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 년도 더 된 일이다.
 대학 친구 하나가 대구의 작은 시민단체에서 일하게 되었다고 연락이 왔다. 반가운 마음에 술 한 잔 하는 핑계로 얼굴을 보게 되었다.
 “명함 한 장 줘 봐.”
 자리에 앉자마자 내가 그렇게 말했던 것 같다.

 그 때 친구가 술집 앞에서 나눠준 미용실 광고지 귀퉁이에다가 전화 번호를 적어주며 자기가 하고 있는 일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명함으로 버려지는 종이에 대해서 얘기를 했다.

신선한 충격이었다. 아무 생각 없이 주고받는 명함 한 장이 내 환경적 사유를 자극하는 거리가 된 건 그때부터였다.

 명함이 환경적 사유만 던져준 건 아니었다. 우리 사회에서 명함 없이 살아간다는 것은 이등 시민으로 산다는 걸 의미한다. 무위도식하는 삶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러나 명함 없이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이 결코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게 아니란 걸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명함이 없는 사람들일수록 중요한 그림자 노동, 자립 노동을 하고 있는 사람들인 경우가 더 많다. 명함 없는 농부의 노동, 명함 없는 주부의 노동…….

 오랫동안 명함 없이 살아도 불편함 없이 잘 살았다. 명함을 달라는 사람들에게는 그냥 메모지에 전화번호를 적어주곤 했다.
 그런데 요즈음 새로 일을 시작하게 된 뒤 명함을 달라는 사람이 부쩍 많아졌다. 그런데  번번이 메모해주기가 귀찮아 꾀를 냈다. 미리 메모를 해 두면 필요할 때 건네주면 되겠다 싶었다. 그래서 버리는 자투리 종이를 잘라서 메모를 했다. 그랬더니, 근사한 명함이 되었다.

 내 손으로 만든 명함, 내 이름 하나 드러내려고 귀한 종이를 낭비하지 않아도 되는 명함이었다. 받는 사람들도 좋아한다. 신선하단다.

십 년 전 친구에게 받았던 그 신선한 자극을 내가 누군가에게 전해줄 수 있다는 게 기쁘다. 이런 기쁨이 담겨 있는 명함 건네기, 그대도 한 번 해 보심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8-10-10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디? 산딸나무님 자작 명함 보고 싶습니다.
원본 한번 올려주시기를.. 하하


산딸나무 2008-10-10 18: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안 돼요.
중요한 정보가 다 들어있어서요.^^
사실은 글씨가 장난 아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