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려라, 아비
김애란 지음 / 창비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국일보문학상 최연소 수상자'라는 문구가 대단하다는 듯 강조되어 있었고 의심반, 호기심반 미리보기를 클릭해 짧게 읽은 소설에선 이상야릇한 문체의 냄새를 풍기며 이야기가 전개되고 있었다. 밑져야 본전이다 싶어 구입하고 나서 제일 먼저 읽게 되었는데 단편 하나하나 마다 끌리는 매력이 있었다.
그녀는 일상을 꽤 현실적이면서도 섬세히 담아내고 있었고 가끔은 소설속 에피소드가 내가 겪었던 일처럼 아주 친근했다. 낯선 듯 친근한.

그게 바로 그녀의 소설들이 입고있는 옷이었던 것 같다. 복잡한 스토리도 아니다. 등장인물이 여럿 등장에 등장인물의 성격을 파악하느라 골머리를 썩지 않아도 된다. 그저 주인공의 목소리를 따라가다 보면 또 다른 나를 발견할 수 있었다.


 - 그때 나는, 사랑이란 어쩌면 함께 웃는 것이 아니라 한쪽이 우스워지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달려라, 아비>

- 나는 알고 있었다. 내게 '괜찮냐'고 물어오는 사람들이 정말로 물어오는 것은 자신의 안부라는 것을. <영원한 화자>
 
- 이것은 당신과 아무 상관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와 아무 상관없는 수만가지 일들이 우리의 인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잊곤 한다. <사랑의 인사>

 
유명한 철학자나 학자들이 하는 명언처럼 그녀는 일상적이면서 잠시 눈을 떼고 있었던 이야기들을 한다. 우리는 일상을 살면서도 염두해두지 않는 것들에 대해 그녀는 천연덕스럽게 아무렇지 않게 이야기한다. 그것들은 우리 삶속에 당연히 포진해 있으니 알고 있으라는 듯이.

이것은 소설이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이다. 그 일상을 우리는 끊임없이 상상해야 한다. 그녀의 소설들의 특징 중 또 하나는 상상하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만 보는 것이 아닌 그 상황속에 숨어있을 지도 모르는,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일들을 상상하는 것이다. 어쩌면 김애란 그녀는 끊임없이 상상하며 사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밥을 먹으면서 밥과 반찬이 식탁에 올라오기 까지 만난 사람들을 상상하고 물건을 사면서 그 물건이 만난 것들을 상상하고 스쳐가는 사람들에 대해 상상하고 그 상상력들이 결국 소설로 나타난게 아닐까 하는 생각. 나만의 착각일지도 모르나 착각이 아닐지도 모른다.  

또 하나, 아버지.
단편들 속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아버지가 있다. 그녀가 그리는 아버지는 포근하고 따뜻하고 듬직한 아버지가 아니다. 자식을 버리고 무능력한 아버지. 그녀의 소설들에 들어앉은 아버지는 자식들에게 상처를 준다. 가정에서 가장으로 당당하게 듬직하고 현명한 아버지를 기대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거역한다. 그녀가 알고있는 아버지는 이것뿐이라는 것처럼 처자식을 버리고 자식을 어딘가에 버리고 도망가고 무능력하게 자식집에 며칠 얹혀있다가 떠나는 그런 아버지를 그린다. 그런데 그런 아버지들이 어쩐지 더 불쌍하고 안되고 짠하게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괜히 아버지가 그럴수밖에 없었다고 정당한 행동이었다고 느껴질만큼. 그녀가 그리는 아버지는 반아버지적이면서도 그 행동조차 용서되는 아버지의 색깔을 담고 있었다.

그녀의 소설들은 일상적이면서도 낯설고 신중하면서도 사려깊은 이야기인 듯 싶다. 소설속에서 내가 했던 행동들의 흔적들을 따라가다 보면 하나의 이야기로 탄생한다. 참 재미난 글 읽기였다. 어쩌면 유치한 신파적이며 구질구질한 사랑이야기 보다는 신선한 일상이야기가 더 낫다 싶다. 통속적인 스토리에 신물이 난 사람에게 추천한다.

김애란의 소설들을.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07-17 20: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애란이란 작가의 이름은 이 글을 통해서 처음 접해봅니다. 꼴통님의 좋은 글을 보게 되니 왠지 궁금해 지는 군요. 서점에가서 꼭 한번 찾아 읽어봐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