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송 시기 역사를 읽으면서 당시와 송사 등의 장르가 있고 당송팔대가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당나라는 시가 유명했고 송나라 때는 사(시와 비슷하나 조금 다른 운문 문학)가 유명했다. 당시의 대표 주자 '이두李杜'인 이백과 두보, 왕유, 백거이 등이 있다.
이백과 두보만큼은 아니더라도 왕유도 이름이 높았던 모양이다. 놀라운 것은 당시삼백수 등에 보면 이백과 두보만큼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왕유의 시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는 불교시인으로도 유명한데 당나라는 수나라에 이어 불교가 융성했던 배경 때문이다.
왕유(王維)는 젊어서 시명(詩名)이 높았던 인물이다. 같은 시대에 이백과 두보라는 위대한 시인이 있어 그 그늘에 가려졌지만, 같은 나이 또래인 이백보다 빨리 세상에 나왔고, 시의 작풍도 달랐다. 왕유는 오로지 자연의 아름다움만을 읊었다. 조용하고 차분하며 법도에 맞고 아담한 정취가 그의 시의 특징이다. 왕유는 무측천 성력(聖曆) 2년(699)에 태어났다. 일설에는 2년 뒤인 장안(長安) 원년(701)이라고도 한다. 만일 후자가 맞다면 이백과 나이가 같은 셈이다. - P235
위수(渭水)는 진(秦)의 성새를 돌아 굽어들고,
황산(黃山)은 예부터 한(漢)의 궁궐을 둘러쳐서 기울었다.
난여는 멀리 선문(仙門)의 수양버들 사이로 나가,
각도(閣道)에 머물러 상원(上苑)의 꽃을 둘러본다.
구름 속에 치솟은 제왕의 성, 두 마리 봉황 같은 궁궐의 문,
비에 젖는 봄 나무 사이로 온 백성의 집이 묻혔구나.
봄기운에 응하여 시의(時宜)의 정령(政令)을 펴려는 것뿐,
물화(物華)를 즐기려는 신유가 아니다.
안사의 난은 시인들을 수렁 속으로 휩쓸어 넣었다. 장안에는 피비린내가 진동했다.
이 무렵 이백은 고역사를 능멸했다 하여 장안의 조정에서 추방된 뒤 하남에서 장강 유역을 떠돌고 있었다.
햇빛 비친 향로봉에 자줏빛 안개 피어나고,
멀리 폭포를 바라보니 긴 강을 매단 듯.
내리 쏟아지는 물줄기 삼천 자,
혹시 하늘에서 은하수 쏟아지는가.
마침 이곳에서 영왕(永王) 이린(李璘)이 황제에 충성하는 의병을 일으켰다. 이린은 현종의 아들로 어머니 곽씨가 일찍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숙종이 어렸을 때부터 돌보아 주었다. 영왕은 이 때 이백을 맞이했다. 이백은 안녹산을 토벌하는 의병에 가담할 생각이었는데, 하루아침에 자신이 속한 영왕군이 황제의 명령군을 어긴 반란군이 되었다. 황제가 된 숙종은 단호한 조치로 토벌군을 파견했다. 이백도 이 때 역적의 참모였다는 이유로 투옥되었으나, 이백을 아끼는 이들이 구명운동을 쳘쳐 겨우 죽음만은 면하고 서남(西南) 지방으로 유배되었다고 한다.
이백은 759년 은사령이 내려져 자유의 몸이 되었다. 그러나 안녹산과 안경서는 죽었으나 사사명이 대연제국 황제를 칭하고 있었고 그것을 토벌하기 위해 이광필이 파견되었다. 이백은 60세의 나이인데도 불구하고 참가하려고 길을 나섰다 병에 걸려 사망한다.
장안에서 급사중(給事中)으로 있던 왕유는 미처 달아나지 못해 안녹산군에게 사로잡혔다. 현종의 장안 탈출은 비밀리에 이루어져서 양귀비와 황족, 고역사 같은 측근만이 그를 따랐다. 출근 시간에 백관이 궁중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황제의 출분(出奔)을 알고 허둥댔다. - P274
수많은 집 애타는 마음, 들판의 안개로 피어오르고,
백관들 언제나 다시 천자를 뵈올꼬?
가을 홰나무 잎은 떨어져서 빈 궁전 뜰 적막한데,
응벽(凝碧) 연못가에 풍악 소리 높아라.
장안 평강방(平康放) 보리사에 갇혀 있던 왕유는 친구인 배적에게 안녹산이 낙양의 응벽지에서 음악회를 열었을 때 참가한 사람들이 울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음과 같은 시를 지어 불리게 했다고 한다. 이 노래는 안녹산에게 점령당하지 않은 지역에서 누구나 불렸다고 한다.
두보는 안사의 난을 피해 도망가던 도중에 안록산군에게 붙잡혀 장안에 연금되었다. 그 곳에서 <춘망春望>이라는 유명한 시를 남겼다.
나라는 망했으나 산하는 남아서,
성 안에 봄이 오니 초목이 무성하구나.
시절에 감동하여 꽃에도 눈물을 뿌리고,
이별이 한스러워 새 소리에도 마음 놀라네.
봉화는 석 달이나 이어지고,
집의 소식은 만금보다 값지도다.
흰 머리를 긁으니 더욱 짧아져,
다 모은들 비녀를 이기지 못할 것 같구나.
이백(701~762)은 당대 최고의 시인이었으나 25세 강남을 유람했고 현종 때가 되어서야 한림학사의 직위를 얻게 되었다. 벼슬에 올랐다가도 끊임없이 정쟁에 휘말려 유람 생활을 반복했다.
<월하독작月下獨酌>
꽃떨기 사이 술 한 병 놓고,
홀로 마시노니 짝할 사람이 없구나.
잔 들고 밝은 달을 마주하니,
그림자 합하여 세 사람이 되었구나.
달이야 술 마실 줄 모른다 쳐도,
그림자야 한갓 내 모습만 따라 하누나.
잠시나마 달을 짝하고 그림자를 거느리니,
즐거울 때 모름지기 봄맛을 느껴야지.
내 노래에 달은 배회하고
나의 춤에 그림자도 산란하다.
깨어서는 함께 어울려 기뻐하고,
취한 뒤엔 각각 제 갈 길 가겠지.
영원히 망정忘情의 친구가 되어,
저 아득한 은하수에서 서로 만나길.
'월하독작'은 이백이 장안에 있을 때 아무런 실권이 없는 한림공봉이라는 벼슬을 얻자 만족하지 못하고 읇은 시라 한다. 이백은 술로도 유명하다. 봄 밤 달 아래에서 홀로 술을 마시며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모습이 그려진다. 그의 시는 그림을 그리듯 아름답다.
두보는 이백과 더불어 당대 최고의 시인이다. 그는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있었으나 시대를 제대로 만나지 못해 자탄하는 삶을 살았다. 숙종 대 좌습유의 벼슬을 얻게 되었으나 직언으로 숙종의 미움을 받아 화주 사공참군으로 밀려났다. 그는 당시 사회상은 물론 백성의 고통을 잘 표현한 시풍으로 이름이 높았다.
<망악望岳>
태산은 무릇 그 어떠한고?
제나라 노나라 지역으로 푸르게 끝없이 이어졌구나.
조화옹께서 신기한 것, 빼어난 것을 모두 모아 놓았고,
밝은 곳, 어두운 모습 밤낮처럼 분명하게 나뉘었네.
시원하게 트인 풍경에 층층 구름 피어오르고,
눈을 크게 뜨니 돌아오는 새 시야에 들어오누나.
내 언젠가 저 꼭대기에 올라,
그 아래 작은 산들 한번 훑어보게 되겠지.
'망악'은 개원 23년(735) 두보가 낙양에서 진사 시험에 낙방하고 조제(하남, 하북, 산동 지역) 일대를 유람하다가 태산에 이르러 지은 것이다.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는 뛰어난 문장가 여덟 명을 가리키는 말로 당나라 문장가로서는 한유(韓愈), 유종원(柳宗元)이 있고 송나라 문장가로서는 구양수(歐陽修), 소순(蘇洵), 소동파(蘇東坡), 소철(蘇轍), 증공(曾鞏), 왕안석(王安石)이 있다.
수나라 때 흥기한 불교는 당대에 와서 흥성한다. 그러나 송명 도학파 즉 요즘 말하는 신유학도 이때 싹텄다. 불교가 흥성하던 곳에 공자의 학문을 따르고 계승한 학자들이 나타났다는 것이 놀랍다.
송명 도학파의 선구적 인물은 한유(韓愈, 768-824)다. 『신당서』의 그의 전기는 말한다.
수나라까지 도교와 불교가 성행하여 성인의 도[유학]은 겨우 명맥만 유지되었고, 유자(儒者)들도 국가의 이념을 괴이하고 귀신적인 것에 의탁하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한유만은 홀로 탄식하여 성인의 사상을 인증하며 온 세상의 미혹과 싸워 모함과 비웃음을 받았지만 넘어지면 다시 일어나 분투했다. 처음에는 신뢰받지 못했으나 마침내 당시에 크게 유명해졌다.
한유는 맹자를 몹시 추존하여 공자의 정통 전수자로 여겼고 이에 『맹자』는 송명 도학파의 중요한 근거 전적이 되었다. 한유는 "도(道)" 자를 제시했고 도통설(道統說)을 만들었다. 이 설은 원래 맹자가 이미 대충 언급했지만 한유가 제창한 이후 송명 도학자들이 모두 견지했고, 도학도 송명 신유학의 새 이름이 되었다. - 중국철학사(하) P417~422
한유는 최고의 고문가이기도 했다. 어릴 때 고아로 형수에 의탁하여 성장했다고 한다. 정원 8년 진사에 올라 이부시랑을 역임하였다. 현종 때 불교를 반대하다가 조주자사潮州刺史로 폄직되기도 했으며 만년에 국자좨주國子祭主를 지내기도 했다. 그의 시와 문장은 웅장한 기세를 즐겨 썼으며 유가적 사유에 밝았.
<팔월십오야증장공조八月十五贈張功曹>
엷고 섬세한 구름 사방에 말아오니 은하수가 사라지고,
맑은 바람 불어오니 빈 하늘에 달빛이 물결처럼 퍼져 가네.
모래가 평평하니 강물도 소리를 죽이고 그림자도 끊겼는데
한 잔 술 권하노니 그대는 의당 노래라도 불러야지.
그대 노래 소리는 시고 가사 또한 괴롭구려,
끝까지 다 듣지 못한 채 눈물이 비 오듯.
"동정호는 하늘로 이어졌고 구의산은 높이 솟아,
교룡이 출몰하고 성성이와 날다람쥐 울부짖네.
구사일생 고생하여 임지에 다다르니,
깊숙한 거처는 적막하여 마치 도망쳐 숨을 곳인 듯.
침상 아래는 뱀이 무섭고 먹을 밥은 독약이 두렵도다.
바다 기운 습기와 벌레에 비린 냄새 풍겨나네.
사면령이 내렸다고 어제 주부州府의 문에 큰북이 울려으니,
새로 등극하신 황제께서 기와 고요 같은 어진 신하 임용하리라.
사면의 문서는 하루에도 천 리 길을 달려왔으니.
대벽의 큰 죄인도 죽음에서 제외되고,
좌천을 당한 자도 모두 유배지에서 되돌아가,
흠을 씻고 때를 벗은 채 조정의 깨끗한 반열에 서게 되리.
그러나 주부에서 올린 우리 명단 관찰사가 억제하여,
불우한 우리 신세 단지 강릉으로 이송될 뿐이라네.
우리 받은 판사 벼슬이 너무 낮다 말도 못한 채,
먼지 속에 태장이나 면하면 그나마 다행.
함께 귀양 왔던 동료들은 모두 수도로 돌아가는데,
수도 장안 가는 길이 험난하여 따라잡기 어렵구나."
그대 그만 노래를 쉬고 내 노래를 들어다오.
지금 부를 내 노래는 그대와 크게 다르도다.
일 년 중 밝은 달은 오늘밤이 으뜸이라.
사람의 삶이란 명에 달린 것이지 다른 것이 아니로다.
술 있으니 마시지 않고 저 밝은 달을 어이하리!
덕종 정원 19년(803) 한유가 장서와 함께 남쪽으로 유배되었다가 21년 순종이 등극하자 그해 두 사람 모두 사면을 받아 침주(지금의 호남)에 이르러 명을 기다렸다. 1년 만에 순종이 죽어 헌종이 황제로 등극하여 대사면령을 내렸으나 호남 관찰사 양빙楊憑의 방해로 수도로 돌아가지 못하고 강릉(지금의 호북 강릉)으로 이송되어 한유는 법조참군, 장서는 공조참군이 되는 것에 그치고 말았다.
현재 한유가 남긴 문장을 읽고 있는데 그는 '도'를 무척 중요시한다 느낀다. 그는 당시 문장을 꾸미는 데만 집중한 문장가들을 비판했다. 글에는 글쓴이의 정신, 도와 덕이 담겨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장의 기술만을 중요시했던 이들을 비판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는 과연 신유학의 대표 주자였다라는 생각이 든다.
한유는 이백과 두보가 살았던 시대보다는 훨씬 뒷 세대이다. 그들이 동시에 활동했으면 어땠을까. 한유가 안사의 난을 겪었다면 아예 두문불출하고 밖으로 나오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이익은 한유의 제자 중 한 사람으로 한유는 그에게 '글을 짓는 일'에 대해서 편지를 보냈다(801년).
氣는 水也요 言은 浮物也니 水大而物之浮者大小畢浮니라 氣之與言도 猶是也하야 氣盛則言之短長與聲之高下者皆宜니라 雖如是라도 其敢自謂幾於成乎아 雖幾於成이라도 其用於人也奚取焉이리오 雖然이나 待用於人者는 其肖於器邪아 用與舍屬諸人이니라 君子則不然하야 處心有道하고 行己有方하야 用則施諸人하고 舍則傳諸其徒하고 垂諸文而爲後世法이니라 如是者인댄 其亦足樂乎아 無足樂也아
기는 물이요. 말은 (물 위에 ) 떠 있는 물체니 물이 많으면 그 크고 작음에 따라 뜨기가 정해진다. 말도 기와 같은 것이다. 기가 성하면 말의 길고 짧음이 소리의 높고 낮음도 모두 그에 따른다. 그러나 기가 거의 완성 단계에 와 있다 하더라도 사람에게 쓰이는 것이 어찌 그에 따르겠는가. 사람이 쓰이기를 기다리는 것은 기물을 닮았다. 쓰고 버려지는 것은 사람에게 속해 있는 것이다. 군자면 마음이 처한 곳에 도가 있고 자신의 행동에 지향점이 있어야 한다. 쓰일 때는 모든 이들에게 베풀고 버려지면 (자신을) 따르는 무리들에게 전하면 (결국) 문장에 드리워져서 후세의 법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는데 만족하고 즐길만하겠는가 그렇지 않겠는가.
-> 그러니까 (마음에 도를 닦아) 군자가 된다고 해도 출세길에 올라 누구에게 쓰이는 것은 사람에게 달린 일이니 쓰임을 받으면 백성들에게 베풀면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고 버려진다면 후학을 양성하거나 자기 제자들을 키우거나 하면 족하지 않겠는가 하는 말이다.
글을 짓는 일은 결국 공부를 하는 것에도 적용된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은 누구나 그런 생각을 한다. '내가 이 정도 실력인데 왜 나를 알아보는 이가 없지?' 칭찬과 인정에 목말라하고 누구에게 쓰임을 받기를 원한다. 그러나 쓰임을 받기 전 준비 과정은 반드시 필요하다. 끝내 알아주는 이가 없더라도 자신의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는 자세는 중요하다.
당나라 때 과거 제도가 시행되기는 했지만 송나라 때 와서야 과거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때문에 벼슬길에 제약이 많았다. 비루한 출신이었던 한유는 더군다나 출세에 오르는 것이 어려웠을 것이다. 우여곡절 끝에 힘들게 벼슬길에 올랐으나 말년에 가서야 고위직에 올랐고 그 전까지는 미관말직을 전전했다. 그래서 그는 편지로 주변 이들에게 청탁을 하는 류의 글을 많이 지었다고 한다.
그 때나 지금이나 사람 사는 것은 비슷한 것인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