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 푸른도서관 36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 라는 제목을 보고 무슨 뜻일까를 먼저 생각했었다. 하지만 무슨 뜻인지 알지 못한 채 책을 읽어내려갔다. 책을 읽다보니 '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라는 말은 거짓말을 하는 아이를 일컫는 말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거짓'과 '진실', 우리 가끔 이것들을 판별하는게 쉽지 않을때가 있다. 이 책에서도 그랬지만 편견과 고정관념이 진실을 가려버리기 때문이다. 설마, 저렇게 예쁘고 공부 잘 하는 아이가 거짓말을 하겠어. 설마, 저렇게 뚱뚱하고 나보다 못생긴 아이가 멋진 대학생 남자 친구가 있겠어. 말도 안돼. 

어느 날 봄이는 무단 결석을 하고, 반 아이들은 시험을 앞두고 모두 관심을 갖지 않는 것 처럼 보인다. 담임은 일주일을 결석한 봄이에 대해 마땅한 이유를 찾지 못한다. 평소 아이들에게 둘러 쌓여 이야기를 나누는 아이라 왕따라고 생각하지도 못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봄이를 통해 자신들이 하지 못했던 연애의 대리 만족을 느끼고, 봄이에게 자신들의 고민과 비밀을 털어 놓기도 한다. 하지만 그게 모두 거짓이라고 말할때도 있다. 

야간 자율학습 감독을 맡게 된 담임의 책상에 몇장의 글이 올려져 있고, 담임은 수행평가 숙제라고 생각하며 읽어내려가는데 사실은 봄이와 관련된 이야기들이었다. 봄이에게 멋진 대학생 남친이 있을 거라는 걸 믿지 못하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담긴 글이었다. 그 글을 읽어내려가면서 봄이가 무단 결석을 하게 된 이유를 알게 되긴 하지만, 이미 봄이는 학교로 돌아올 마음이 없다. 그러하기에 아이들의 학번을 제목으로 삼은 글을 담임의 책상 위에 올려 놓은 것이다.  

나도 중학교, 고등학교를 다니면서부터는 부모님과의 대화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먹고 살기 힘든 나날이었기에 엄마, 아빠의 고된 하루에 나의 하루를 이야기 할 새가 없었다. 모든게 내 결정으로 이루어졌던 시절이었다. 그나마 소설 속 아이들처럼 남자에 대한 관심은 아무래도 좀 적었던 것 같다. 물론 우리 반에도 그런 아이들은 몇몇 있었다는 걸 알지만 말이다. 그래도 우리 학교 다닐때는 왕따라는게 있었나 싶었는데 다시 생각해보니 내가 겪은 일이 아니라서 잘 모르고 지나갔던 것 같단 생각도 한다. 

여하튼 이 책을 읽으며 생각했던 것은, 편견과 고정관념은 버려야 할 것들이라는 것이다. 그것은 진실을 왜곡시키고도 남을 만큼의 것들이니까 말이다. 

이금이 작가의 딸아이의 이야기가 소재가 되어 한편의 소설로 태어났는데, 아이들 각자의 심리와 성격이 세세하게 잘 표현된 것 같다. 그리고 딸아이가 그렸다는 표지는 너무 아름답다. 풍만한 육체에서 풍겨나는 여성의 우아한 곡선미가 포근하게 느껴진다. 사랑스럽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10-03-28 13: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으셨군요.^^
이금이 작가의 작품으론 손발이 오그라드는 연애소설이지만, 요즘 애들이 보기엔 '뭐 이 정도쯤이야~ ' 생각하겠죠.ㅋㅋ

꿈꾸는섬 2010-03-28 14:19   좋아요 0 | URL
이금이 작가님 팬이 되었어요. 너무 좋아요.ㅎㅎ
아이들의 심리를 어쩜 그리 섬세하게 표현했는지 너무 멋져요.^^

후애(厚愛) 2010-03-29 06: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가 마음에 듭니다.
전 이금이 작가님 작품은 하나도 못 읽어봤어요.^^;;

꿈꾸는섬 2010-03-29 17:44   좋아요 0 | URL
표지도 예쁘지만 글도 참 좋아요.^^
이금이 작가님 책, 몇권 안 읽었지만 모두 좋더라구요. 앞으로도 찾아봐야죠.^^

같은하늘 2010-04-01 0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인터넷 연재로 읽었는데 역시 이금이 작가님이시죠? ^^