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도시가 지구를 살린다 - 지구온난화 시대에 도시와 시민이 해야 할 일
정혜진 지음 / 녹색평론사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서 기자 생활을 하고 있는 지은이가 쓴 책이다. 솔직히 크게 기대하고 본 건 아니다. 제목이 주는 느낌이 영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착한 도시, 착한...

나는 '착하다'는 단어를 좋아하지 않는다. 그 단어가 주는 도덕적 근엄성과, 몰정치적인 사유와, 사회약자들에게 강요되는 이름표로써의 기능이 영 마음에 들지 않기 때문이다.

이주노동자, 여성, 장애인, 어린이, 노인 ... 사회 과학적 영역의 느낌이 물씬 나는 조합이다.

그러나, 착한 이주노동자, 착한 여성, 착한 장애인, 착한 어린이, 착한 노인...

쳇, 이거 영 본질적 무게가 느껴지지 않는 조합들이 되어버리지 않는가. 

그래서 나는 '착하다'는 단어가 싫다. 

그러나 이 책은 제목과는 달리 다분히 정치적인 감성들을 자극한다. 참으로 재미있게 읽었다.

환경운동은 그 무엇보다도 감성적인 운동이다. 생명에 대한 존중, 자연에 대한 감사, 더불어 살아가는 모든 것들에 대한 배려...

그러나 환경운동은 그 무엇보다 정치적인 운동이다. 몇몇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문제들, 친환경적 정책들의 개발, 전지구적 연대...

그래서 환경운동을 하는 이들은, 혹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을 느끼는 이들은  누구보다도 감성적으로 느끼고 정치적으로 행동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어찌 된 일인지 정치적으로 느끼고 감성적으로 행동하는 이들을 너무도 많이 보게 된다.

그런 가운데, 이 책은 꽤 매력적인 가르침을 준다. 

먼저 '착한 시민'의 소소한 노력들이 얼마나 소중한가 자부심을 느끼게 한다. 또, '착한 도시'가 만들어 내는 지역적 삶의 모델이 얼마나 중요한가 깨닫게 한다. 그리고 '착한 정부'를 만들어내는 정치적 판단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가 알게 한다.

착한 도시가 지구를 살린다.

그리고 착한 도시는 착한 시민들이 만들어간다.

착한 시민은...

바로 아는 만큼 실천하는 당신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02-25 15: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착한 시민은 자전거를 탑니다.. 하하


산딸나무 2008-02-27 14: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착한 시민이 되고 싶은데
제 손으로 산 자전거를 세 대나 잃어버리고 나니
다시 사기가 망설여집니다.
봄이 오는데 살까 말까 벌써부터 고민입니다.

비로그인 2008-02-27 16: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전거 도둑이 너무 많으므로
보관할 장소가 없다면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산딸나무 2008-02-27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자전거 등록제가 꼭 필요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