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오래된 사진 한 장. 찍을 때도 별로 신경 쓰지 않았고, 찍고 나서도 아무렇게나 던져두었기에 사진을 찍은 사실조차 잊었다. 그러다 어느 날, 옛날 물건들을 정리하다 우연히 낡은 그 사진을 보면, 그것이 나의 유래이고 내가 돌아가 안길 품처럼 느껴진다. 반면 엄숙하고 진지하게 남긴 수많은 사진은, 오히려 어디서 찍었고 왜 찍었는지도 잊고 만다. - P92

인간의 근본적 공포는 바로 이 ‘가벼움‘이란 글자에 있다. 경시와 무시 같은, 조소 같은, 가난한 자의 손에 들린 휴지조각이 된 주식 같은, 실연 같고 죽음과도 같다. 가벼움이 가장 무섭다. - P106

당시의 중국은 사랑을 부끄럽게 여겼고, 어쩔 수 없이 저지르는 잘못처럼 생각했다. 특히 남녀 지식청년이 농촌에 와서 큰일도 하지 않고, 사랑을 먼저 말한다면 당시 상황에서는 혁명의지가 꺾인다고 말들이 많았을 것이다. - P119

어쩌면 모든 예술은 다 이런 기원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힘들고 고된 생활에는 희망이 필요하고, 건강한 생명은 사랑이 필요하다. 셀 수 없는 날들과 헤아릴 수 없는 마음의 일은 모두 다 털어내고 말해야 한다. - P126

우리는 신체의 장애를 입은 사람보다 영혼에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더 많은 동정과 사랑을 주면 안 되는 것일까? -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자복을 입은 노인을 아주 오랫동안 지켜본 적이 있다. 잔디 위를아주 느릿느릿 걸으며 햇볕을 쬐던 그 노인. 그 정도면, 그렇게만 걸을 수 있다면 나는 충분할 텐데!
부드러운 풀밭을 걷는 느낌을 떠올려보았다. 가고 싶은 곳으로 어디든 걸어갈 수 있는 느낌을 떠올렸다. 길가에 떨어져 있는 돌멩이를 차는 느낌은 또 어떠한가. 이런 것들을 떠올려보지 않은 사람들은 아마 믿지 못할 것이다. 이런 느낌은 결코 떠올려지지 않는다! - P59

스물한 살, 스물아홉 살, 서른여덟 살. 나는 이렇게 세 번 우의병원에 들어갔다가 나왔다. 내가 죽지 않은 건 모두 다 ‘우의‘ 때문이다. - P66

열네 살에 학교가 휴교되었고, 열일곱 살에 하방을 갔다 돌아와 가장 무시받는 일을 했다. 하지만 우리는 농촌에서 못하는 것이 없었고, 안 하는 것도없었다. 그러면서 공부가 하고 싶어 남는 시간에 공부를 해서 간신히 대학에 진학하고, 진학한 후에는 또 무시받았다. 어이없게도 우리는 ‘공농병 학생‘이기 때문이었다. 그렇다고 그 굴레를 벗어날 수없다. 이 세대 사람들은 몇 배의 노력으로 사람들의 시선을 이겨내야 했고, 실력과 능력으로 이런 학위를 받았다는 것을 믿도록 만들어야 했다. 이것이 우리 세대가 학위를 얻는 전형적인 과정이었다. - P69

동화가 유감스러운 것은 너무 아름다워서가 아니라, 우리가 그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훨씬 더 잔혹한 세계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때 동화는 그저 너무 나약할 뿐이다. - P71

그러던 어느 날 한 신을 알게 되었다. 그에게는 구체적인 이름도 있다. 바로 정신이다. 과학의 미망에 빠졌을 때, 삶이 혼돈에 빠졌을 때, 사람이 유일하게 도움을 청할 곳은 자신의 정신이다.
우리가 믿는 것은 모두 다 자신의 정신이 그려내고 이끄는 것이다. - P7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몇 시간 동안 온 마음을 다해 죽음에 관해 생각했다. 또한 같은 인내심과 같은 방법으로 왜 태어났을까도 생각했다. 그렇게 몇 년을 생각하다 보니 마침내 알게 되었다.
‘사람이 태어난 일은 논쟁으로 결론을 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하느님이 준 그냥 한 가지 사실일 뿐이다. 하느님은 우리에게 이 생명이라는 분명한 사실을 줄 때, 이미 그에 따른 결과도 준비해두었다. 때문에 죽음은 급하게 바란다고 이루어질 수 있는 일도 아니지만, 그럼에도 반드시 오게 되는 기념일이다.‘ - P11

만약 이 세상에 고난이 없다면, 세상은 존재할 수 있을까? 우매함이 없다면 영민함이 뭐 그리 대단한 자랑이겠는가? 추함이 없다면 아름다움은 어떻게 그만의 행운을 유지할 수 있을까? 악함과 비천함이 없다면 선함과 숭고함은 어떻게 경계를 정하고 또 어떻게 미덕이 될 수 있겠는가? 장애가 없다면 건강함은 너무 흔해서 지루하고 무미건조한 단어가 되지 않을까? - P35

많은 것들이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단 세 가지 문제가 그렇게 괴롭히면서 나를 따라다녔다.
첫 번째는 이제 그만 죽을까?
두 번째는 왜 살아야 하나?
세 번째는 대체 왜 글을 쓰려 하는가?
지금도 이 세 가지 명제는 여전히 나와 얽혀서 함께하고 있다. - P39

언제든 끝이 날 것 같은 느낌은 끝남 그 자체보다 훨씬 두려웠다. 죽음 자체보다 죽음을 기다리는 게 더 두려운 법이다. 나는 죽는 게 낫다고 생각했고, 태어나지 않는 게 낫다고 생각했고, 이 세상이 아예 없는 게 낫다고 생각했다. 그렇지만 나는죽지 않았고, 죽음은 급히 서둘러야 할 일도 아니라는 생각도 들었다. 하지만 서두르지 않아도 되는 일이라고 해서 반드시 지연해야 한다는 법은 없다! - P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결코 애국을 주창하는 사람이 아니고 그런 얘기를 듣는 것도 좋아하지 않는다. 해외로 도피하지 않은 것은 고향에 계신 부모님과 형제들, 우리 가족들을 버리고 떠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온갖 치욕을 당하고 있는 힘없는 조국이었지만, 조국을 떠나 남의 나라의 눈치를 보며 사는 하등 국민이되고 싶지 않았다. 우리는 조국의 문화, 조국의 문자, 조국의 언어를 사랑하는 문화인이다. 우리는 강하고 자랑스러운 중국인으로서 살기를 바랐다. 결코 외국인이 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 P213

그 후 국가 지도자의 호소로 명방운동이 시작되었다. 중수는 중난하이에 직접 가서 마오 주석의 강화를 들었는데, ‘뱀을 굴에서 나오게 하려는 유인책‘이라고는 전혀 생각할 수 없는 진심 어린 강화였다고 했다. 하지만 세월이 지난 후에 여러 기록과 논설을 보고 나서야 그것이 오랜 시간 동안 공들여 만든 계략이었다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되었고 정치에 대한 두려움으로 모골이 송연해졌다. - P241

시간은 곧 생명인데 우리가 살아온 시대는 생명 같은 시간을 팔아 목숨을 이어가던 시대였다. - P246

8월 한 달 동안 나와 중수는 차례로 혁명 군중에게 ‘적발‘되었다. 우리는 처단해야 할 ‘악귀‘가 되었다. 아위안은 급히 집으로 와서 우리가 잘 있는지 보려고 했다. 하지만 아위안 자신도 혁명군중의 한 사람이었고 집으로 가려면 눈을 시퍼렇게 뜨고 지켜보고 있는 혁명 군중들의 앞을 지나쳐와야 했다. 아위안은 먼저 대자보 하나를 써서 악귀가 된 부모와 뚜렷하게 선을 그었다. 그리고 건물 벽에 대자보를 붙이고 나서 집 안으로 들어왔다. 지금 방금 대자보를 붙여서 우리와 확실하게 선을 그었다고 말해 주었다. 아위안은 ‘사상적으로만 선을 그었다‘고 강조한 후에 한 마디 말도 없이 내 옆에 바짝 다가와 앉았다. - P256

중수는 한직으로 내쫓겼고 그의 학문까지 냉대를 받고 있었다. 중수가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유명해지는 것은 바로 나를 깊게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는 것이야.
우리는 서로 깊게 이해하기를 바랐다. 유명해지기를 바란 것이 아니었다. - P281

책을 읽을 때는 책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가지고 품평을 한다. 하지만 밧줄을 사용할 때는 제일 약한 부분을 보고 얼마나 튼튼한지 가늠한다. 한직으로 내쫓긴 공붓벌레는 사람을 대할 때 마치 책을 읽는 것처럼 사람을 읽는다. 하지만 정치가 혹은 기업가 같은 사람들은 사람을 대할 때 아마도 사용할 밧줄처럼 대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P288

소설이나 동화 속에 나오는 것처럼 ‘그 후로 그들은 영원히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같은 결말은 이 세상에 없다.
이 세상에 순수한 행복은 없다. 행복에는 늘 근심과 걱정이 끼어 있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도 없다. 우리는 평생 순탄치 않은 길을 힘겹게 걷는다. 그리고 그 인생이 다 저물어 갈 무렵에야 편안하게 쉴 곳에 다다른다. 하지만 그때가 되면 늙고 병든 몸이 우리를 인생의 가장자리 끝으로 밀어낸다. - P3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지만 우리들이 헤어지고 우리집이 사라졌다고 해도 내 인생마저 헛되이 사라져버리는 것은 아니다. 우리 셋이 함께하였기에 충만하고 즐거운 인생이었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두 사람의 인생에도 ‘우리 셋‘이 있었고, ‘우리 셋‘이 있었던 각자의 인생은 모두 헛되지 않았다. - P101

중수는 문학 전공으로 학사 학위를 받는 것에 만족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조국의 장학금을 버리고 외국 재력가의 투자에 의지하는 일은 절대로 하지 않을 작정이었다. - P109

중수는 오랜 시간을 들여 단지 학위 하나를 얻는 것은 그다지 가치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정작 읽고 싶었던 책들은 뒤로 하고 불필요한 과제나 하면서 시간을 낭비했다는 것이다. 중수는 ‘문학 학사는 바로 문학에 대한 무지를 입증하는 것이다‘라는 옥스퍼드 출신의 영국 학자들의 평가를 자주 인용했다. 중수는 앞으로는 학위를 위해서는 공부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