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년 전에 시내 팬시점에서 시계를 하나 샀다. 금속성 줄은 차가운 느낌이 싫어서 가죽으로 된 줄을 골라서 한해 동안 잘 차고 다녔다. 근데 최근에 줄이 너무 낡아 떨어져 버려 그 팬시점으로 줄을 바꾸러 갔었다. 근데 가게 점원이 하는 말이

  “손님, 이 시계는 너무 오래된 거라서 본사에 이 종류의 줄이 남아 있을 지 모르겠네요.”

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나는 그날 시계를 맡겨두고 돌아와서 ‘너무 오래된……’이라고 친절하게 설명하던 그 말을 계속 되뇌어 보았다. 산 지 일년 된 시계가 너무 오래되었다면 도대체 시계를 몇 달만에 하나씩 갈아야 한다는 걸까? 그 생각을 골똘하게 하고 있자니, 갑자기 내가 ‘도대체 이 노무 세상이 미친기지 시푸다.’고  투덜대시던 칠순의 우리 어머니 심정을 이해할 듯도 하다.

 

  그러고 보니 조카녀석들이나 주위에 아이들이 가지고 다니는 필통이나, 가방, 바지 따위가 낡은 걸 본 적이 없다. 더 이상 쓸 수 없을 때까지 쓰는 건 이미 옛날 사고 방식이 되어버렸다. 조금이라도 새로운 모양이나, 색깔이 나오면 겨우 몇 달 전에 열광하고 매달렸던 그 물건은 이미 구닥다리가 되어 버리는 세상이다.

 

  권정생 선생의 동화 ‘또야 너구리가 기운바지를 입었어요’에, 엉덩이를 기운 바지를 입기 싫어하는 또야 너구리에게 엄마너구리가 하는 말이 있다.

  “또야가 이 기운 바지를 입으며 산에 들에 꽃들이 더 예쁘게 핀단다. 그리고 시냇물에 고기들도 더 많이 살고, 하늘에 별님들도 더 예쁘게 반짝거린단다.”

 

  우리가 소비하는 모든 것들이 누구로부터 빼앗아오는 것인지 이미 다 알고 있다. 순박한 자연에게서 착취해 오고 있는 것으로 우리는 ‘우리는 소비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인간이 되어버린 게 아닌가.

자라는 아이들에게 소비가 미덕이고 유행을 좇아가는 게 개성이라고 가르치는 자본주의사회에서는 황금과 물질의 신이 유일신이 되어버렸다. 모두가 소박함과 더불어 인간다운 가치를 추구하는 사람을 비웃고 이단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제 우리가 아직도 인간임을 완전히 잊지 않았다면 소비하는 즐거움이 누구의 배를 불리고 누구를 억압하는 결과인지 돌아봐야 하지 않겠는가. 값비싼 것을 가지고 걸친 사람들의 호사스러움 뒤에 가난한 나라 사람들과 자연들이 어떻게 유린되고 있는 지 한번만 돌아봐 주자. 우리가 광고의 유혹에 사흘이 멀다하고 바꾸어대는 소비재들 너머로 죽어가는 자연을 한번만 떠올려 보자. 제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리별 2007-10-04 2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댓글을 남긴건 첨인데... 항상 불만이었던 하지만 내주위의 누구하나 의식하지 못해 이런생각하는 내가 미친건가 하고 고민했었는데... 이런생각을 가진분이 있어 반가워 추천 누르고 갑니다

산딸나무 2007-10-04 2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맙습니다.
저 역시 제 생각에 공감하시는 분을 만나서 참말 기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