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을 좋아한다. 원하는 게 아니라 좋아한다. 어제 어느 TV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것과 좋아하는 걸 구분해야 한다는 출연자의 말을 들었다. 원하는 것과 좋아하는 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심리학자의 설명은 꽤 친절했다. 모두가 갖고 있어서 나도 가져야 하는 것, 그것은 좋아하는 게 아니라 원하는 것이라며 딸과 놀이공원에서의 일화를 들려줬다. 우리가 좋아하는 것과 원하는 것을 착각할 때가 많구나 싶었다. 원하는 게 아니라 좋아하는 게 있어야 삶이 풍요로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작약과 책을 좋아하는 나는 풍요롭고 충만한다. 4월의 작약은 5월의 지금까지 나를 행복하게 만드니까. 꽃은 이미 다 졌지만 떨어진 작약 꽃잎은 따로 모아두었고 그것을 보는 시간이 나는 좋다. 좋아하는 것, 그게 무엇이든, 남들의 기준이 아닌 내가 좋아하는 것을 알고 사랑하는 일이 나를 지탱한다.


올해 작약은 빨리 피고 빨리 지는 아쉬움이 있었다. 가장 먼저 핀 한 송이부터 꽃잎이 떨어지는데 그 순간 나는 어쩔줄 몰랐다. 속상한 마음도 있었다. 그런데 하나씩 떨어지며 쌓이는 꽃잎을 보면서 언제 또 이런 모습을 지켜볼까 싶었다. 붉은 자주빛 작약 꽃잎이 자신의 일을 다하고 장렬하게 전사하는 기분이랄까. 어떤 의미에서 올해의 작약은 그래서 더 특별하다.

작약에 이어 좋아하는 책이다. 좋아하는 작가 권여선의 단편집 『각각의 계절』이 나왔다. 양장본으로 묵직하고 단단하게 느껴진다. 단편집이다. 5월의 빛과 색이 담긴 모양새라고 할까. 권여선의 유려하고 촘촘한 문장으로 보여줄 삶의 단면을 기대한다. 신형철의 『인생의 역사』는 중고가 있어서 우선은 샀다. 나의 우선이라는 말에는 읽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뜻이 있다. 좋다는 말도 있고 별로라는 말도 있고, 솔직하게 말하자면 이제 신형철의 글에 끌리지 않지만 시라서 샀다. 책장에서 잠들게 될지, 사라질지 알 수 없다. 책은 예쁘다.

어쩌면 신형철의 책은 많이 언급되어서 한 번 읽어볼까 싶었는지도 모른다. 굳이 따지자면 원하는 것(타인의 시선)이 궁금했고 권여선의 단편은 내가 좋아하는 것이다. 권여선의 단편에 대해 혹평이 있다고 해도 나는 읽을 것이다. 나는 권여선의 소설을 좋아하니까. 그 좋아함이 영원할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