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옆지기가 윌라 오디오북 3개월간 구독했다고 해서 ‘야호!‘ 했다.
출퇴근 시 한문 공부가 지겹거나 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 같다.
인문 강좌 살펴보다가 눈에 들어온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듣기 시작했다.
자본주의 개념과 루터의 직업 개념에 대한 부분을 들었다.
사실 듣는다고 얼마나 알아듣겠냐마는 공으로 시간 흘려보내는 것보다는 낫겠지 생각한다.
서술 방식이 전형적인 논문 같다는 생각이 든다.
A라는 주장을 펼치기 위한 개념 설명을 하고 관련 인물에 대한 이야기, 역사적 배경을 이야기하는 식이다.
그래서 어떻게 보면 반복적인 이야기가 많다고 느껴지는데 이것이 저자의 주장을 이해하는데는 효과적인 서술 방식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등장하는 베르너 좀바르트의 경제론을 확인해봐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다양한 오디오북이 있어서 선택하는 데 애를 먹을 것 같으면서도 결국 끌리는 걸 듣는 게 답이라는 생각이 든다.
토지 시리즈를 너무 듣고 싶은데 3개월 안에 다 듣기에는 시간적으로 무리가 아닐까 싶어서 고민이 된다.
한 번 들어보고 괜찮으면 3개월 지나서 내 돈 내고 들으면 되지 싶다.
#2
간만에 전공 서적을 사려고 찾다가 원서인지라 킨들 형태로 주문했다.
읽어보니 좋다. 역시 킨들은 쓸수록 편함을 느끼게 되는 것 같다.
단어도 바로 검색 가능하고 읽은 부분이 자동으로 연동이 되서 효율적이다.
#3
어떤 책이든 배경을 안다면 진입 장벽이 낮아진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형태가 책이든 사료든 경험의 폭이 크다면 얻을 수 있는 것이 더 많아진다는 뜻이다.
지금 《회색인》을 읽고 있는데 ‘와! 재밌다.‘ 그리고 작가의 내공이 느껴져서 좋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이는 내가 한국 현대사 관련 컨텐츠를 경험해보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