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나라 경찰관
린다 버젠달 폴링 지음, 김이숙 옮김 / 휴머니스트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언젠가 신문에서 복지관을 운영하시는 수녀님의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다. 그 수녀님은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사명감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된 계기가 어린 조카의 죽음에 있다고 했다. 어린 조카가 불치병에 걸려 죽게 되었을 때 신께 매달리며 '왜 아무런 잘못도 없는 내 어린 조카가 죽어야 합니까?'라고 수없는 질문을 던졌는데, 그 기도의 끝에 돌아온 깨달음은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있어서는 안되는가?'라는 것이라고 했다. 누군가에게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면 자신에게도 일어날 수 있음을 인정하고나자, 그러한 고통에 처한 수많은 이들이 보이더라는 것이었다.

  이 책의 저자 린다 버젠달은 스물아홉의 나이에 일곱살 된 아들을 백혈병으로 잃었다. 그런 그녀가 4살 때 발병한 아들과 3년 동안 지내면서 신에게 가장 많이 던진 질문도 아마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일어나야 합니까?'였을 것이다. 경찰관이 꿈이었던 아들 크리스와 보냈던 3년간의 투병기간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었을지도 모른다. 자신의 전부와도 같았던 아들의 죽음을 통해 그녀는 질병에 시달리는 아이와 가족들의 고통을 누구보다도 잘 알게되었으며 자신의 삶의 경험을 그들에게 나누어주는 것으로 해답을 찾게 되었다. 아픈 아이들의 소원을 들어주는 메이크 어 위시 재단은 그렇게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눈시울이 뜨거워짐을 느꼈다. 사랑하는 이의 죽음은 마음이 갈갈이 찢기는 아픔일 수 밖에 없다. 그럼에도 그 죽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아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소중하고 아름다운 추억은 지은이에게 생명의 소중함과 또 다른 삶의 일면을 바라보게 한다. 인생에서 신에게 '왜 나에게 이런 일이 생겨야 합니까?'라고 물어야할 때는 무척 고통스럽고 견디기 어려운 시간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거의 모든 사람들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신으로부터 듣지 못하는 대신에 그 고통으로부터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고 나아갈 힘을 얻는 것으로 스스로 답을 찾는 것처럼 보인다. 하늘나라의 경찰이 되어서 엄마를 지켜주겠다던 아들 크리스를 떠올리며 이 책을 쓴 지은이도 그렇게 자신의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아낸 이들 가운데 하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날 갑자기 고양이의 말을 알아듣게 되었다면? 그리고 그들이 사는 왕국으로 초대를 받는다면? 평범한 여고생 하루는 위험에 처한 고양이를 구해준 것을 계기로 놀라운 모험의 세계로 빠져들게 된다. 그러나 모험은 낭만적이지만은 않다. 자신의 뜻과는 관계없이 고양이 왕자의 신부가 될 위기에 처한 것. 거기에다 자신의 외모마저 고양이처럼 변해간다. 그런 하루를 도울 사람은 고양이 사무소의 바론 남작 뿐이다.

  하루를 구하기 위해 왕국으로 온 바론 남작은 점차 고양이로 변해가는 하루에게 계속 속삭인다. "너 자신이 누구인지 생각해. 그래야만 넌 다시 돌아갈 수 있어."

  주인공 하루는 바론 남작과 고양이 왕국에서의 모험을 끝내고 다시 현실로 돌아온다. 자신을 고양이 사무실로 안내했던 교차로에 있는 커다란 고양이 뮤타를 아무렇지 않게 지나쳐 가는 영화 끝부분의 하루를 보고 있노라면 삶은 꿈꾸는 것을 가능하게 하지만 결코 발을 떼고 날아갈 수 없는 것임을 느끼게 한다.

  다시 현실로 돌아오게 된 하루는 내면에 있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 욕구들에 대해 새롭게 자각하게 된다. 그것을 성장이라고 한다면 그 정의는 세상 속에서 내가 누구인지, 또 어떻게 살아가야할지를 찾아가게 되는 과정이라고 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분명 영화 끝부분에 친구와 이야기하면서 걸어가는 하루의 모습은 처음과는 달라보인다. 그리고 그 변화는 어느날 갑자기 생각지도 않은 순간에 그녀에게 일어난 꿈 같은 모험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영화의 엔딩 주제곡의 제목이 "바람이 되어"인 것은 참으로 흥미롭다. 때론 어디선가 불어온 바람이 알지 못하는 곳에 데려가주기를 바라는 것, 그것을 꿈꾸는 것이 삶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