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토요일 두 권의 책을 주문했다. 요즘 서재에서 핫한 사랑을 받고 있는 '다락방 문진'을 얻기 위함에 부랴부랴 쓸어담은 책이었다. 사실 행사용 책들이 애매하고 고만고만한 책이여서 뭘 사야 하나 고민이 되었는데 <파묻힌 여성>을 발견하는 순간 '야호!' 했다. 어차피 사야할 것 미리 사자 하는 마음으로 담았다.
그리고 <중국한시기행>은 EBS 여행 테마 방송을 본 사람은 혹시나 알 수도 있는데 꽤나 유명하신 분이다. 방송에 나와서 다짜고짜 한시를 노래 부르듯 읊는데 '이 사람 뭐지?' 하는 마음이 들었더랬다(내가 볼 땐 풍경이 멋져서 혹했던 것인 것 같기도 함). 덕분에 이백이나 두보 등의 시인이 궁금해졌고 저렇게 창을 부르듯 한시를 읋을수도 있는 것이구나 신기했다. 1권은 진작 사두었고 얼마 전 2권이 나왔다길래 함께 주문했다.
책도 책이지만 무엇보다 문진이 마음에 쏙 든다.
그리고 3권의 책은 도서관에서 데려온 책이다. 바야흐로 금요일 퇴근길이었고 백팩에는 책이 한가득 있어서 대출한 책들이 다 들어갈까 걱정스러웠는데 다행히 힘들게 들어가긴 했다(출근길에 1권의 책을 빼서 가능했던 듯).
<조용한 미국인>은 잠자냥님 서재에서 리뷰를 보고 전에 사둔 원서가 생각났다. 원서를 읽으려면 번역서가 필요한데 소설이라 막상 사기에는 부담스러워 결국 희망도서로 신청했다. '냉전' 시기를 잘 그리고 있다고 한다.
<나도 루쉰의 유물이다>도 희망도서다. 루쉰의 본처인 '주안'에 대한 평전인데 루쉰의 아내로서만 인식되어 가려져 있었던 그녀의 삶이 자못 궁금했다. 루쉰의 아내는 어떤 사람인지 한 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본처가 있다는 것은 내연녀도 있었다는 이야기고. 아무튼 루쉰의 작품이야 유명하지만 주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도 궁금해졌다. 자서전이 아닌 평전으로 나왔다는 게 또 다른 포인트다.
<열린 제국>은 중국사 읽기로 읽으려고 진작부터 찜해두었지만 이미 품절된 책이고 중고가도 싸지 않아서 망설이던 책이다. 우리 지역 도서관에는 없지만 상호대차로 가능해서 신청해두었었다. 근데 나중에 신청해도 되었을텐데 괜히 이번에 신청했나 싶다. 이 책 말고도 지지난주에 도서관에서 대출한 <중국의 역사 : 송대>도 있으니 말이다. 4권을 이번에 다 읽을 수는 없을테니 아무래도 이 중에서 <열린 제국>은 못 읽고 반납 들어갈 듯 싶다. 3권이라도 모두 읽을 수 있기를 바라며...
![](https://image.aladin.co.kr/product/30680/14/cover150/k412830131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1975/98/cover150/8934958472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1561/92/cover150/8937427591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31614/53/cover150/k502833878_1.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56/0/cover150/8972913901_2.jpg)
![](https://image.aladin.co.kr/product/17426/32/cover150/8984946168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