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Jenaer Systementwürfe III. Gesammelte Werke, Band 8, Hamburg: Felix Meiner, 1976.
▷ G. W. F. 헤겔, 『 헤겔 예나 시기 정신철학 』(서정혁 옮김), 이제이북스, 2006.
1) 1격 혹은 주격의 이데올로기
우선 독일어의 번역, 아니 사실 거의 모든 인구어(印歐語)의 번역에 따르는 문제로서 '1격' 혹은 '주격'의 이데올로기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간단히 두 가지 사례만 들어보기로 하자. 예를 들어 <헤겔 예나 시기 정신철학>의 84쪽에서 원문 p.186의 "Schatze"는 "Schatz"로, 85쪽에서 원문 p.188의 "Meinen"은 "Meiner"로 바꿔져 병기되어 있다. 첫 번째의 경우는 복수 단어를 단수로 표기한 경우이고, 두 번째의 경우는 2격을 1격으로 바꿔 표기한 경우이다.
① 먼저 두 번째 경우를 살펴보면, 이는 주격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드러내주는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다. 번역자라면 아마도 누구나 이러한 '주격'의 신화 앞에서 잠시나마 머뭇거릴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반화' 또는 '일반성의 제시'라는 환상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격지배를 기본으로 하는 인구어로부터 교착을 기본으로 알타이어로의 이행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고민이기도 하다. 따라서 1격 또는 주격으로의 변형 병기는 일종의 용단, 용감한 선택, 과감한 번역과 '번안'의 결단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여기서 '용감하다'와 '과감하다'라는 형용사에 어떤 긍정적인 부가가치가 따로 매겨지는 것은 물론 아니다.
한 가지 착각해서는 안 되는 문제는, 번역이 아니라 '단순한' 병기가 문제가 될 때 오히려 이러한 표기법의 이데올로기적 문제가 돌출된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단순한' 병기 또한 전혀 단순할 수만은 없는 것이며 중립적이지도 않다는 사실의 새삼스럽다면 새삼스러울 발견과 인식,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바로 이 점이다.
또 하나의 '부가적인' 문제를 제기하자면 이렇다: 예를 들어 "Meinen"을 "Meiner"로 [격]변형시켜 병기하는 것은 'Ur-text'의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가? 정확히 말하자면, 그것은 '원문 그대로' 표기되지 않았던 것이다! 물론 나는 원문주의자, 텍스트지상주의자는 아니다. 뭐, 어쩌면, 혹은 그런지도 모르고. 하지만 이러한 '부가적인' 문제가 원문주의자의 주변을 감싸며 제기되는 문제는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② 첫 번째의 경우 역시 기본적으로 '주격'의 신화 또는 '기본형'의 이데올로기의 산물이다. 복수형태의 기본형은 단수라는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물론 이데올로기의 이러한 작동이 베일을 벗을 때 그것은 이미 더 이상 이데올로기가 아니다). 이 역시, 조금은 다른 층위에서이긴 하지만, 두 번째 경우와 동일한 문제들을 담고 있다.
그렇다면 이 역시 '부가적인', 그러나 보다 더 메타적인 문제 하나를 더 야기시킨다: 두 번째의 경우, 곧 격지배의 '기본형'이라는 이데올로기는, 첫 번째의 경우, 곧 단/복수의 '기본형'이라는 이데올로기의 '기본형'인가?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사례들은 어떤 위계로 구획되고 조직되어 있는가, 혹은 있어야 하는가? 다시 한 번 곁가지를 치자면, "있어야 하는가?"라는 당위적 물음은, 다시 한 번 독일어를 차용해볼 때, 'sollen'의 물음이어야 할 것인가, 혹은 그래야만 하는가?
2) 다산과 공포: 생산적이거나 혹은 무시무시하거나
이 책에는 중대한 오역이 하나 있다. 국역본 84쪽 17행의 "생산적일 수fruchtbar 있는 밤"은 원문(p.187:8)의 "furchtbar"에 대한 오독(誤讀) 또는 실독(失讀)인 것이다. "무시무시한 밤" 혹은 "무시무시하게 된 밤"([...] die furchtbar wird)으로 번역되어야 할 것이 문자에 대한 잘못된 판독으로 "생산적인 밤", "생산적일 수 있는 밤"이 되어버린 것이다. 하지만 단순한 오역이라는 지적을 넘어 이러한 번역 또는 번안을 징후적으로 독해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무시무시한 '세계의 밤(die Nacht der Welt)'에 대한 저 유명한 헤겔의 문장이 이토록 '생산적'으로 보이는 사례는 다시 찾기 힘들지도 모른다.
질문들은 이렇다: 'furchtbar'를 'fruchtbar'로 잘못 판독하는 것, 곧 '오인'하는 것은 단순한 환시인가, 아니면 어떤 종류의 심리적 과정으로서의 치환인가? 이것은 어쩌면 하나의 강박일까? 이러한 강박증은 가역적일까 비가역적일까?
재미있는 것은, 과실(果實)이 많다는 것, 그것은 곧 생산적이라는 사실, 하지만 동시에 또한 그것은 무시무시하다는 사실이다. 과실(果實)이 많다는 것은 또한 과실(過失)이 많다는 말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무시무시하면서 또한 동시에 생산적인 밤이야말로, 헤겔의 저 '세계의 밤'에 대한 가장 합당한 설명이자 해석이 아니겠는가.
ㅡ 襤魂, 合掌하여 올림.
서지 검색을 위한 알라딘 이미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