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1970년대부터 워싱턴과 베이징을 결속시킨 공동의 적이었던 소련이 해체되면서 미국은 중국 공산당과의 준동맹 관계를 재평가했고, 중국을 지구화의 궤도로 끌어들이는 데 급급해하지 않았다. 그 대신 클린턴 행정부회 외교 정책 엘리트들은 처음에 권위주의적 중국을 잠재적 경쟁자로 보았고 중국 정책에서 인권 개선을 우선시했다. ‘중국 위험론‘이라는 외교 정책 담론이 워싱턴에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중국은 소련 다음으로 미국이 맞지고 견제해야 할 주요 세력으로 여겨졌다. - P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의 힘이 약하고 미국의 하위 파트너가 되는 것에 만족하는 한 미중 관계는 조화를 유지했다. 그러나 중국이 일정 수준의 역량과 자신감을 갖추자 더 큰 야심을 내비쳤고 미국은 중국을 도전자로 여기기 시작했다. 두 나라 사이의 조화는 갈등으로 변했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에는 ‘무관심‘이라는 병이 만연해 있다. 이는 민주주의에 매우 위험한 징조다. 세상을 좋지 않은 방향으로 이끄는 것은 보기에 이거다 싶은 ‘알기 쉬운 악인‘이 아니라 ‘무비관적이고 무관심한 선인‘이기 때문이다. - P272

신규 대출 일관 채용이란 모두 똑같은 시기에, 모두 똑같은 활동을 하고, 모두 똑같은 시기에 입사하는 과정이 전제되어 있다. 심지어 채용하는 측인 기업은 정중하게 채용 활동 시작일까지 똑같이 맞추는 기괴한 일까지 벌이고 있다. 이러한 채용 방식을 주요 인재 획득 수단으로 삼고 있다는 것은 사회의 규칙에 동조하지 않는 개성 있는 인재는 필요 없다는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최근에는 어느 기업이나 판박이처럼 ‘변혁을 스스로 주도할 수 있는 개성적인 인재를 추구한다‘는 개성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메시지를 취업 시장에 내걸고 있는데, 대 일괄 채용이라는 채용 방식을 취하면서 이러한 메시지를 보내는 자체가 자기기만이다. - P2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노동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순도 높은 대가는 무엇일까. 자신의 노동으로 만들어낸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입해 만족해하는 사람을 보는 일일 것이다. 노동으로 얻는 대가 중에서 금전적인 보수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런 불건전한 상황이 초래된 것은 자신이 생산해낸 가치를 확인하고 기뻐하는 사람을 직접적으로 볼 수 없는 사회 구조가 되었기 때문이다. - P223

‘책임 있는 소비를 하겠다는 사고가 중요하다.
책임 의식이 중요한 까닭은 바로 우리의 소비 활동에 의해 어떠한 조직과 사업이 차세대에 남겨질지 결정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자신이 행하는 소비 활동에 아무런 사회적 책임을 느끼지 못하고 비용 대비 효과의 최대화만 추구한다면 사회의 다양성이 사라지고 가장 효율적으로 ‘도움이 되는 물건‘을 제공하는 사업자만 사회에 남게 될 것이다. - P233

실패가 두려워 신중하게 하느라 시도하는 양이 줄어들면 결과적으로 ‘질‘ 또한 떨어진다. 우리는 성공의 반대쪽에 실패를 대치시켜놓고 성공을 추구하면서 실패는 가능한 한 피하려고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고찰한 바를 살펴보면 이익이 되는 좋은 일만 골라서 할 수는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240

우리 인간이 감정이라는 기능을 획득한 까닭은 감정이 생존과 번식에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반대로 표현하면 감정을 억제하고 수단적인 삶을 지향하는 일은 생물 개체로서의 생존 능력과 전투 능력을 훼손하는 것이다. 급여가 높다는 이유만으로 삶의 보람도 즐거움도 느낄 수 없는 직업에 종사하며 사는 것은 본질적으로 생명으로서 에너지를 상실하는 일이나 다름없다. - P2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창의적인 사람들은 다양한 면에서 서로 다르지만 한 가지 점에서는 일치한다. 바로 자신이 하는 일에 깊은 애정을 품고 있다는사실이다. 그들에게 의욕을 불어넣어 움직이게 하는 요소는 명예나 돈에 대한 욕심이 아니라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일의 기회그 자체다.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창의성의 즐거움> - P200

레비노도 마푸즈도 일해서 얻을 수 있는 무언가보다도 일 자제가 보수라는 점에서 같은 이야기를 했는데 칙센트미하이는 이 사고야말로 인터뷰한 모든 창의적인 사람들에게 공통하는 유일한 점이었다고 밝혔다. - P201

고원사회에서의 노동을 이전의 인스트루멘털적인 사고에서 컨서머토리적인 사고로 전환하는 방안을 생각했을 때 중요한 핵심은 ‘행복 감수성‘이다. 우리는 너무도 오랫동안 힘들고 괴로운 일을 참고 견디면 앞날에 좋은 일이 있을 거라고 학교와 직장에서 세뇌되어온 탓에 ‘지금 이 순간의 행복‘에 관한 감수성이 현저하게 마모됐다. - P204

특히 일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성공 모델의 이미지에 다양성이 없고 성공이라는 개념의 폭이 극단적으로 좁아져 모두 일직선으로 늘어서 서열을 다루는 듯한 각박한 상황이 되었다는 사실이다. 여기서 말하는 ‘폭이 좁은 성공 모델의 이미지‘는 이를테면 일류 대학교를 졸업하고 유명 대기업에 취직해서 열심히 일하며 연봉을 올려 도심의 고급 아파트에 살면서 고급 외제 차를 타고 다니는 호화로운 생활을 가리킨다. 이러한 이미지를 실제로 이루고자 하는 강박에 사로잡히면 이러한 삶을 실현하는 데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활동을 전부 ‘쓸모없는 일‘로 단정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본질적인 의미에서 더욱 풍요롭고 자신다운 인생을 찾을 기회를 놓칠 가능성이 커진다. - P2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41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