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가부장제의 창조 10장 상징들 편을 읽다가 아리스토텔레스가 나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한 반사실적(counterfactual) 설명을 넓은 범위의 철학적 체계에 입각하여 신화차원에서 과학차원으로 끌어올렸다. 인과관계에 대한 그의 이론은 사물을 현재의 모습대로 만드는 다음 네 가지 요인을 제시했다. ①질료인(質料因 material cause), ② (사물에 추동력을 주는) 시동인(動因efficient cause), ③ (사물에 형식을 부여하는 형상인(形相因 formalcause), 그리고 ④ (사물이 추구하는 목표인) 목적인(目的因 telos). 그리스의 철학적 사고와 같은 선상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신보다 그 중요성이 덜한 문제에 주의를 기울인다. 인간 생명의 기원에 대한 그의 설명에서는 생식에 대해 남성이 기여하는 것은 존재를 위한 네 가지 원인 중 세 가지 때문이며, 네번째이자 가장 낮은 원인인 질료인만이 여성의 기여를 가능하게 해준다고 하였다.
- P360
그는 여성은 1번 질료만 갖고 있어 불완전한 존재로 이야기한다.
그래서 만일, 남성이 효과적이고 능동적인 것을 나타내고, 또 여성적으로 간주되는 여성은 수동적인 것을 나타낸다면, 그것은 여성이 남성의 정액에 제공하는 것이 정액이 아니라 정액이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월경이 그 본성상 원시적인 물체에 가깝다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 P361
그러면서 정액을 가진 남성은 능동성을 가진 존재로, 월경을 하는 여성은 수동성을 가진 존재로 그린다. 여자들은 한 번쯤 그런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자기 주장을 펼치거나 적극성을 내보이면 '나댄다' '조용히 좀 해라' 이런 말들...
인류사회는 두 개의 성(sex)으로 나뉘어 있다. 이성적이고 강건하고 생식할 능력을 갖추고 있고 영혼을 가지고 있고 지배하기에 적합한 남성과, 열정적이며 자신의 욕구를 조절하지 못하며 약하고 생식과정에 저급한 물질을 제공할 뿐이며 영혼이 없고 지배받게 되어 있는 여성으로, 그리고 이런 이유로, 다른 남성들에 대한 일부 남성들의 지배는 여성에게해당하는 특성의 일부를 지배받는 남성들에게 부과함으로써 정당화될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바로 그렇게 한다. 노예들은 "그들의 몸으로삶의 욕구를 다스린다" 여성들도 마찬가지다. 노예들은 "그런 원리를이해할 만큼 합리적 원리에 참여하지만, 그것을 소유할 만큼 참여하지는않는다" ―여성들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성별 정의로부터 계급지배를 논리적으로 정당화한다.
- P365
나는 인간이 무엇이든 지배할 수 있고 우선해야 한다는 논리,(예를 들어 자연이나 동물 등) 나아가 이것이 서양이 동양을 지배할 수 있고 상위 계급은 하위 계급을 부려도 된다는 논리가 그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소크라테스는 수호자 여성들(guardian women)이 집안일과 자녀양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남아 여아를 똑같이 교육시킬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여성의 기회평등은 가족의 해체 (destruction of thefamily)라는 더 큰 목표를 달성하게 한다. 플라톤의 목적은 사유재산, 사적 가족, 그리고 그로 인한 지도자집단의 이기주의를 폐지하는 것이다. 그는 사유재산이 계급적대와 불화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명확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남성과 여성은 생활에 있어서 공동(common)의방식을 가져야 한다・・・・공동의 교육, 공동의 자녀. 그리고 그들은 공동으로 시민들을 돌봐야 한다."
- P367
그러나 플라톤은 수호자들의 자비로운 독재 (benevolent dictator-ship)가 실행되는 이상국가(utopian state)라는 조건에서만 여성들이 평등한 것으로 그렸다. 30) 주의깊게 선택되고 길러진 엘리트 중에서 일부여성들은 대등한 사람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것에 대해 쓰고 있었던, 노예제에 기반을 둔 민주적 도시국가(아테네-옮긴이)에서는 시민권에 대한 정의 자체가 모든 열등한 사람들-농노, 노예, 그리고 여성을 제외했어야만 했다. 따라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민주적 정치체제의 토대 자체인 정치적 시민권에서 여성을 배제하는 것을 제도화하고 합리화한다. 서구문명이 수세기 동안학, 철학, 그리고 성별 교의(doctrine)에서 이용해 왔던 것은 플라톤의이상주의적 사상이 아니라 바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이 유산이다.
- P368
아리스토텔레스는 계급, 가부장제를 강화시키는 논리를 펼쳤지만 플라톤과 소크라테스는 그와 반대의 지점에 서 있는 면이 있었다. (물론 한계는 있었지만)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은 이전에 여성주의 책읽기에서 웬디 브라운의 <남성됨과 정치>에서 만난 적이 있다. 교차되는 지점이 있어서 찾아보았다.
형상이 질료보다 그 본성상 더 낫고 더 신성하기 때문에, 우월한 이가 열등한 이로부터 분리되는 것도 더 좋은 것이다. 여성은 자신의 질료로서 봉사하지만, 남성은 생성된 사물의 움직임이라는 원칙에서 더 낫고 더 신성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여성에게서 떨어진다.
고대 그리스의 폴리스 세계에 여성과 노예가 설 자리는 없다. 오로지 남성, 주인만 있을 뿐이다. 웬디 브라운은 노예제가 생산 및 재생산 노동자가 자신의 목적을 정식화하고 스스로를 보호할 능력을 약화하여 통치와 보호가 필요하다고 선언했다고 이야기한다. 여성은 질료를 공급하고 남성은 씨(정액)을 공급하므로 형상이나 원칙을 내부에서 쓸 수 없는 경우 외부의 원천에서 공급해야만 한다. 모든 질료에는 형상이 필요하고, 모든 행동에는 지도나 원칙이 필요하다.
서구 남성에게 육체와 분리된 정신은 자연, 자연적인 것에 묶인 이, 그 자신의 희망과 욕망을 부추기는 외적 요소뿐만 아니라 선택된 적 등 그 모든 것에 맞서는 싸움에서 이기기 위해 고안된 무기다.
<남성됨과 정치>는 이북으로 읽었기 때문에 쪽수는 모르겠다.
어쨌든 아리스토텔레스는 목적론을 정당화하는 면이 있고 계급의 질서와 논리를 옹호한다. 폭력과 불평등이 당연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플라톤과 소크라테스를 더 공부해보고 싶다는 소망이 생겼다. 사실 예전에 플라톤 저작 쉬운 것을 읽었는데 너무 재미없어서 중간에 그만두었는데 다시 도전을 해봐야하지 않을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