는 착하지 않다. 그 소비를 감당하며, 탑승하기에 소비자들의 주머니 사정 또한 넉넉하지 않다.  

유가가 14달러가 된다면 월마트는 사라질 것이다. 중국에서 값싼 인건비로 만들어 배로 실어 나른 물품들은 석유값을 감당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인건비보다 석유값이 그들의 사업을 좌지우지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유가가 높아진다고 해서 우리 삶에 부정적인 영향만 끼치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소비적이고, 안일한 생각들을 고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고 더 친환경적으로 살 수 있기 때문이다. 필요없는 물품들을 여러개 사는 일도 없을 것이고, 집에 있는 물품들을 아껴쓸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허황된 소비보다는 내실있는 소비로 더욱 경제적인 활동을 하게 될 것이다. 

유가가 16달러만 되도 지역 농장을 더 선호하게 될 것이며, 자급자족 혹은 물품교환도 성립될 것이다. 가까운 곳에서 사먹고, 굳이 멀리서 온 채소와 과일을 비싼 값에 사먹지 않을 것이다. 18달러가 되면 철도가 더 활성화 될 것이고, 미군은 군을 운영하는데 큰 부담을 느끼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20달러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관심을 받기 시작하고, 친환경적인 물품, 소비를 지향하는 사회의 분위기는 모두 유가의 반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가는 우리의 생활 깊숙이 들어왔기에, 유가의 변동으로 우리 삶이 크게 흔들리는 것에 대한 방책이다. 본능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이다. 소비적인 사회, 소비적인 습관으로 불러드린 재앙. 유가의 폭등, 그리고 다시 회귀하는 삶. 시계는 계속 똑딱똑딱 움직이고 있다. 우리의 삶도 조금씩 변하듯이 말이다. 

자 이책을 읽고, 삶의 방식을 조금 바꿔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