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생수 애장판 1~8(완결) 세트
이와아키 히토시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구에 사는 누군가가 문득 생각했다.

 ‘인간의 수가 절반으로 준다면 얼마나 많은 숲이 살아남을까?’

 지구에 사는 누군가가 문득 생각했다.

 ‘인간이 100분의 1로 준다면 쏟아내는 독도 100분의 1이 될까?’

 누군가 문득 생각했다.

 ‘모든 생물의 미래를 지켜야 한다.’




 기생수(奇生獸)는 이렇게 시작된다.

 우리도 그 누군가가 되어서 생각해보자. 오랜 고민 없이도 쉽게 하나의 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인간이란 종적 유대감만 없다면, 모든 생물의 미래를 지키기 위해 제거해야할 첫 번째 적은 바로 인간이 아닐까?




 이와아키 히토시는 그 답에서 이 작품을 구상했을 것이다. 인간만 없다면 지구에 살아있는 모든 존재들은 생명답게 나고 죽을 수 있으리라. 그렇다면 지구를 위해 인간을 죽이는 유전적 본능을 지닌 생명체가 없으리란 법도 없지 않겠나.

 그러나 앞뒤가 딱 맞아 들어가는 이 전개에서 정작 인간들만은 자신들이 왜 죽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다른 종이 자신들에게 품고 있는 적의(더 정확하게 말하면 ‘적의’라기 보다는 생명으로서 마땅한 유전적 본능)을 이해할 수 없는 인간들은 자신들이 왜 죽어야하는지 묻는다. 그러나 그들에게 돌아오는 무언의 답은 ‘너희들은 언제 자연을 유린하는데 까닭을 붙였던가.’이다. 까닭 없이 무감각하게 자행되는 폭력 앞에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가 되는 순간, 인간들은 비로소 인간이란 무엇인지, 생명이란 무엇인지 사유하기 시작한다. 




 과연 인간이란 무엇인가? 그 만만치 않은 답은 읽는 이의 몫이다. 그러나 작가는 인간도 넓은 의미의 생명이고, 자연이라는 실마리를 남겨둔다. 다윈의 진화론을 긍정하는 사람들과, 부정하는 사람들, 그리고 회의하는 사람들 모두가 자기 식으로 해석 가능한 결론을 가지고 있는 매력적인 작품이다.




 책을 덮고 나면, 인간이란 생물을 이 땅에 이토록 번성하게 한 ‘인간다움’이란 유전자에 확대경을 바짝 들이미는 작가의 능력에 절로 탄복하게 된다. 이 작품이 일본에 연재되기 시작한 해가 1989년이니, 얼추 20여 년 묵은 작품이다. 그러나 그 어디에도 세월의 흔적이 없다. 예리하고 번득이는 철학은 갓 길어 올린 물처럼 차갑고 싱그럽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08-26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생수..
애니메이션으로 봤는데 저에게는 좀 징그럽던데요. 하하

산딸나무 2008-08-26 16: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에니메이션은 못 봤는데...
만화책도 장난 아니게 끔찍한 장면들이 많아요.
그래도 워낙에 그런 만화에 익숙하다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