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비소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숨비소리 - 조선의 거상 신화 김만덕
이성길 지음 / 순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제주도는 내가 사랑하는 섬이다. 육지에 살고 있는 나에게 바다는 경이로운 대상이다. 숨막힐 듯 갑갑한 일상을 벗어버리기 위해 가끔 바다를 보러 떠나기도 한다. 동해, 서해, 남해 모두 아름답지만 그중 제주도의 바다는 이루 말 할 수 없이 아름답다. 어느 곳으로 가도 바다를 만나게 되는 제주도는 내게 더 많은 위안을 준다. 삶의 여유가 있다면 종종 제주도로 여행을 가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니 제주도에 대한 동경은 더 클수밖에 없다.
제주도의 살아 있는 역사라 할 수 있는 만덕할망의 이야기는 요새 TV를 통해서도 볼 수 있고 또 다른 소설로도 나와 있다. 그 중 내가 본 것은 <숨비소리>뿐이다. <숨비소리>에서 그려내고 있는 만덕할망의 이야기는 우리 아이들만이 아니라 청소년 어른들까지 모두 읽어두면 참 좋겠단 생각이 들게 하였다.
열두살의 나이에 아버지와 어머니를 잃고 오빠들과도 헤어져 살게 된 만덕, 관기를 하면서 모은 돈과 수양어머니에게 물려 받은 돈으로 제주의 거상을 꿈꾼다. 단순히 돈을 많이 벌기 위한 상인이 아니라 제주의 헐벗고 굶주린 백성들도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상인이 되려고 한다. 고병기라는 악덕 상인에 맞서 정도(正道)를 걸으며 거래를 하는 만덕의 상도는 요즘 기업인들이 본받을만하다고 생각한다.
제주도의 푸른 바다가 삼킨 수많은 넋들에 대한 슬픔과 아픔까지도 고스란히 느껴지게 만드는 이 책은 제주의 살아 있는 숨결을 느끼게 한다.
 |
|
|
|
"만덕아....... 고난은 행복의 시작이요, 행복은 고난의 시작이라는 말이 있느니라. 현실이 고통스럽다고 좌절할 필요 없으며, 바랄 나위 없이 행복한 때일수록 고난에 대비해야 한다는 말이다. 잊지 말고 이 말을 꼭 기억해야 한다. 알았지?(37쪽)
|
|
|
|
 |
틈틈이 들려주는 어머니의 이야기는 만덕이 외로운 처지에 놓였을때에도 힘을 주었을 것이다.
 |
|
|
|
만덕은 제주 거상들의 매점매석이 얼마나 극심한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다.(중략) 그들의 욕심 때문에 피를 보는 것은 늘 제주의 가난한 백성이었다. 만덕은 기왕지사 상인이 될 바에는 거상들의 매점매석을 근절시키고 백성의 삶을 위하는 참 상인이 되어야 하리라 생각하고 있었다.(167쪽) |
|
|
|
 |
좀 더 어릴때 이런 구절이 담긴 책을 보았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고 생각했다. 큰 사람이 되는 사람들은 어릴때부터 남다른 꿈을 품고 사는 것을 보니 부럽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하고 그랬다.
 |
|
|
|
자유로워지고 싶어요. 거상이 되어 제주 땅을 벗어나 온 천지를 맘껏 활보하고 싶어요. 돈이 없어, 갈 곳이 없어 궁상맞게 눈물이나 짜내는 생활은 이제 싫어요. 조선의 여자는 너무나도 슬픈 존재들이에요. 게다가 우리는 옴짝달싹도 할 수 없는 제주 땅에 갇힌 채 살아가고 있잖아요. 조선 여자로 태어나 상인이 되기를 꿈꾼다는 것이 얼마나 얼토당토않은 얘긴지 알아요. 하지만 길이 전혀 없는 건 아니에요. 바늘구멍만 한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도전해 보는 것이 옳아요. 여자도 사람이잖아요.(172쪽) |
|
|
|
 |
조선시대, 이런 생각을 품은 여자가 있었다니 얼마나 아름답고 숭고한가. 지금도 우린 여자라는 이름으로 작은 꿈만 꾸며 살아왔던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며 우리 아이들에게 지금이라도 더 큰 꿈을 꾸라고 독려해주고 싶다.
조선시대 제주도의 인구가 적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출륙금지령을 내렸다고 한다. 그것을 깨고 육지로 나와 임금이 계신 한양과 금강산을 둘러 본 최초의 여자가 되었다는 구절은 또 얼마나 가슴 뭉쿨하게 했는지 모른다.
 |
|
|
|
당장 큰 변화가 오지 않겠지만 물꼬를 텄다는 것이 중요했다. 모든 일은 언제나 시작이 어려운 법 아니던가.(278쪽)
|
|
|
|
 |
역사의 한부분을 소설로 만나는 일은 참으로 즐겁다. 그때 그 시절의 아픔과 슬픔, 그 시절의 삶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다음번 제주 여행은 아마도 <숨비소리> 김만덕 역사탐방 올레길이 되지 않을까 싶다. 제주목 관아, 동문시장, 만덕 객주 터, 건입포구, 만덕관을 둘러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