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마을이다 - 위험 사회에서 살아남기
조한혜정 지음 / 또하나의문화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지금 가만히 멈추어 서서

바라볼 시간이 필요하다

우리는 혼자 있을 시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을 시간이

창조적인 일을 할 시간이

즐거움을 주체적으로 즐길 시간이

아무것도 생산하지 않고

그저 근육과 감각을 움직일 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친구들과 함께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을 구상하고

기획할 시간이 필요하다

이 책에 인용되어 있는 폴 라파르그의 말이다.

이십대 후반에 이 말을 처음 접했을 때 당시는 자본주의에 대한 분노와, 노동에 찌들린 노동자들의 삶에 대한 연민 따위 치기어린 감상들이 내 머리를 가득 채우고 있어서 이 말은 그저 '게으를 수 있는 권리'에 대한 당위로만 다가왔다.

그러나 책을 읽어내려 가다가 이 문장을 접하는 순간, 이 말은 바로 내 삶을 위한 말이 되어 있었다.

'다시 마을이다'는 제목 아래 '위험사회에서 살아남기'란 부제가 딸려있다. 그러나 이 책은 더 정확하게 말하면 '위험사회에서 행복하게 살아남기'이다. '주류사회에 미치지 못해서, 어쩔 수 없어서, 어떻게라도 살아남아야 하기에'가 아니다. 지금 그대로 적당히 타협하며 살아가기 보다 더 행복하게 살아가기 위한 길을 찾기 위한 '용감한 떠남'이다.

대선 기간이다.

어떤 후보가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을 제안하는가 꼼꼼히 들여다보고 투표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 후보들이 자기가 말한 내용이 무언지나 제대로 알고 있는지, 그 내용을 뒷받침할 철학과 조직을 갖추고 있는지 의심스러운 마당에 그 제안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그러나  오늘 이 글을 보면서 문득 든 생각.

우리는, 혹은 나는 누군가의 그 제안이 온전히 진실이라 할지라도 그걸 제대로 선택할 수 있을까?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이 구체적으로 어떤 세상인지 알고는 있을까?

내 삶이 의심스럽다.

한번이라도 내 머리로, 내 손으로, 내 이웃들과 함께 내가 살고 싶은 세상을 구상하고 기획해 본적이 있는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7-12-14 10: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는 것이 겁나 중요합니다. 산딸나무님.


산딸나무 2007-12-14 1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겁나?
하하하
한사님이 이런 표현을 쓰시니 되게 재미있어요^^

진진 2008-10-21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고 싶은 책인데...
내가 살고 싶은 세상...언니가 던진 질문이 가슴을 울립니다.
구체적으로 구상할 수 있을 때 내 의지가 행동으로 옮겨지겠지요.

산딸나무 2008-10-21 2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렇게 늦은 밤, 서재를 방문해 주시다니, 감사해요.^^
우리 열심히 머리를 맞대고 구상해봐요.
함께 고민하고 싶은 사람이 생겨 나도 기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