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방식 이야기 듣는걸 좋아하긴 하는데
우울증 환자이야기는 좀 힘들기는하다.

손가락 들 힘도 없는 처지의 사람들을 어떻게
찾아낸건가 싶다가도 살펴보면 또 굉장히 많을것도같고.

그치만 치부를 남앞에 드러낸다는것 자체가 쉽지않은 일일텐데 이런 작업에 나서준 인터뷰이들, 이야기 들어준
작가가 고맙기는 하다.

어느곳에서나 마찬가지지만 이야기하고 나누는게
정말 정말 중요하고 필요한 일이란걸 느낀다.


100명의 우울증 환자가 있다면, 이야기 또한 100개가 있다. 제각각 모두 다를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psyche 2022-03-11 14:1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읽어보고 싶은데 읽으면서 힘들 거 같아요. 마음이 좀 가벼워진 다음에 읽어보고 싶네요

singri 2022-03-11 14:30   좋아요 2 | URL
저같은 경우는 표지가 넘 강렬해서 글자가 책을 다 덮고 튀어나오것같아서 대체 뭔이야기길래 저렇게 소리치나 했더니 실제로는 아무데도 말 못하거나 안하는 사람들 이야기였어요.

힘들기는하다 또 그렇지만은 않다가 왔다갔다 해요.ㅎ

청아 2022-03-11 14:4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고통이 있으면 있는대로 즐거우면 즐거운 대로 자신의 목소리를 낸다는 건 참 필요해보여요.
목소리 내는 이들에게도 위로가 되고 듣는 이들에게도 이 세계를 넓혀주는 공감과 이해의 과정이 될테니까요.

singri 2022-03-11 15:12   좋아요 2 | URL
당연하고요. 이책 읽으면서 저를 또 뒤돌아보고 있습니다. 나는 어떤일을 할 수 있나 하는것요.

이게 꼭 정치적일 필요는 없는데 이상하게 이책 읽으면서 요즘 정치권에서 하는 이야기들과 아예 상관없는 이야기는 아니다 싶더군요.

정치라는게 일이년 가지고 되는일이 아니고 스피커라고 하면 그렇지만 목소리를 대신할 여성 정치가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어요 진보를 위한 언론 역시도요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